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15주년 기획특집>⑫돌연 은퇴선언 ‘10대들의 대통령’ 서태지

박수 칠 때 떠나자?

서태지는 한국 음악사에 큰 획을 그었다. 1992년 데뷔 당시 한국에서는 처음 접하는 새로운 풍의 음악으로 나타나 한국대중음악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하지만 4년 뒤 갑작스럽게 은퇴를 선언해 팬들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현재는 탤런트 이지아와의 소송문제로 인해 다시 한 번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  

서울북공고 시절부터 음악에 소질을 보였던 서태지. 이미 데뷔 전 그룹 시나위에서 김종서와 함께 베이스 기타리스트로도 활동하며 탁월한 실력을 인정받았었다. 이후 서태지는 91년 당시 최고의 춤꾼으로 활약하던 양현석과 이주노를 만나게 돼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이란 그룹을 결성, 가요계에 도전장을 내밀게 된다.

당시 한국 가요계에 처음으로 선보인 ‘랩 댄스곡’ 풍의 데뷔곡 난 알아요, 그리고 당시에는 생각조차 할 수 없었던 현란한 안무로 선풍적인 센세이션을 일으키며 혜성같이 가요계에 등장해 큰 인기를 모았다. 이러한 인기에 서태지에게는 ‘10대들의 대통령’ ‘X세대 문화의 상징’ 등 수 없이 많은 수식어가 붙여진다. 하지만 그들의 음악을 이해하는 사람은 그 당시 많지는 않았고 당시 음악관계자들조차도 그들의 음악에 호의적이지만은 않았다.

1996년 돌연 은퇴 선언

그러나 10대들에게 서태지는 하나의 문화아이콘이었다. 각종 사회현실을 비판하던 노래 가사와 당시 파격적인 옷차림 등이 신세대들에게 신드롬을 일으키며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이 발표한 2집 하여가 3집 교실이데아 4집 컴백 홈도 젊은 세대들에게 인기를 끌며 서태지는 가요계 최고의 인기 아이콘으로 급부상하게 된다.

서태지가 한국 가요계의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당시 트로트와 발라드로 일관되던 가요계에 서태지는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장르를 한국적인 색깔을 잘 입혀 대중들에게 선보였다. 이후 R&B, 힙합, 댄스, 미디엄 템포 등 다양한 음악 장르를 가진 후배 가수들이 나오며 서태지의 음악은 한국가요계 시장의 흐름을 바꿔놓는 기폭제가 되었다. 

계속적으로 팬들의 사랑을 받던 서태지는 그러나 1996년 1월22일 돌연 은퇴를 선언한다. 갑작스러운 은퇴선언에 팬들은 물론 사회전체가 충격에 빠졌다. 당시 은퇴 선언은 특별한 이유도 내놓지 않은 채 소속사를 통해서 밝힌 것이라 그의 은퇴심경에 대해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서태지의 팬들은 엄청난 히스테리 증상을 보였다. 그 당시 전국의 팬들이 서태지의 집 앞에 몰려와 장사진을 이뤘고 기절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쉴 새 없이 우는 사람, 자살하겠다는 사람 등으로 전국이 들썩였다.

은퇴 배경에 ‘조폭개입설’ 등 온갖 설 난무
최근 이지와와 소송 문제로 이미지 치명적 타격

또 서태지의 은퇴선언에 다양한 루머도 떠돌았다. 조폭이 연루됐다는 ‘조폭개입설’ 팀원 간의 사이가 안 좋았다는 ‘팀불화설’ 서태지의 건강이 악화됐다는 ‘건강악화설’ 등의 여러 소문들이 퍼다하게 흘러나갔다. 특히 이 중에 서태지의 은퇴에 조폭이 개입됐다는 ‘조폭개입설’이 큰 관심을 모았다. 이에 경찰은 본격적으로 서태지의 은퇴와 조폭간의 연루 연부에 대해 집중 수사했으나 아무 관련이 없는 것으로 수사는 마무리됐고 해프닝으로 끝났다.

은퇴 선언 후 계속 잠적 해오던 서태지는 은퇴를 선언한 지 9일 뒤인 1월31일 오전 10시 45분 서울에 위치한 성균관대학교에서 고별 기자회견을 갖는다. 이 자리에서 그는 “4년간의 가수생활을 끝내고, 평범한 청년으로 돌아간다”며 심경을 털어놓았다.

은퇴 이유에 대해서는 “새로운 음악을 만드는 창조의 고통이 너무 커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지금, 가장 아름다울 때 떠나겠다는 약속을 꼭 지키고 싶었다”고 밝혔다.

서태지는 “여행을 통해 아픈 마음을 안정시키고 폭넓고 건강한 사람으로 성숙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하며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 미국 LA로 떠난다. 이후 서태지의 은퇴 심경을 담은 고별 앨범, 타이틀곡 굿바이가 나오고 이 음악을 마지막으로 팬들은 서태지의 음악과 이별하게 된다.    

이지아와 결혼·이혼 충격

이렇게 팬들의 사랑을 뒤로 한 채 은퇴를 선언했던 서태지는 1998년 7월 한국 가요계에 다시 문을 두드린다. 이번엔 솔로가수로 변신해 5집 앨범(솔로 1집) Seo tai ji를 발표하며 큰 화제를 모으게 된다. 비록 활동은 하지 않았지만 그의 5집 음반은 마치 날개가 돋친 듯이 팔리며 그의 변함없는 인기를 실감케 했다. 이후 잠잠하게 있던 서태지는 은퇴를 선언한지 4년 7개월 만인 2000년. 본격적인 컴백을 알리며 한국에 입국한다. 그는 6집 앨범 울트라맨이야로 돌아왔고 그를 기다렸던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으며 같은 해 9월 컴백기념 콘서트도 여는 등 꾸준한 활동을 한다. 2004년 7집 앨범 7th Issue 2009년 8집 앨범 Seotaiji 8th Atomos도 내며 최근까지 왕성한 활동을 보여줬다.

지난 4월 서태지는 팬들에게 1996년 은퇴를 선언했을 때보다 더 큰 메가톤급의 충격을 안겨주었다. 서태지가 탤런트 이지아와 부부관계였다는 것. 이 사실은 이지아가 지난 4월 18일 서태지에게 ‘위자료와 재산분할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며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 사실에 대해 팬들이 경악을 금치 못한 것은 서태지가 데뷔 후 지금까지도 일절 신비주의를 유지한 채 자신의 사생활을 외부에 전혀 공개하지 않은 채로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태지가 결혼했다는 자체만으로도, 또 그 상대가 이지아란 사실만으로도 팬들은 아연실색했다.

서태지와의 관계가 외부에 알려지고 대중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게 된 이지아는 지난 4월30일 ‘소 취하’를 결정하며 이번 사건의 확대를 막으려고 했다. 그러나 5월17일 서태지는 이지아의 위자료 및 재산분할 청구 소송 취하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하며 이 사건에 대해 종지부를 찍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앞으로 이 사건이 또 재발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확실히 해두겠다는 것.

그간 이 사건이 진행되오며 서태지는 여배우 염문설, 10억+α설 등의 각종 루머에 휩싸이기도 해 이번 소송에서 이긴다고 해도 지금껏 ‘신비주의’로 쌓아 왔던 이미지에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으로 데뷔 20주년을 맞는 서태지는 현재 9집 앨범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팬들은 이번 사태가 무사히 마무리되어 서태지의 음악을 하루빨리 들을 수 있기를 염원하고 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변곡점’ 의정 갈등 엔드게임

‘변곡점’ 의정 갈등 엔드게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구성원의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된 수장이 반년 만에 끌려 내려왔다. 막말에 가까운 강한 발언과 제멋대로인 행보가 탄핵을 불렀다. 강성 수장이 물러나면서 변화를 기대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대화의 문이 열릴 것인가, 더 높은 벽이 쌓일 것인가.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 전 회장이 3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탄핵당했다. 지난 5월 취임 이후 6개월 만으로 의협 역사상 2번째, 최단기간 내 불명예 퇴진한 회장이 됐다. 첫 번째는 2014년 4월 임기 1년여를 앞두고 탄핵당한 노환규 전 회장이다. 두 번째 최단기간 의협은 지난 1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임 전 회장의 불신임안을 처리했다. 참석 의원 224명 가운데 170명(75.9%)이 찬성했다. 반대는 50명, 기권 4명이다. 전체 대의원 249명 가운데 224명(91.1%)이 표결에 참여했다. 의협 정관에 따르면, 회장 불신임안은 제적 대의원 3분의 2 이상이 출석하고, 출석 대의원 3분의 2 이상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지난 3월 임 전 회장은 선거서 유효 투표수 3만3084표 중 2만1646표를 받아 당선됐다. 65.43%의 압도적인 지지다. 의협 회장 선거는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로 의정 갈등 수위가 높아지고 있을 무렵에 치러졌다. 전공의가 병원을 떠났고 정부가 ‘2000명’을 강조하던 시기였다. 의협 회원들은 강성 중의 강성으로 분류되는 임 전 회장에게 힘을 실었다. 임 전 회장의 어깨에 너무 힘이 들어갔던 것일까? 임 전 회장의 언행은 사사건건 도마 위에 올랐다. SNS에 올린 글, 공식 석상서 했던 발언 등이 막말 논란으로 번졌고, 단식투쟁 등의 행보는 ‘쇼’라는 비판을 받았다. 무엇보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 비대위원장과 갈등을 빚으면서 의료계 내부 분열을 조장한다는 지적이 뼈아팠다. 임 전 회장이 8개월 동안 보여준 모습은 고스란히 탄핵 사유가 됐다. 의협 회원 사이에서는 임 전 회장이 SNS로 막말과 실언을 해 의사단체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비판이 일었다. 또 ‘임 회장이 전공의 지원금을 빼돌렸다’는 허위 비방 글을 올린 시도의사회 임원에게 고소 취하 대가로 1억원을 요구한 사실이 녹취록을 통해 알려져 논란이 불거졌다. 특정 인물에 대한 수위 높은 비판은 여론의 역풍을 불렀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을 겨냥해 “정신분열증 환자 같은 개소리”라고 비난하는 글을 올렸다가 환자를 비하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임현택, 6개월 만에 탄핵당해 막말 논란·의대 증원 못 막아 또 2021년 한 의사가 80대 환자에게 ‘맥페란’ 주사제를 투여한 뒤 부작용이 나타나 기소된 재판에 대해서도 도 넘는 발언을 쏟아냈다. 이른바 ‘맥페란 재판’ 항소심서 판사가 1심의 금고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해당 의사의 항소를 기각하자 “이 여자 제정신입니까?”라는 글을 SNS에 올린 것이다. 임 전 회장의 발언에 법원은 이례적으로 “재판장의 인격에 대한 심각한 모욕일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크게 훼손할 수 있는 매우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의대 정원 증원 집행정지와 관련해 기각·각하 결정을 내린 재판장이 ‘회유’받았을 것이라는 주장으로도 입길에 올랐다. 서울고등법원 재판부가 결정을 내린 다음 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재판장의 실명을 거론하면서 “지난 정권에서는 고법 판사들이 차후 승진으로 법원장으로 갈 수 있는 그런 길이 있었는데 제도가 바뀐 다음에는 그런 통로가 막혀서 이분이 아마 어느 정도 대법관에 대한 회유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있다” 말했다. 서울고법은 법원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해당 단체장의 아무런 객관적 근거가 없는 추측성 발언은 재판장의 명예와 인격에 대한 심대한 모욕”이라면서 “사법부 독립에 관한 국민의 신뢰를 현저히 침해할 수 있는 매우 부적절한 언사다.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여기에 결정적으로 정부의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을 막지 못한 점, 간호법 제정을 저지하지 못한 점이 탄핵 사유로 꼽혔다. 임 전 회장은 총회를 앞두고 의사 회원들에게 사과하고 페이스북 계정을 삭제하는 등 재신임을 호소했지만 반전은 없었다. 회장을 탄핵한 의협은 비대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지난 13일 새로운 회장 선거 전까지 단체를 이끌 비대위원장을 뽑았다. 그 결과 박형욱 대한의학회 부회장이 1차 투표서 총 유효 투표수 233표 중 123표(52.8%)를 얻어 과반으로 당선이 확정됐다. 임기는 내년 1월 차기 회장이 선출될 때까지다. 뒤늦게 호소했지만… 박형욱 비대위원장은 “정부는 의료 파탄이란 시한폭탄을 장착해놨다”며 “정말 대화를 원한다면 정부는 먼저 시한폭탄을 멈춰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대위원들의 합의에 기초해 입장과 행동을 결정할 것”이라며 “비대위 운영서 소외돼왔던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게 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임 전 회장이 물러나고 새로운 비대위원장이 등장하면서 의협의 투쟁 방향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일각에서는 의협의 이번 행보를 의정 갈등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보고 있다. 강성 회장을 필두로 정부와 강하게 대립했던 이전 모습서 벗어나 대화에 참여할 것이라는 의견과 이전보다 더 수위 높은 대정부 투쟁이 예상된다는 의견으로 갈리는 중이다. 후자의 배경에는 대전협이 있다. 앞서 박단 비대위원장 등 전공의 70여명은 전날 의협 대의원들에게 “비대위원장으로 박형욱 교수를 추천한다”는 메시지를 보내 공개 지지 의사를 드러냈다. 대의원회서도 박단 비대위원장의 공개 지지에 대해 경고하는 등 잡음이 일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대전협의 지지를 등에 업은 박형욱 비대위원장이 당선되면서 전공의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의협과 대전협의 공조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문제는 양측의 교류가 정부와의 대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느냐는 점이다. 박형욱 비대위원장은 당선 소감부터 정부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또 윤석열 대통령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의정 갈등서 줄곧 선봉에 선 전공의들은 ‘의대 정원 증원 백지화’라는 요구사항서 앞으로도 뒤로도 움직인 적이 없다. 전공의의 행보는 의대생, 의대 교수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향력 커진 전공의 단체 의료계가 전공의 중심으로 굴러가고 있는 셈이다. 실제 대전협은 지난 11일 출범했던 여야의정협의체(이하 협의체)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협의체는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불참하고 의료계에서는 학술 단체인 대한의학회와 의대 학장 모임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만 참석하는 등 ‘반쪽 출범’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협의체의 운영 기한은 올해 말까지로, 다음 달 22~23일 전에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태도다. 하지만 박단 비대위원장은 협의체에 대해 ‘무의미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협의체가 첫발을 뗀 11일 SNS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전공의와 의대생, 당사자 없이 대화나 하겠다는 한가한 소리를 하고 있다”며 “한 대표는 2025년 의대 모집 정지와 업무개시명령 폐지에 대한 입장부터 명확히 밝히시길 바란다”고 일갈했다. 이어 “눈치만 보며 뭐라도 하는 척만 하겠다면 한동훈의 ‘여야의정 협의체’ 역시 임현택 전 의협 회장의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와 결국 같은 결말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올특위는 의료계의 입장을 하나로 모으기 위해 의협 주도로 구성한 범의료계 특별위원회다. 전공의와 의대생이 해당 위원회에 불참하면서 파행 운영되다 지난 7월 해체됐다. 정부는 협의체서 의료계가 제안한 내용에 대해 “진정성 있게 검토하겠다”는 견해를 밝혔다. 지난 11일 협의체서 의료계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자율성 보장, 추가 합격 제한 등을 통한 2025학년도 의대 선발 인원 축소 등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지난 14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면서 “마주 앉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 만큼 활발한 대화와 소통을 통해 누적된 갈등을 해소하고 신뢰를 회복해 국민이 원하는 결과를 끌어낼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협과 전공의 등 다른 의료계 단체의 참여를 호소했다. 박단 공개 지지 새 비대위원장 강경 투쟁이냐 VS 노선 변화냐 의료계 내부 상황은 크게 바뀌었지만 향후 상황은 여전히 ‘시계 제로(0)’ 상태다. 임 전 회장과 박단 비대위원장 간 갈등의 불씨도 여전히 살아있다. 대전협은 임 전 회장의 탄핵을 공개적으로 요청하는 등 ‘(임 전 회장과)같이 갈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밝힌 바 있다. 실제 대전협은 임 전 회장의 탄핵을 요청하면서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새로운 회장을 필두로 의협과 대전협 두 단체가 향후 상호 연대를 구축할 수 있길 기대한다”는 입장문까지 냈다. 임 전 회장의 탄핵안 가결 직후 박 비대위원장이 “결국 모든 길은 바른 길로”라는 내용의 SNS 글을 올리기도 했다. 문제는 임 전 회장이 박단 비대위원장을 상대로 반격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 전 회장은 탄핵 사흘 만에 닫았던 페이스북 계정을 다시 열고 “박단과 그 뒤에서 박단을 배후 조종해 왔던 자들이 무슨 일을 해왔는지 전 의사 회원들에게 아주 상세히 밝히겠다”며 박단 비대위원장을 저격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면서 “의협 대의원회 비대위원장과 의협 회장 선거가 더 이상 왜 필요한가”라면서 “박단이 의협 회장 겸 비대위원장을 맡아 모든 권한과 책임하에 의료 농단을 해결하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지해주셨던 모든 분에게 우선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유가 어떻든 회장 취임 전부터 탄핵하겠다고 마음먹고 있던 자들에게 빌미를 주어 넘어간 것 자체가 제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또 의협의 근본적인 개혁의 첫걸음으로 의협 대의원회 폐지 등을 내용으로 하는 민법상의 사원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원총회는 민법에 규정된 사단법인의 최고의사결정 기관이다. 의협 최고의결기구로 알려진 대의원총회보다 상위에 있고 정관의 규정으로 폐지할 수 없다. 사원총회는 이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나 총 사원 5분의 1 이상이 회의의 목적 사항을 제시해 청구하는 경우 소집될 수 있다. 반격 시작 내부 갈등? 올해 2월 시작된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10개월째로 접어들었다. 온갖 말이 오갔지만 되짚어보면 조금도 좁혀지지 않은 평행선 상황이 계속되는 모양새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치 상황이 길어질수록 ‘의료 붕괴’는 가시화되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이제는 정말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