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사명감 같은 건 없었다. 열두 살 나이에 대장장이 하는 일이 신기해 그에게서 쇠 다루는 법을 배웠다. 대장장이가 되는 길은 생각보다 험난했다. 먹고 살기 바빠 다른 길은 보지 못했다. 그렇게 길 없는 길을 50년 걸었다. 문득 뒤돌아보니 거기에 새 길이 나 있었다.
가야는 철의 왕국이었다. 신라시대 이후 철의 전성기는 다시 찾아오지 않았다. 그런데 서울에서 대장장이로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 서울 은평구 수색역 앞 ‘형제대장간’의 류상준(64), 상남(56) 형제다. 형인 상준씨가 쇠를 달구고 두드려 천년의 기술을 뚝딱 재현해냈다. 김훈 작가 소설 <현의 노래> 속 대장장이 ‘야로’를 현 시대에서 보는 듯했다.
쇠도 근본이 있다
“안 들려. 크게 말해줘. 대장간 일이 원래 이렇게 시끄러워”
말 걸기가 미안할 정도로 대장간은 바빴다. 이날 동생 상남씨는 다리가 아파서 못 나왔다고 했다. 형 상준씨가 화덕에서 벌겋게 달아오른 쇳덩이를 꺼내 모루 위에 올렸다. 상준씨는 그의 제자와 함께 쇳덩이를 해머로 ‘쿵쾅쿵쾅’ 메질했다.
“그렇게 두들기면 안 돼. (방향을) 틀어봐”
그리고 쇳덩이를 물 속에 넣어 식혔다. 담금질을 거듭하면서 쇠는 더욱 강해졌다. 뜨거운 화덕 앞에서 상준씨는 쉴 새 없이 메질을 했다. 그는 두들기고 다져 벌겋게 달군 쇳덩이를 새로운 도구로 만들어냈다. 밀려드는 주문과 쇠를 자르고 두드리는 소리에 인터뷰는 자주 끊겼다. 대장간 안을 둘러봤다. 10평 남짓한 공간 안에 낫, 호미, 갈고리, 집게 등 철로 만든 각종 도구가 켜켜이 쌓여 있었다. 주문한 작업 한 건이 끝나자 식어가는 화로를 보며 그가 말했다.
“쇠에도 근본이 있지. 칼 될 놈, 호미 될 놈, 숟가락 될 놈…다 태생이 있어. 이 중에서도 칼이 제일 까다로워. 쇠 자체가 늘어나지도 않는 강쇠니까. 지금이야 갈 수 있지만 예전에는 칼을 벼리는 게 무척이나 어려웠어”
달구고 두드려 천년의 기술 ‘뚝딱’
담금질 거듭할수록 쇠는 더 강해져
그 옛날엔 대장간이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대장간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기계로 찍어낸 중국산 도구가 활개를 치면서 대장장이는 사라졌다. 중국산 싸구려들 틈새에서 형제대장간이 버틸 수 있던 것은 상준씨의 장인정신 덕분이었다.
“중국에서 만들었다고 다 나쁜 것은 아닌데, 진짜 좋은 도구는 주물로 만드는 중국제가 아니라 이렇게 망치로 두드려 만든거야. 기계는 호미모양 따라서 그저 호미처럼만 만드니까. 같은 호미라도 밭에 잘 들어가는 게 있고, 안 들어가는 게 있는데 기계로 만드는 것과 두드려 만드는 것 차이가 여기서 드러나. 기계는 호미모양 따라서 그저 호미처럼만 만드니까. 중국 제품이 워낙 많이 들어와서 우리나라 전통 대장간 많이 사라졌지. 대장장이 일 배우려는 사람도 없고. 아마 대장간은 앞으로 없어질거야”
그래도 올해 상준씨에게 제자가 생겼다. 옆에서 도와주던 이가 그의 제자라고 했다.
“가르치는 데 힘드냐고? 아니야. 기특해. 중학교 때 여기 직접 찾아와서 일 가르쳐달라고 하더라고. 고등학교 졸업하고 오라고 했는데 진짜 왔어. 눈썰미도 있고 손재주도 있어서 잘할 거야. 사람들은 힘들다고만 생각하는데 대장장이가 남자들 하기에 괜찮아. 부자로 만들어주지는 못하지만 정직한 직업이라고 생각해. 일한 만큼 먹고 살 수 있는 직업이지.”
하기 싫을 때도 많았다. 먹고 살아야 했기에 그만둘 수는 없었다. 대장간에서 나온 돈으로 집을 사고 두 딸도 키웠다.
“예전엔 농사를 많이 지었으니까 주로 농기구를 많이 다뤘는데, 요즘은 온갖 주문이 들어와. 건축자재도 많이 만들고, 사극에 나오는 기구들은 거의 우리 집에서 만든 거야. 며칠 전 SBS 사극드라마에 나온 한지 자르는 기구랑 횃불에 횃대도 여기서 만들었어.”
인기드라마 <대장금>, <주몽>, <태왕사신기>, <서동요> 등에서 봤던 소품 도구도 모두 형제대장간에서 만들었다. 지금은 농기구 대신 공사장이나 건축을 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을 만드느라 정신이 없다. 북한 개성공단 건설에 필요한 도구를 주문받기도 했다. 상준씨가 대장장이로서 보람을 느낀 때는 스승의 칼을 다뤘던 경험이다.
“예전에 어떤 손님 한 분이 칼을 고쳐달라고 가져왔어. 그런데 그게 우리 모래내 영감님(상준씨의 스승)이 만든 칼이더라고. 딱 보면 알아. 누가 만들었는지. 더군다나 우리 선생님이 만든 건데 내가 못 알아보겠어? 내가 스승님한테 쇠 만지는 거 배웠어도 추구하는 모양은 달랐어. 칼끝이 올라가 있더라고. 50년 전 선생님이 만든 칼이야. 그걸 내가 고쳤지. 묘했어.”
스승이 만든 칼을 세월이 흘러 제자가 고친 것이다. 상남씨의 스승은 모래내 대장간 주인이었던 박용신씨다. 박씨는 2004년 여든 두 해에 생을 마감했다.
“초등학교 졸업하고 대장장이 일을 배웠어. 그때 모래내(대장간) 영감이 내 스승인데, 쇠붙이 만드는 게 재밌어 보이더라고. 불 속에 쇠를 넣고 호미, 낫 등 못 만드는 게 없는거야. 그게 그렇게 신기했지. 풀무질(쇠를 달구어 무르게 하고, 무른쇠를 두드려서 단단한 연장을 만드는 과정) 죽도록 했어. 배울 때 불길 못 맞춘다고 엄청 혼났지. 힘들었어. 불은 뜨거운데 고무신이 흘러 내려서 새끼줄로 발목을 칭칭 동여매고 일했을 정도였으니까.”
눈만 뜨면 쇠망치를 잡았다. 이제는 쇠를 다룬 지도 50년이 다됐다. 도구에 작은 흠이라도 눈에 보이면 내동댕이쳤다.
도심 속 대장간
그래서 형제는 다툴 때도 많았다. 상준씨의 완벽주의 때문이다.
“자주 싸웠지. 형제니까. 그래도 주로 일 때문에 싸우는 거라서 또 금방 풀어져.”
상준씨의 꼼꼼함은 한 번 찾은 손님을 단골손님을 만들었다. 그는 50년 가까이 비지땀을 흘려가며 도심 속에서 대장간을 지켜왔다. 호미 한 자루가 쓰임을 다하고 다시 불길 속으로 되돌려질 수 있다면 그것으로 그만이었다.
<dklo216@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