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위해 감행한 출혈
본전도 뽑지 못하고…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카카오그룹의 미래 비전이 담긴 글로벌 법인이 좌초 위기에 몰렸다.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입하면서 그렸던 청사진은 진작에 사라졌고, 빚에 허덕거리는 현실이 눈앞에 펼쳐진 모양새다. 반전을 도모하기에는 처한 현실이 녹록지 않다.
카카오그룹은 2010년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톡’을 발판 삼아 확장을 시도해왔고, 덩치를 키우는 과정에서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이하 카카오엔터)는 존재감을 십분 발휘했다. 2010년 7월, 포도트리라는 상호로 출범한 이 회사는 카카오그룹에 편입된 직후부터 그룹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축으로 떠올랐다.
기대
컸지만…
카카오엔터의 쓰임새는 단순히 수익 창출에 그치지 않는다. 체제를 지탱하는 기둥 역할 또한 카카오엔터를 돋보이게 만드는 요소다.
카카오그룹 지배구조는 큰 틀에서 ‘김범수(동일인)→㈜카카오→자회사→손자회사’ 등으로 이어진다. 카카오엔터의 경우 ㈜카카오 휘하에서 수많은 계열사를 아우르는 위치에 서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카카오엔터의 종속기업으로 분류되는 국내외 법인은 총 47곳(국내 법인 35개, 해외 법인 12개)에 달한다. 이들은 ▲뮤직 ▲스토리 ▲미디어 업종을 영위하면서 카카오엔터의 지배를 받는다.
카카오엔터는 ㈜카카오의 부족한 지배력을 보충하는 역할도 충실히 수행 중이다. 카카오엔터는 SM엔터 지분 19.3%를 보유 중이며, 이를 토대로 ㈜카카오는 SM엔터를 지배하고 있다. ㈜카카오는 SM엔터 지분 21.0%를 보유했을 뿐이지만, 실질 지분율(㈜카카오+카카오엔터)은 40%를 상회한다.
이처럼 그룹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 별개로 최근 카카오엔터가 처한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다. 그룹의 미래 비전을 추진하고자 사들인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에서 촉발된 후폭풍이라는 점이 뼈아프게 다가온다.
그럴듯한 취지
아쉬운 현실
2022년 2월 카카오그룹은 해외시장 공략 의지를 담은 ‘비욘드 코리아’라는 비전을 내세웠다. 지식재산권(IP) 등을 활용해 2025년까지 해외 매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내수 의존도를 낮추는 게 기본 취지였다.
비욘드 코리아의 선봉 역할은 카카오엔터가 맡았다. 해외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K-콘텐츠를 연계해 사업을 추진할만한 여력이 충분하다는 장점이 부각됐다. 그리고 이에 앞서 결정된 사안이 바로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 인수였다.
타파스미디어는 2012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범한 북미 최초의 웹툰 플랫폼이다. 북미시장에서 K-웹툰을 알리는 병참기지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타파스트리’라는 작가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현지 작가들과 IP 개발에 힘쓰던 상태였다. 카카오엔터는 협력관계를 이어온 타파스미디어를 2020년 11월 관계사로 편입시켰고, 이후 주요 IP를 타파스미디어를 통해 북미시장에 공급했다.
래디쉬미디어는 2016년에 미국 뉴욕에서 시작한 모바일 특화형 영문 소설 콘텐츠 플랫폼이다. 이 회사는 집단 창작 시스템에 기반한 자체 제작 콘텐츠 ‘래디쉬 오리지널’을 내세워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래디쉬미디어는 2020년에 전년 대비 10배 이상 증가한 매출 23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90% 이상을 래디쉬 오리지널에서 올릴 만큼 자체 IP에 대한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았다.
카카오엔터는 2021년 5월 이사회를 열고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 품기로 결정했다. 당시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는 기업가치를 각각 6000억원, 5000억원으로 인정받는 분위기였고, 결과적으로 카카오엔터는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를 인수하는 데 9000억원에 가까운 금액을 썼다.
타파스미디어 지분 100%를 취득하는 과정에서는 4712억원이 투입됐다. 주식대금으로 1784억원,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2928억원이 지급됐다.
래디쉬미디어를 편입하면서 투입된 비용은 3789억원(현금 3098억원, 주식 692억원)이었다. 또 래디쉬미디어는 우시아월드(아시아 무협 장르 IP 플랫폼)를 인수하면서 총 445억원(현금 269억원, 주식 176억원)을 투입했는데, 해당 인수는 래디쉬미디어 자금으로 이뤄졌다.
실패
귀결?
카카오엔터는 출혈을 감수하면서 인수한 두 회사를 앞세워 글로벌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지난해 연결기준 카카오엔터 무형자산은 8249억원, 이 가운데 영업권은 437억원이다. 눈여겨볼 부분은 ‘손상차손’ 항목이다. 카카오엔터의 지난해 무형자산 손상차손은 1조69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91.8%에 해당하는 9245억원이 ‘영업권’ 가치 하락을 의미하는 영업권 손상차손으로 인식됐다.
영업권 손상차손 중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4600억원은 '타파스엔터테인먼트'에서 파생됐다. 이는 카카오엔터가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시미디어를 내세워 추진한 글로벌 시장 선점 전략이 원활히 작동하지 않았음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앞서 카카오엔터는 2022년 8월 래디쉬미디어가 타파스미디어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합병을 진행했고, 이를 계기로 타파스엔터테인먼트가 공식 출범했다. 카카오엔터가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를 인수한 지 불과 1여년 만에 결정된 사안이다.
합병법인은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는 물론이고, 우시아월드까지 아우르는 형태로 탈바꿈했다. 대표이사는 김창원 타파스미디어 대표가 맡기로 결정됐는데, 조직 효율화의 필요성이 흡수합병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낸 모양새였다.
실제로 카카오엔터에 인수된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는 2021년 연결 편입 기준 각각 112억원, 122억원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기간 매출은 타파스미디어 170억원, 래디쉬미디어 91억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합병 효과는 미진했다. 타파스엔터테인먼트는 출범 첫 해인 2022년에 매출 491억원을 올리는 데 그쳤고, 순손실은 2282억원으로 확대됐다. 전년(타파스미디어·래디쉬미디어 합산 순손실 234억원) 대비 적자폭은 10배가량 커졌다.
지난해 역시 크게 다를 것 없는 흐름이 이어졌다. 매출이 전년 대비 30.9% 상승했음에도 순손실은 1년 새 2000억원가량 증가했다. 급기야 2022년 3876억원이었던 타파스엔터테인먼트 총자본은 천문학적인 순손실이 반영된 여파로 지난해에는 -241억원을 나타냈다. 완전자본잠식에 도달한 것이다.
야심차게 투자한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가 지금껏 별다른 결과물을 내지 못한 가운데 두 회사의 창업자들은 경영에서 손을 뗀 상황이다. 타파스미디어 창업자로서 타파스엔터테인먼트를 이끌던 김창원 대표는 지난해 초 퇴사 소식을 알렸고, 이승윤 래디쉬미디어 창업자는 2022년 말 경영에서 물러났다.
손 털고
정리 수순?
타파스미디어와 래디쉬미디어의 국내 법인은 생명력을 다한 모습이다. 타파스미디어가 지분 100%를 쥐고 있던 타파스미디어코리아는 2022년 레디쉬코리아에 합병되면서 자취를 감췄다. 래디쉬미디어의 100% 자회사였던 레디쉬코리아는 타파스미디어코리아를 합병한 이후 타파스엔터테인먼트코리아로 상호를 변경했다가 지난해 청산됐다.
<heaty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