난청이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청각 경로에 문제가 발생해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소리를 듣지 못해, 언어 상태와 관련된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뜻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2~2017년 난청 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2년 27만7000명에서 2017년 34만9000명으로 연평균 4.8%씩 증가했다.
일상생활 지장
같은 기간 남성은 2012년 12만9000명에서 2017년 16만4000명으로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4.9%로 나타났고, 여성 또한 2012년 14만8000명에서 2017년 18만6000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4.6%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12만2000명, 34.9%)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60대(6만5000명, 18.7%), 50대(5만2000명, 14.9%)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70대 이상(5만5000명, 33.7%)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3000명, 20.1%), 50대(2만4000명, 14.9%)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6만7000명, 36.0%)이 가장 많았고, 60대(3만2000명, 17.4%), 50대(2만8000명, 15.0%) 순으로 나타났다.
최현승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70대 이상 노인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70 대 이상의 난청 환자는 대부분 노인성 난청으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달팽이관의 노화 현상으로 발생한다. 보통 30~40대부터 청력의 감소가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노인성난청의 유병률 조사를 보면 65세 이상의 38%가 노인성 난청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논문에 따르면 60대 이상의 평균 청력이 정상 이하임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통 30~40대부터 청력 감소 시작
보청기 사용, 청각 재활 치료 받아야
난청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 시 문제점에 대해 “난청으로 인해서 말소리를 듣지 못하면 의사소통, 학업, 직업, 문화생활을 하는 데 큰 제약이 따르게 된다. 특히, 영유아의 난청은 첫 1년간은 중추 청각로의 형태적, 기능적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 충분한 청각 자극을 받지 못하면 중추 청각로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구어 의사소통 능력에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고 밝혔다.
난청 질환의 증상에는 전음성 난청의 경우 소리를 증폭시키는 기능이 떨어진 경우로 들리는 소리 크기가 불충분하다고 호소하고, 큰 소리를 들을 때는 불편함이 덜한 증상을 보인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달팽이관 내부의 청신경 세포 혹은 소리 전달을 위한 신경의 이상으로 약한 음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고, 소리는 들으나 말소리를 알아듣기 힘든 증상을 호소한다.
원인으로는 전음성 난청의 경우 고막의 파열, 귀지 등으로 인해 외이도가 막힌 경우, 외이도염, 급만성 중이염, 이경화증, 선천 외이도 폐쇄증 등의 원인이 있다. 주로 소리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하는 중이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나타나게 된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와우와 청각 경로의 다양한 질환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달팽이관 내부의 청신경 손상, 뇌에 이르는 신경의 손상, 종양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난청 질환의 치료법에는 전음성 난청의 경우 원인이 되는 병변에 대한 수술적 교정으로 대부분 치료가 된다.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원인에 따라 원인질환에 대한 치료를 통해 청력을 개선하거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문적인 이비인후과적 진단을 통해 필요 시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청각 재활, 중이이식, 인공와우 이식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예방법으로는 선천성 난청 환자의 경우나 이미 난청의 소인을 가진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이비인후과 검사를 통해 청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소음이나 약물 등 악화의 원인을 피하고, 필요시 보청기, 청각 재활 등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대부분 치료 가능
노인성 난청 또한 악화의 원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남성은 담배, 술, 머리의 외상 등, 여성은 약물 복용 등이 노인성 난청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치료에 앞서 독성이 있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주위의 소음, 술, 담배, 스트레스 등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