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지난 2월23일까지 공시된 상장사의 결산배당(보통주 기준) 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배당 수령액 100억원을 초과하는 대주주는 27명에 달한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필두로 재벌 총수들이 상위권에 포진한 건 예상된 결과다. 오히려 상대적으로 낯선 이름에 관심이 집중된다. 22위에 오른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이 그 주인공이다.
매년 돈잔치
BGF리테일은 지난달 27일 보통주 1주당 800원 현금 배당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시가 배당률은 1.0%, 주식배당금총액은 약 396억원이다. 주주들에게는 오는 14일 이전까지 배당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지난해 약 297억원이던 현금배당금 총액이 100억원 가까이 급등한 점이 눈에 띈다. 2015년 정기 주주총회서 확정된 현금배당금 총액은 약 141억원이었다. 주식배당금 총액 상향에 힘입어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총배당금 비율을 뜻하는 ‘배당성향’도 상승곡선을 그렸다.
2015년 정기 주총서 승인 당시 14.5%였던 배당성향은 이듬해 19.6%를 찍은 데 이어 올해는 약 21.6%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해 1200원이던 1주당 배당금은 1년 사이 400원 줄었다. 통상 1주당 배당금과 현금배당금 총액은 정비례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결과가 도출된 걸까. 답은 ‘무상증자’서 찾을 수 있다.
무상증자는 기업의 자본잉여금으로 발행한 신주를 주주들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것을 의미한다. 회사의 잉여자본금이 주주들에게 주식 형태로 이전되는 형식이다. 무상증자로 신주가 발행되면 그에 따라 주가가 하향 조정되기 때문에 시가총액이나 주식보유 비율은 변화가 없다.
대신 무상증자로 주가가 하향되더라도 단시일에 주가를 무상증자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사례가 잦다. 무상증자로 신주를 배정받는 기존 주주들은 이득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지난해 11월7일 BGF리테일은 보통주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 결정을 공시했다. 무상증자 대상 주식수는 총 발행주식수 2477만3964주에서 자기주식 303주를 차감한 2477만3661주였다. 당시 BGF리테일 측은 거래량을 증가시켜 주가 안정성을 강화하는 차원서 무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재벌총수 배당순위 22위…126억 수령
주당 배당 줄었는데 더 받는 이유는?
현금배당 과정서 무상증자 효과는 톡톡히 드러났다. 주주들의 주식 보유량이 무상증자를 기점으로 정확히 두 배 증가하면서 1주당 배당금 800원 결정은 1600원과 같은 효력을 발휘하게 됐다.
이 과정서 가장 혜택을 본 건 최대주주인 홍석조 회장과 오너 일가다.
지난 4일 공시된 2016년 말 기준 BGF리테일 감사보고서를 보면 이 회사의 최대주주는 지분 1576만600주를 보유한 홍석조 회장(31.81%)이다. 홍 회장의 형인 홍석현 전 중앙미디어네트워크 회장(353만3110주, 7.13%), 홍 회장의 막내 여동생인 홍라영 삼성미술관 리움 부관장(319만6320주, 6.45%)까지 5% 이상 주주는 모두 오너 일가 사람들이다.
홍 회장의 남동생인 홍석준 보광창업투자 회장(246만4340주, 4.97%), 홍 회장의 조카인 승연씨(81만2100주, 1.64%), 정환씨(80만1100주, 1.62%), 홍석현 회장의 부인 신연균씨(51만5490주, 1.04%), 홍 회장의 장남인 홍정국 전무(13만9494주, 0.28%) 등 오너 친인척의 지분까지 합치면 지분율이 55.36%에 이른다.
이들이 수령하게 될 배당금의 총합은 약 220억원 수준이다. 홍 회장은 지난해보다 23억원가량 늘어난 126억원을 받게 돼 국내 개인 배당 순위 22위에 이름을 올렸다. 홍석현 회장은 28억원, 홍라영 부관장은 26억원, 홍석준 회장은 20억원 규모의 배당을 받는다. 다른 오너 친인척들도 억대 배당금을 수령하긴 마찬가지다.
물론 배당금을 늘려가는 BGF리테일의 배당 정책을 비판적인 시각으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다. 꾸준히 배당성향을 늘린다는 건 주주친화적 정책 차원에서 환영할만한 일이다.
20% 초반대에 불과한 BGF리테일의 배당성향은 국내 기업 평균치에 수렴할 뿐, 아직까지 선진국 평균 배당성향(44.6%)은 물론이고 신흥시장(32.9%)보다 낮은 수준이다.
게다가 현금배당의 기준이 되는 지난해 실적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난 4일 공시된 지난해 연말 기준 연결재무제표를 보면 BGF리테일은 지난해 매출액 5조526억원, 영업이익이 2171억원, 당기순이익 1846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6.6%, 18.3%, 20.8% 증가한 수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주친화적 배당정책의 최대 수혜자가 홍 회장을 비롯한 오너 일가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BGF리테일 전체 주주수의 99.75%를 차지하는 소액주주들(1만1257명)은 회사 지분의 33.02%만 보유한 상태다. 이들이 수령하게 될 배당금 총합은 약 130억원. 홍 회장 한 사람의 배당 수령액보다 4억원가량 많은 수준이다.
‘편의점 왕’
BGF리테일 측은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현금배당은 주총을 거쳐 최종 확정되고, 그 과정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진다”며 “이익을 주주들과 함께한다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홍석조 회장은?
홍석조 BGF리테일 회장은 ‘편의점 왕’으로 불린다. BGF리테일은 국내 1위 편의점 브랜드인 ‘CU(씨유)’를 운영하고 있다. CU는 2012년 일본 ‘훼미리마트(Family Mart)’ 간판을 떼고 탄생한 토종브랜드다. 홍 회장은 2007년 BGF리테일(옛 보광훼미리마트) 대표이사에 취임한 후 CU를 굴지의 편의점으로 키워냈다.
2006년까지 공직에서 대검찰청 기획과장, 법무부 검찰국 국장,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 등을 지낸 ‘검사 출신 경영인’이다. 그의 친인척 인맥은 상당하다. 홍 회장의 아버지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장인인 홍진기 전 중앙일보 회장, 누나는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이다.
부인 양경희 여사와 슬하에 두 아들(정국·정희)을 두고 있다. 장남 정국씨는 지난 2010년 구자용 E1 대표이사 회장 겸 LS네트웍스 대표이사 회장의 장녀 구희나씨와 결혼했다. 2015년에는 BGF리테일 전무로 승진했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