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지령 1010호(2015년 5월26일)부터 연재했던 <검은 우산>이 지령 1157호(2018년 3월11일)를 끝으로 막을 내립니다. 그동안 넘치는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신 애독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1158호(2018년 3월18일)부터 이상세 화백의 <동부새>를 새롭게 연재합니다.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의 뜨거운 사랑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작가 소개> 이상세 화백은 1981년 <미모사>를 출간하며 본격적으로 만화가의 길을 걸었다. 1990년대 중반 만화잡지 <미스터블루>를 통해 연재한 <DMZ>는 역사적 측면을 작품으로 승화해 인기를 얻었다. 이 화백은 <아리랑> <황토> 등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통해 독자들에게 이름을 각인시켰다. 이 작품들은 주제 의식과 극적 재미가 잘 어우러져 독자들에게 강한 충격을 선사했다. 2005년에는 스토리 작가 황인호와 함께 <스포츠한국>에 <제니어드>를 발표해 독자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본지에는 <난> <제5의 사나이> <검은 우산> 등을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내 명색이 당나라 황제로서 그대 보기 민망하오.” 손사래를 치는 당태종의 얼굴에서 아직도 지난 전투의 상흔이 그대로 드러났다. 비록 안대를 했으나 눈뿐 아니라 안면 신경체계에 적지 않은 이상이 보일정도로 심하게 경련을 일으키고는 했다. “폐하, 저희 폐국(弊國, 폐습이 많아 어지러운 나라 혹은 자기 나라를 낮추어 이르는 말)의 불찰이옵니다. 통촉하여 주시옵소서.” 춘추가 다시 머리를 조아리자 이세민이 흡족하다는 표정을 지으며 안대를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장군, 그런데 저 산의 이름이 무엇이오?” 의직이 산을 주시하다 이내 주변에 늘어선 병사를 바라보았다. 한 병사가 우물쭈물 거리며 앞으로 나섰다. “백화산이라고 산 중에 옥문곡이 유명합니다.” “지금 옥문곡이라 하였는가?” “그렇습니다, 대감.” 중상이 옥문곡을 되뇌며 의혹의 시선을 보냈다. “왜 그러시오, 대감.” “옥문곡이면 적의 함정이 있을 수 있다는 생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무슨 표정이 그럽니까?” “고 장군 이 사람. 동작 한번 빠르네.” 선도해가 마치 빈정대듯이 한마디 하자 연정토가 자신의 뒷덜미를 긁적였다. 그 모습을 바라보며 모두가 박장대소를 터트리자 급기야 연정토의 눈이 동그랗게 변해갔다. 선도해가 더 이상 놀려서는 안 된다는 판단을 했는지 세세하게 설명을 곁들였다. “아니 설부터 형님은.” “그건 그렇고 고문 장군은 내 말을 반드시 명심하도록 하시게.&rdquo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막리지 대감, 소식 들으셨습니까?” 연개소문이 설날을 맞아 집에서 가족들과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는 중에 선도해가 굳은 표정을 지으며 방문했다. “무슨 일인데 표정이 그러시오.” 연개소문이 주변에 있는 가족들의 얼굴을 살피고는 한쪽으로 이끌었다. 또 쳐들어오다 “당나라 군사들이 다시 침략해오고 있다 합니다.” “설에 말이오?” “오랑캐 놈들이 설의 개념이나 알까요?” &l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왜 그러십니까?” “저놈들의 계략인 듯해서 그러네.” “계략이라니요?” “저놈 죽이면 필히 다른 놈이 다시 나와 죽임을 당하고. 그러다가 사기가 떨어져 있는 신라 병사들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면 한꺼번에 들고 나서겠다는 게지.” “그러면!” “결과는 예측하지 말게. 일단 나가서 저 놈을 단칼에 죽여 버리게. 그리하여 저놈들의 계략을 역으로 이용하세.&r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신라서 선덕여왕이 죽고 유일한 성골인 승만 공주가 왕(진덕여왕)으로 보위에 앉았다. 나름대로 신속하게 일처리 하였으나 비담과 염종의 추종세력들에 대한 제거 그리고 새로이 조정을 정비하느라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그를 살피던 백제의 의자왕은 장군 의직에게 보병과 기병 삼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를 공격하라 명령했다. 이에 따라 의직은 곧바로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아래에 진을 치고 군사를 나누어보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을 쳤다. 소식을 접한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우리 흉내를 내보겠다는 의미가 아니겠는지요.” “하면 우리를 당나라 영토로 끌어들이겠다는.” 연개소문이 말을 하다 말고 잠시 생각에 빠져들었다는 듯 턱을 괴고 침묵을 지켰다. “이 놈들 그냥 박살내버리지요!” 연정토의 분노의 소리를 들으며 연개소문이 선도해를 주시했다. “하문 있으십니까?” “아니오. 내가 직접 그를 확인해보고 싶어 그러오.” “직접 현장에 가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자신의 직속 부하 군사들을 월성에 소집한 유신이 적의 동태 아울러 선덕여왕의 상태를 가늠하며 시일을 조정하고 있었다. 어느 날 저녁 늦은 시간에 망루에서 하늘을 바라보던 유신의 눈에 동쪽 하늘에 떠 있던 별이 월성으로 떨어지는 모습이 보였다. 순간 고개를 뒤로 돌렸다. 저만치 어둠 속에 선덕여왕이 머물러 있는 장소가 눈에 들어왔다. ‘기어코 운명을 달리했구나.’ 들릴 듯 말 듯 독백을 내뱉고 명활성 방향을 바라보았다. 그곳에서 고함이 들려오는 듯했다. 유신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외마디 소리를 지른 유신이 반사적으로 몸을 일으켜 한쪽에 두었던 갑옷을 급히 차려입기 시작했다. 멍하니 그 모습을 바라보던 춘추가 자리에서 일어나 몸을 가다듬었고 지소 역시 아이를 내려놓고 방 한쪽에 비켜 세워져 있던 칼을 유신에게 건넸다. 모든 준비를 갖춘 유신이 아들을 한번 살피고는 곧바로 방을 나섰다. 춘추는 물론 지소도 급히 아들을 안고 뒤를 따랐다. 방을 나서 말위에 오른 유신과 춘추를 배웅한 지소가 하인에게 아기를 맡기고 정안수를 떠서 뒷마당으로 움직였다. 정안수를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왕의 친서를 거론하자 접빈들의 태도가 누그러지고 결국 당태종이 선도해 일행을 접견하겠다는 통보가 왔다. 소식을 접한 선도해가 일행들에게 고구려의 혼을 주지시키고 궁궐로 들어갔다. 철저한 몸수색을 거치고 대전에 들어서자 용상을 제외하고 온통 당나라 대신들과 호위 군사로 가득했다. 그를 살피며 마치 아무 일도 아니라는 듯 자리하자 잠시 후 당태종이 입실한다는 소리가 들려왔다. 흘낏 고개를 돌려 추선을 바라보았다. 비록 고개를 숙이고 있었지만 담담한 표정을 읽을 수 있었다. 곁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