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경제1팀] 기사회생. 옛 거물들이 돌아왔다. 정치권에서 한물갔다고 여겨지던 '노병'들이 부활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박넝쿨'을 단단히 잡고서다. 그들은 과연 재활에 성공할 수 있을까.
이번 대선은 박근혜·문재인 두 후보가 초박빙 승부를 펼치면서 거물급 인사 영입전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각 캠프는 적이든 아군이든 선거에 도움만 된다면 끌어들였다. 붙는 쪽도 득실 계산이 분명했다. 기사회생의 기회로 여기는 표정이 역력했다.
박근혜 당선인은 국민대통합을 내걸고 충청·호남권 맹주들을 끌어안았다. 그의 주변엔 '보수대연합'이란 명분으로 옛 거물들이 대거 모여들었다.
올드보이들의 귀환?
'박줄'을 단단히 잡은 대표적인 '노병'은 이회창 전 자유선진당 총재다. 대법관과 총리 등을 지내고 1996년 정치권에 발을 들인 이 전 총재는 15·16대 대선에서 각각 1.6%p, 2.3%p 차이로 고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석패한 이후 정치적 입지가 약화됐다. 새누리당을 떠나 17대 대선에선 이명박, 정동영에 이어 3위에 그치면서 더욱 변두리로 내몰렸다.
그런데 이번 대선에서 대통령 만들기에 한몫하면서 또 다시 '대망'을 품을 수 있게 됐다. 먼저 박 당선인 측에서 이 전 총재 영입에 적지 않은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당선인이 이 전 총재를 직접 찾아갔다고 한다. 번번이 박 당선인에게 외면·불신을 당해온 이 전 총재는 이 자리에서 과거 서운한 감정을 모두 풀었다는 후문이다.
지지선언과 함께 5년 만에 새누리당에 복당한 이 전 총재는 "제가 이루지 못한 그 꿈을 박 후보를 대통령에 당선시킴으로써 이루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총재에 앞서 새누리당으로 둥지를 옮긴 '올드보이'는 이인제 전 선진통일당 대표다. 15년 만에 친정으로 돌아왔다. 정치권 안팎에선 '철새'답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 전 대표는 '제3의 대선후보를 내겠다'는 당초 계획을 접고 새누리당과 합당했다. 새누리당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그는 "백의종군을 하면서 대선 승리를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며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를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의 과거 때문이다.
이 전 대표도 한때 유력 대권주자였지만 매번 '차세대 주자'로만 남았다. 탈당·입당·복당을 반복해 기회를 날렸다. 24년 정치인생동안 무려 12번이나 당적을 바꿨다. 13·14·16·17·18대에 이어 지난 4·11 총선에서 6선에 성공, '불사조' '피닉제'란 별명을 얻었다. 그의 지지자들은 이 전 대표가 이번엔 꼭 날개를 달 것으로 보고 있다.
이회창·이인제와 함께 충청권 맹주로 꼽히는 심대평 전 자유선진당 대표와 이완구 전 충남지사도 이번 대선을 디딤돌 삼아 부활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심 전 대표와 이 전 지사 역시 박 당선인을 지지했다. 심 전 대표는 지난 4·11 총선에서 당의 참패를 책임지고 대표직에서 사퇴했다. 이 전 지사는 2009년 세종시 수정추진에 반발해 도지사직에서 사퇴한 바 있다.
이회창·이인제·심대평·이완구 충청권서 맹활약
한광옥·김경재·한화갑 동교동 3인방 호남표 견인
정치권 관계자는 "박 당선인 승리의 가장 큰 요인은 보수층 결집이었다"며 "그중에서도 박 당선인을 지지한 충청권 정치인들이 탄탄한 지역 지지세를 바탕으로 충청권 표 결집에 큰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양측 간 거물급 인사 영입전의 하이라이트는 옛 민주화 동지인 동교동계 '3인방'의 이적이다. 주인공은 한광옥·한화갑·김경재. 이들은 김 전 대통령(DJ)의 핵심 측근들인 만큼 박 당선인 지지는 파장이 컸다.
동교동계 인사 가운데 가장 먼저 박 캠프에 합류한 한광옥 전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은 국민대통합위원회 수석부위원장을 맡았다. "국민대통합에 가장 적합한 인물"이란 게 새누리당의 설명. 국민대통합위원회는 5·16쿠데타, 유신, 인혁당 사건 등 박 당선인이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하는 동시에 이를 실천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다.
한 전 고문은 DJ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한 측근 중 측근이다. 그래서 박 당선인이 많은 공을 들였다. 박 당선인은 한 전 고문을 영입하기 위해 직접 만나 간곡히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7년 DJP(김대중-김종필) 연대 때 막후 역할을 한 한 전 고문은 DJ정부 시절 대통령 비서실장과 새천년민주당 대표 등을 지냈다. 2003년 나라종금 퇴출저지 로비 사건에 연루돼 실형을 산 이후 정치권 전면에서 물러났다. 4·11 총선 때 옛 지역구였던 서울 관악갑에 민주당 공천을 신청했으나 탈락하자 탈당했다.
한 전 고문과 함께 새누리당에 입당한 김경재 전 민주당 최고위원은 대통합위원회 기획특보를 맡았다. 영입 배경은 한 전 고문과 같다.
김 전 위원은 DJ 참모였다. 평민당 시절 DJ 보좌역과 1992·1997·2002년 대선 당시 홍보본부장을 맡아 대통령을 만들어냈다. 2003년 민주당 분당 과정에서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지 않았고, 노 전 대통령의 탄핵을 주도했다. 이 역풍을 맞아 2004년 총선에서 낙선, 이후 정계복귀를 하지 못했다.
말하는 스타일 등이 김 전 대통령과 닮아 '리틀 DJ'로 불린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의 변심은 야권에 큰 충격을 줬다. 친구인 김옥두 전 의원이 '나의 동지이자 친구인 화갑이, 도대체 어디로 갔단 말인가'란 제목의 공개편지를 통해 안타까운 심경을 보이기도 했다.
차기서 역할 가능성
동교동계를 이끌며 민주당 1인자였던 한 전 대표는 친노 세력에 '팽'당하다 열린우리당 창당 때 완전히 갈라섰다. 그는 "문재인이 대선 후보가 되면 민주통합당은 필패다. 자기들 몫만 챙기려 하는 것이 친노 세력의 한계"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바 있다.
한 정치 전문가는 "박정희 정권 시절 탄압의 대상이었던 호남권 유력인사들의 지지는 박 당선인에게 큰 힘이 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70대를 넘은 동교동계 3인방의 나이를 감안하면 이번 대선이 마지막 정치적 행보일 가능성이 높다"며 "박 당선인이 대탕평 인사를 약속한 점에서 차기 정부에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박민우 기자 <pmw@ilyosisa.co.kr>
<'문 지지'외부 세력은?>
재기 노리다 '낙동강 오리알'
박근혜 당선인 쪽과 달리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외부 세력들은 '낙동강 오리알'신세가 됐다.
김덕룡 전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대표적이다. 상도동계 핵심 인사로 박 당선인의 한나라당 대표 시절 원내대표를 맡아 손발을 맞췄던 김 전 원내대표는 이명박 정부 탄생에 기여했지만 이번 대선에서 재기 의지를 보이며 문 후보를 지지했다. 문 후보의 패배로 김 전 원내대표의 승부수는 무위로 돌아가게 됐다.
정운찬 전 총리와 문국현 전 창조한국당 대표, 김현철 전 여의도연구소 부소장 등도 한숨을 내쉬고 있다. 이들도 문 후보를 지지했다가 부활의 꿈을 접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