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12·3 불법 계엄’ 사태 핵심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비선 실세 행보가 드러났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뒷배로 두고 정보사를 좌지우지한 걸 넘어 신원식 안보실장을 포함한 계엄 반대 세력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도록 사전에 배제시킨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이 믿을 수 있거나 따를 수밖에 없는 인물 위주로 ‘비선 라인’을 구축한 셈이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http://www.ilyosisa.co.kr/data/photos/20250206/art_17389291434298_4c9334.jpg)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게 신원식 국가안보실장과의 갈등을 자주 언급했다. 사실상 계엄의 걸림돌이라고 본 것이다. 노 전 사령관은 김 전 장관에게 신 실장과 그의 라인으로 알려진 인물들을 ‘계엄 플랜’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전 사령관의 말대로 실제 좌천되거나 이례적으로 자리를 지킨 인물이 적지 않다.
비선 말대로
검찰은 지난해 8월12일 윤석열 대통령이 김 전 장관을 국방부 장관으로 지명한 게 내란의 시작점이라고 봤다. 당시 국방부 장관이던 신 실장은 지금의 자리로, 장호진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으로 직을 옮겼다. 군과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당시 장관과 실장이 1년도 안 돼 교체된 걸 두고 이례적 인사라는 평가가 나왔다.
<일요시사>가 입수한 김 전 장관 공소장서 윤 대통령은 “우리 사회 곳곳에 암약하고 있는 종북주사파를 비롯한 반국가 세력들을 정리하지 않고는 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 반국가 세력을 정리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고, 헌법 가치와 헌정 질서를 갖춰 미래세대에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줄 책임이 있다. 나는 대통령이 끝날 때까지 이 일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취지의 말을 자주 했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은 지난해 초부터 야권에 대한 불만을 대통령실 참모가 아닌 군 지휘관들에게 언급하기 시작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이하 안가)서 김 전 장관과 신 실장,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함께 식사하면서 “시국 상황이 걱정된다. 비상 대권을 통해 헤쳐나가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후 김 전 장관은 지난해 4월 중순 서울 한남동 경호처장 공관서 여 전 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과 저녁 식사를 하면서 “사회적으로 노동계, 언론계, 이런 반국가 세력들 때문에 나라가 어려움이 있다”며 시국 상황을 얘기했다. 이 자리에 참석했던 군 사령관 3명은 같은 해 5월 평일 저녁 서울 강남서 함께 식사하면서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이 말하는 계엄이 현실성이 있는 것인지 논의했다.
노 조언에 사선서 ‘구사일생’ 문상호
김·신 다투자 “신부터 축출” 주장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은 군 지휘관들을 또 불러 정치 상황을 언급했다. 지난해 5~6월쯤 삼청동 안가서 김 전 장관과 여 전 사령관과 함께 저녁 식사 중 ‘시국 걱정’을 하면서 “비상 대권이나 비상 조치가 아니면 나라를 정상화할 방법이 없는가”라고 말했고 비슷한 시점에 삼청동 안가서 김 전 장관과 여 전 사령관, 곽 전 사령관, 이 전 사령관, 당시 합참 차장이던 강호필 지상작전사령관과 저녁 식사하면서 시국 상황에 대해 얘기했다. 김 전 장관은 이 자리서 윤 대통령에게 “이 4명이 대통령께 충성을 다하는 장군”이라고 말했다.
![국회 출석한 무속인 ‘비단 아씨’ 이선진씨 ⓒ고성준 기자](http://www.ilyosisa.co.kr/data/photos/20250206/art_17389291438084_908e85.jpg)
김 전 장관은 이들과 논의한 내용을 노 전 사령관과 공유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 한 군 고위 관계자는 “김 전 장관이 윤 대통령에게 소개한 장성들은 노 전 사령관에게 ‘누가 괜찮겠냐’고 물어봤던 인물들”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노 전 사령관이 계엄 전 수십 차례 점집을 찾아가 군인들의 사진을 제시하며 “누가 배신할 것 같냐”고 물은 내용과 맞닿아 있는 대목이다. 노 전 사령관과 여러 차례 만났던 무속인 ‘비단 아씨’ 이선진씨는 지난 4일 ‘윤석열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이하 국조특위)’ 2차 청문회서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노 전 사령관이)배신자 색출을 위한 군인 명단을 제시하면서 점괘를 의뢰했다고 하는데 그런 적 있느냐”고 묻자 “네”라고 답했다.
이어 “(노 전 사령관이 명단에 대해)군인이라고 설명해 주셨고 파악해서 오신 상황이었다”며 “뭔가 문제를 만들었을 때 (이 사람들이 나와)끝까지 함께할 수 있는지 질문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이씨는 “사주를 보고서 뭔가를 잘 몰라 얼굴을 보고 싶다고 했을 때 포털사이트서 찾아 사진을 몇 차례 보여줬다”며 “군인들 마다의 운을 많이 물어봤다”고 했다.
여 “노, 문제” 강조…김 “도움 많이 줬다”
‘신원식 라인’ 11·25 인사 좌천되거나 배제
노 전 사령관이 구체적으로 어떤 인사들의 사진을 이씨에게 보여줬는지는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를 따를 수밖에 없거나 김 전 장관과 껄끄러운 인물들이 ‘계엄 멤버’에서 제외됐다는 사실은 명확하다.
김 전 장관은 정보사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및 직권남용 혐의로 신 실장이 인사 조치하려던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을 유임했다. 이 이면에는 노 전 사령관의 조언이 있었다.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노 전 사령관은 계엄 직전 김 전 장관에게 “문상호는 살려야 한다”고 강조한 이후 신 실장과 김 전 장관이 다툰 것과 관련해 “신원식은 배제해야 한다. 걸림돌”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보사 출신 한 군 고위 관계자도 “노상원이 신원실 실장을 굉장히 싫어했다. 애초 신 실장도 노상원에 대해 ‘위험한 인물’이라고 평가해 왔다”며 “여인형도 김 전 장관에게 노상원에 대해 ‘거리를 둬야 한다’고 얘기한 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문경덕 기자](http://www.ilyosisa.co.kr/data/photos/20250206/art_17389291445078_eeee85.jpg)
여 전 사령관의 얘기를 들은 김 전 장관은 그에게 “(노 전 사령관을)그렇게 나쁘게 생각하지 마라. 많이 도움을 준 후배고, 잘 지내는 게 좋다. 지시가 있다면 따르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 전 장관은 문 전 사령관에게 “노 전 사령관의 지시가 내 지시”라고 말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25일 단행된 군 하반기 장성 인사를 봐도 ‘신원식 라인’으로 통했던 인물은 없다. 결과적으로 당시 유임했던 여 전 사령관, 이 전 사령관, 곽 전 사령관 등 육군 군단장급 지휘관들이 12·3 불법 계엄 사태서 핵심 역할을 맡았다. 이들 모두 김 전 장관과 친분이 깊고 일부는 노 전 사령관과 인연도 있다.
이례적 인사
한 군 소식통은 “정보사 같은 경우 신원식이 데려오려 했던 올드보이가 있다. 실제 환영식을 준비했는데 신 실장이 국방부 장관직서 사실상 잘리면서 당일 취소됐다. 신 실장을 날린 건 노상원”이라며 “계엄에 사실상 반대했고 노 전 사령관과 거리를 두려 한 여인형 같은 경우 ‘충암파’다. 신원신보다는 ‘김용현 라인’이라고 보는 게 합리적이고 노상원도 여인형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았으나 김 전 장관이 두 사람 사이를 커버해 왔다”고 주장했다.
<hound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