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불현듯 벌컥 욕설이 튀어나온 건 그때였다.
“야! 거기 쥐뿔만한 새끼, 너 이리 나와!”
그건 안으로 들어서던 주번이 용운이 또래의 어느 소년 원생에게 하는 소리였다.
“이 쌍놈 새끼야! 너만 아가리냐, 엉?”
주번은 성큼성큼 다가가더니 따귀부터 오지게 올려붙였다. 밥을 다 먹은 그 소년이 밖으로 나가는 척하다가 배식 중인 다른 사(舍)의 줄 뒤에 다시 슬쩍 붙어섰던 모양이었다.
쥐뿔만한 새끼
“이 개같은 새끼, 너 어느 사야?”
“잘못했어요. 제발 한 번만 용서해 주세요.”
“일루 와, 새꺄. 여기가 니네 집 안방인 줄 알어?”
주번은 소년을 구석으로 몰아붙이면서 마구 두드려 패기 시작했다. 둔탁한 손놀림으로 이리저리 치는 품이 체벌을 가하는 건지 자신의 주먹을 과시하는 건지 분간하기 어려웠다.
한참 후에 주번은 코피가 흐르는 소년을 다시 출입구 앞에 끌어다 세워놓았다. 벌겋게 달아오른 소년의 얼굴에 두려움이 역력했다.
“물구나무!”
소년은 주번의 명령에 따라 양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구부려 물구나무 설 자세를 취했다.
“실시!”
소년은 겨우 물구나무를 섰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걸어!”
소년은 명령에 따라 손바닥으로 걷다가 벌건 얼굴로 다리를 달달 떨었다. 저런 자세로 과연 얼마나 버틸까? 아마 팔과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플 게 뻔했지만 주번은 한 술 더 떠 소년의 발바닥 위에 그의 밥그릇까지 위태스럽게 올려놓았다.
얼마 안 돼 소년의 온몸은 바들거리기 시작했고 표정도 처참하게 일그러졌다.
밖은 어느덧 저녁 어스름에 젖어들고 있었다. 붉게 타오르던 노을도 거의 다 스러졌다. 군데군데 원생들이 무리를 이루고 서 있었다. 갈 때도 숙사별로 모여서 움직이는 모양이었다.
식당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우물이 있었다. 남들이 하는 것처럼 용운도 따라가 식기를 닦은 다음 충심사 줄을 찾아 섰다.
“다 모였지? 자, 출발한다. 앞으로 갓!”
스라소니가 나와서 인솔을 했다. 그의 쥐어짜는 듯한 구령 소리가 차츰 드세어지고 있었다. 저 사람은 누구일까? 어떤 별자리에서 태어났기에 여기서 만나 적대적으로 살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일까?
전쟁고아…… 누구처럼 부모의 손에 의해 고의적으로 팽개쳐진 운명일까? 하지만 아무러면 어떠랴! 이제 다 똑같은 신세인 것을.
앞날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운명이 어떤 식으로 변하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것을…….
용운은 가슴속이 황량해지면서 눈물이 치밀어 오르는 것을 참아 삼켰다. 울음이 또 무슨 화근이 될지 모르기 때문이었다.
봄날을 아쉬워하는 듯 점점 사라지는 노을 위로 어둠이 덮이기 시작했다. 수용소의 첫날이 저물어가고 있었다.
캄캄한 방안에서 용운은 눈을 말똥말똥 뜨고 있었다.
지친 원생들은 자리에 눕자마자 이내 잠이 들어 코를 골기도 하고 꿈속에서 뭣에 쫓기는지 신음과 비명을 지르기도 했다.
“이제 다 똑같은 신세인 것을”
엄마 치맛자락으로 훔친 눈물
산속 어디선가 두견새가 서럽게 울었다.
용운은 자신이 누워 있는 그 컴컴한 공간이 꿈속인지 현실인지 구분이 안 되어 괴로운 듯 이따금 긴 한숨을 쉬었다.
‘왜 이런 신세가 되었을까? 엄마는 어디 있을까?’
용운은 한숨소리 사이로 작게 흐느꼈다.
5년여 전 그날도 화창한 봄날이었다.
어린 용운은 엄마의 손을 잡은 채 타박타박 걷고 있었다. 천왕산(天王山)엔 연분홍빛 진달래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었다. 뻐꾸기가 멀리서 울었다.
고갯길을 올라가다 눈을 돌리면 산중턱에 상여집이 보였다. 야심한 밤이면 백여우가 나와 돌을 던진다는 얘기가 도는 곳이었다.
술에 취한 사람이 도깨비와 밤새도록 씨름을 하다가 술이 깨어 보면 피 묻은 빗자루만 보인다는 풍문도 들렸다. 그러나 엄마가 곁에 있었으므로 용운은 조금도 무섭지 않았다.
엄마는 평소에 입던 낡은 몸뻬가 아닌 흰 옥양목 적삼과 검정 통치마 차림이었다. 풀꽃처럼 향긋한 냄새가 났다. 등엔 세 살짜리 동생이 업혀 콜콜 자고 있었다.
고갯마루를 넘어 황톳길을 지나서 신작로로 나서자 엄마는 발걸음을 좀더 빨리해 담뱃가게 집으로 들어섰다. 그리고 들고 온 보따리에서 새물내가 나는 옷을 꺼내 용운에게 급히 갈아입혔다.
옷이래야 회색 물을 들인 광목 상의에 검정색 핫바지였다. 검정 고무신도 한 켤레 꺼내 놓았다. 용운은 어쩐지 엄마가 뭣에 쫓기는 듯싶어 제풀에 서두르다가 도리어 발을 헛꿰곤 했다.
“오동댁, 워디 가려구?”
가겟집 할머니가 물었다.
“저희 사정이 어려우니 어쩌나요? 인천에 사는 얘 작은아버지라도 찾아가서 당분간 얘를 좀 맡길까 해서요.”
엄마는 눈을 내리깐 채 대답했다.
“참, 용운이 작은아배가 세관에 기시다매?”
“예.”
“에구, 잘 생각했구먼. 보릿고개에 한 입이 황소처럼 무섭다구… 그래, 어서 댕겨오구랴. 시방 용운네 형편이 이것저것 눈치 가릴 때여?”
엄마는 목례를 하고 밖으로 나섰다. 털털거리는 버스를 타고 읍내로 나가서 서울행 기차에 몸을 실었다. 차창 밖으로 휙휙 스쳐가는 보리밭을 바라보던 용운이 입을 열었다.
서울역 고아원
“엄마, 나 거기 가기 싫어.”
“그래도 어쩌니? 너도 집안 사정을 잘 알잖니, 응?”
엄마는 치맛자락으로 눈물을 훔쳤다.
하지만 그날 오후 모자가 도착한 곳은 인천의 작은아버지 댁이 아니라 서울역 앞에 자리잡은 한 고아원이었다. 아직 한글을 채 다 깨우치지 못했던 용운은 팻말을 보면서도 그곳이 뭘 하는 곳인지 알지 못했다. 하긴 글자를 알았어도 뜻은 몰랐으리라.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