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충북 청주시 소재 쉐마미술관에서 김연희 작가의 개인전 ‘ACCEPT 받아들이다’를 준비했다. 김연희는 회화에 등장하는 상징적 이미지를 ‘명상적 개념’에서 찾고자 했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2016년부터 최근까지 작업한 30여점의 작품을 소개한다.
“예술은 살아 있음과 죽음, 받아들임과 받아들이지 못함, 공간과 형태가 있고 없음 등 여러 가지 요인의 영원함이다. 이 모든 것이 예술의 끝이 아닌가 싶다.”
우주를 담은
“나의 내면 속 열정은 캄캄한 밤 반딧불을 보고 눈의 초점을 맞추듯 그렇게 한 사물에 집중하고 몰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가로서 나는 구상적 이미지를 모두 제거하고 싶다. 색에서도 모든 색을 아우르고 함축하고 있는 검정색과 아무 색도 품지 않은 흰색, 이 두 색의 성격과 대비가 같은 사고와 단순함을 동시에 갖게 하는 면에서 흥미롭다.” - 작가 노트 중 발췌 -
김연희의 화면에는 흑과 백이 공존한다. 그는 단순함의 묘미에 무게를 두고 추상 작업에서 쓰던 네모를 발전시켜 공간 구성에 활용하고 있다. 네모 안에 우주를 담아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 색은 검정, 흑색이다.
흑의 세계에는 모든 색이 섞여 있어 다른 어떤 색보다 응축된 힘과 아름다움이 있다. 김연희에게 먹의 색은 아크릴로 만들어 쓰는 표본이다. 그동안 그는 독자적 연구를 통해 습득하고 후기 현대미술의 사조로서 풍미했던 ‘미니멀 아트’ ‘모노크롬 회화’ ‘개념미술’ 등의 정신을 공유하려 노력했다.
응축된 힘과 아름다움
미니멀 아트 정신 공유
이런 사상은 물질 문명 중심의 서구적 시각에서 동양 사상의 정신, 이데아가 새롭고 중요한 대안으로 부상되는 ‘한국적 모노크롬 회화’의 기저가 됐다.
한영애 쉐마미술관 실장은 “현대미술은 색과 구도의 절제, 동양적 사유인 무위와 불교의 공(空) 사상의 영향으로 화면의 여백과 공간성을 중시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연희 작가가 표현하는 회화적 순수성의 배경은 동양적 사상을 미적 가치 형상화의 배경으로 삼고 있다”며 “이런 개념이 작가 정신의 회화 속에 수용, 확장되면서 물성과 매체가 중첩돼 우연성의 형태로 작품의 이미지에 용해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연희 작품에 등장하는 기호는 상징적, 서정적 이미지로 나타나는데, 묵시적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그가 표현기법으로 차용하고 있는 ‘플로잉’ 기법과 ‘오토마티즘’ 기법은 자유롭게 의도된 물성을 띠면서 화면을 구성하는 조형성으로 적용된다.
상징·서정적 이미지
묵시적 의미 나타나
콘셉츄얼(conceptual) 작가들은 사물 자체로서 미술의 대안적 방법으로 언어와 이념을 제시했다. 김연희의 2015년 이후 작품을 보면 그 콘셉츄얼 작가의 언어와 문자에 매료됐음이 드러난다. 이런 언어적 기술이 검은 단색화의 표상으로 결정됐다.
한 실장은 “대형 모노크롬 작품으로 형상과 바탕 사이의 관계, 모호한 방형에 가까운 색면을 색채의 미묘한 조화로 삼아 회화라는 매체를 재해석하고 그 영역을 확장시키지 않았나 생각된다”고 전했다.
콘셉츄얼 작가의 작품은 대부분 물성과 매체가 중첩돼 우연한 효과로 화면이 구성된다. 이 같은 특징이 작품 속에 적용되면 물감이 캔버스 안에서 밀고 당기는 중력에 의해 밀도감과 속도감의 궤적을 갖게 되고, 자연스러운 형태의 여백이 형성된다. 김연희는 이런 현상을 자신의 독창적인 색채 기법으로 진화시켜 나갔다.
먹의 색
쉐마미술관 관계자는 “김연희 작가는 자신의 의지로, 넘쳐 흐르는 생명력으로 작품을 만들고 그 속에 의미와 아름다움을 부여했다”며 “가장 단순한 구성, 색·면·선이 각기 다른 여백 속에서 큰 울림을 가져온다”고 강조했다. 전시는 다음 달 24일까지.
[김연희는?]
▲학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졸업
▲개인전
쉐마미술관(2022)
아트프라자갤러리(2022)
MIZ갤러리(2020)
SIAE(2019)
MIZ갤러리(2018)
SIAE(2018) 외 다수
▲수상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2001)
동아 미술대전 입선(2000)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2000)
중앙 미술대전 특선(1999)
한국수채화 공모전 금상(1999)
MBC 미술대전 입선(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