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갤러리 페이지룸에잇(PAGEROOM8)이 정직성 작가의 개인전 ‘공사장 추상’을 준비했다. 이번 전시는 ‘Well, This Work’ 시리즈 첫 번째로, 개인전 형식을 빌려 진행된다.
페이지룸에잇은 ‘Well, This Work’ 시리즈를 통해 작가의 작품 중 재조명돼야 할 1점을 선정해 그 배경과 작업을 들여다보고자 했다. 해당 작품이 제작된 시기를 전후로 함께 완성된 작품을 비롯해 작가의 작품 세계를 ‘키워드’를 통해 조명해 보는 방식이다.
짧은 시간
페이지룸에잇은 전시와 책의 유기적 관계를 표방하고 있다. 정직성 작가의 개인전 ‘공사장 추상’에서도 그의 1997년부터 현재까지의 작품을 한 데 모은 ‘정직성 이미지북’을 만날 수 있다. 작가의 작품 연대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다.
‘201414’ ‘201415’는 푸른색과 붉은 색의 보색 대비가 드라마틱하게 표현된 작품이다. 회색 철근을 연상시키는 구조물이 마치 창 안을 들여다보는 듯한 공간감을 선사한다.
이 작업 이전에 제작한 ‘연립주택’ 시리즈 역시 1990년대 빨간 벽돌이 도드라진 주택 구조물과 일률적인 모습으로 늘어선 간판과 도시의 건물 그림자를 하나의 톤과 매스로 보여준다.
‘Well, This Work’ 첫 전시
작품 1점을 중심으로 재조명
정직성은 이 모든 풍경을 구조적인 맥락에서 이해했다. 또 그 과정에서 실제 이 구조물을 축소한 모형 작업을 하는 등 구조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공사장 추상은 작가가 1990년대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대규모 재개발을 장기적으로 목도하고 관찰한 시선으로 해석된 사회적 구조물이다.
정직성이 공사장 추상 시리즈를 제작할 당시 그의 주거환경은 재개발 현장의 한복판이나 다름없었다. 주변은 공사장으로 변해갔고 정직성은 적절한 셋집을 찾아 여러 차례 이사를 거듭했다. 여성 작가인 그에게 육아와 살림, 개인적인 어려움까지 겹친 시기였다.
정직성은 긴 작업시간이 필요한 사실적인 묘사보다 추상적 색면이나 과감한 브러시 스트로크 등 속도감 있는 압축적 표현 형식으로 회화 작업을 풀어나갔다. 정직성에겐 추상과 구상의 구분은 여전히 무의미하다. 대신 물리적인 환경과 급변하는 상황을 대상에 투영해 직관적으로 표현했다.
정직성은 “작업이 심리치유를 넘어 외상 치료의 과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만큼 그의 작업은 치열하게 이뤄졌다.
공사장 추상의 기저를 살펴보면, 정직성이 도시를 현존하는 자연으로 이해한 통찰을 발견할 수 있다.
붉은 색과 파란 색의 대비
심리 치료 너머 외상 치료
그는 지금까지 연립주택, 공사장, 기계, 꽃, 녹조 등의 주제로 시리즈를 제작했다. 이 시리즈들은 정직성이 현대인들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현상과 함께 변화하는 환경에 주목한 결과다.
정직성은 “나에게 자연은 고요하고 침묵하게 하는 서정적인 환경이 아니다”라며 “어쩌면 한창 소란스러운 중에 속도감 있는 단상을 제공하는 환경, 즉 도시가 자연의 맥락에서 다가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페이지룸에잇 관계자는 “정직성 작가의 공사장 추상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이번 전시는 ▲구조성 ▲생활밀착형 추상 ▲움직이는 자연 등의 앞서 추린 몇 가지 키워드처럼 전시 기간 중에도 지속적으로 핵심 단어를 추출해 작품에 대해 분석한다”고 밝혔다.
직관적으로
이어 “공사장 추상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에 있는 작업 ‘주거 기계’ ‘꺾인 통로’ ‘연립주택’ 등 6~7점의 유화 작업과 추상에 대한 정직성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영상 작품을 처음으로 소개한다”고 밝혔다. 전시는 다음달 8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정직성은?]
1976년 서울 출생
▲학력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학사 졸업(2000)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전공 석사 졸업(2005)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전공 박사과정 수료(2012)
▲개인전
‘박동유동’ 갤러리 위(2021)
‘겨울 꽃’ 짙은 갤러리(2021)
‘특별한, 특별한 사물’ 이유진 갤러리(2020)
‘기계’ 이응노의 집 기획전시실(2020)
‘어둡고 빛나는 순간’ 갤러리 아트 딜라이트(2020)
‘바람의 길’ 누크 갤러리(2019)
‘꽃이 핀다’ 세종 갤러리(2018) 외 다수
▲수상
종근당 예술지상 2021 올해의 작가(2021)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2012)
1회 에트로 미술대상 대상(2012)
김종영 미술관 오늘의 작가(2012)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