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44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힘들겠습니까?” “지금 상황으로는 쉽지 않을 듯합니다.” “윤대중 납치사건 여파 때문에 그러합니까?” “그도 한 이유가 될 수 있지만 수상께서 적극적으로 나서주실지 그 부분이 걱정입니다.” 김 총리가 잠시 다나까 수상을 생각한다는 듯 침묵을 지켰다. “지금 윤대중 사건으로 인해 우리가 진행해야 할 일들이 발목을 잡혀 곤경에 처해 있음을 장관께서는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만.” “물론입니다. 수상께서도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rdqu
<제1043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형이 방금 이야기하지 않았어. 이미 끝난 일이라고.” “그랬지. 그럼 무슨 이야기를 해보겠다는 거냐?” “나도 몰라. 좌우지간 이번 사건에 대해 한번 폭넓게 대화를 나누고 방법을 모색해 보았으면 해.” 문석원의 차분한 답에 동원이 더 이상 추궁하지 않고 잠시 호흡을 고르고는 모임 장소로 이동했다. 단합대회가 끝나고 고영진과 김성남이 그날의 일을 마무리하기 위해 김성남의 숙소에서 둘만의 시간을 갖고 있었다. 그 자리에 술에 취한 문석원이 예고도 없이 찾아들었다. “자네가 오
<제1042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박 대통령의 유감 표명과 함께 귀국에서 책임있는 분이 직접 일본을 방문하여 이번 사건에 대해 사과해주었으면 하고 요구하였습니다.” “그러면 진사 사절을 지칭합니까?” “그렇습니다.” 고이즈미가 짤막하게 말을 받자 김 대사가 가볍게 신음을 내뱉었다. “누구를 지칭하는 겁니까?” 조 참사관의 질문에 고이즈미가 답하지 않고 다시 찻잔을 만지작거렸다. “그러면‥‥‥.” “김운정 국무총리를 진사 사절로 보내주기를 요청하였습니다.&rdquo
<제1041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잘못된 게 아니라 당신이 영사관 요주의 인물이라 하더라고. 그래서 혹여나.” “왜 혹시 무슨 일이라도 발생할까 염려되어 그래.” “당연하잖아. 행여나 당신에게 무슨 일이라도 생기면 나는 어쩌라고.” 석원이 슬그머니 팔을 빼어 기미코를 가슴으로 껴안았다.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 기미코가 석원의 가슴을 파고들었다. 한고비 넘겼는데… “당신도 전에 윤대중 선생 연설 들어본 적 있잖아.” “물론 그랬었지. 당신과 함께.” “그
<제1040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다른 사람들 보면 어쩌려고.” “우리 사이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거 아닌가.” “정작 고타로만 빼고 말이지.” 문석원이 고개를 옆으로 돌려 슬그머니 기미코의 머리카락에 코를 댔다가는 떼었다. “난조 상, 우리 옛날 생각하며 바닷가로 가는 게 어때?” 문석원이 대답 대신 코를 벌름거리며 방향을 잡아갔다. “고타로와는 아직도 잘 맞지 않나?” “맞고 안 맞고를 떠나서 내게는 오로지 당신뿐이야. 그런데 당신은 어때?”
<제1039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대사님, 이제 슬슬 역공을 준비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역공이라니.” “이 서기관을 지목한 일에 대해 우리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그들의 행태를 비난해야지요.” “이 사람아, 그게 어디 가당한 일인가?” “네!” “어차피 그 사건은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작품 아니던가.” 피할 수 없는 역풍 “그래도.” “강한 역공은 역풍을 맞을 수 있네. 그러니 우리는 저들의 공세에 수세적인 입장에 처하면서
<제1038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자네가 어떻게 장담하는가, 특히‥‥‥.” “특히 무엇을 말입니까?” “그 사람들이 고분고분 당할 리도 없고. 또 영사관 직원들 중에서도 남조선 정보기관 사람들이 반드시 있을 터이네. 그리고 자네 성격을 한번 생각해보게.” “제 성격이 어때서요?” “그걸 몰라서 물어보나?” “하기야.” 잠자코 대화를 듣고 있던 기미코가 석원을 주시했다. “너는 또 왜 그래!” “뭐라고!” 문석원
<제1037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이 은혜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원님.” 두 사람의 연이은 치사에 이하라가 가볍게 손을 저었다. “실은 내 경우 윤대중과 북조선을 인정하지 못하는 입장이오. 아울러 장기적으로 볼 때 북조선과 일체의 교류도 중지하고, 특히 일본에서 조총련의 합법적인 지위도 박탈해야 한다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대한민국의 이익과 내 생각이 맞아떨어지는 게지요.” “여하튼 대한민국을 대표해서 진정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말을 마친 김효가 모두의 잔을 채웠다.
<제1036호>
<제1035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많이 기다리셨겠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눈을 피하느라 빙빙 돌아오다 보니 이렇게 늦었습니다. 용서 바랍니다.” “용서라니요, 당치않습니다. 어서 자리하시지요.” 모두 자리를 정돈하자 음식이 들어오기 시작했고 잠시 일상사로 대화를 나누었다. “한 잔 받으시지요.” 자리가 정돈되고 종업원들이 물러서자 김효가 술병을 들었다. 이어 술잔이 채워지자 가볍게 잔을 부딪쳤다. “김운정 총리께 전화상으로 사건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들었습니다만.” 이하라가 담담한 표정으로 말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왜요, 문제 있습니까?” “문제라기보다도, 이런 문제를 본부에서 드러내놓고 접근할 수는 없는 일 아닌가. 혹여 만에 하나라도 일이 잘못되어 본부가 연루된 사실이 밝혀진다면 가뜩이나 열악한 상황이 더욱 꼬여들 걸세.” “그래서 오사카지부 자체로 준비하라는 말씀입니다.” “반드시 그런 건 아니네. 다만 본부는 전면에 나설 수 없으니 그를 감안하고 일처리 하라는 이야기라네.” “구체적으로 말씀 주시지요.” “일단 단기적으로는 양동작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