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바야흐로 기호의 시대. 혹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재림과 함께 예술 영역의 비평은 종언을 맞게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하지만 비평의 홍수는 도리어 ‘진짜 평론가’의 부재를 역설적으로 증명했다. 미술평론가 변종필 경희대 교수는 부침을 겪고 있는 국내 미술 평단에 대한 진단과 함께 제대로 된 비평의 필요성을 논리적으로 풀어냈다.
'미술 평론은 죽었다' 이 도발적인 질문에 미술평론가 변종필 교수는 고개를 저었다. 변 교수는 "현재 평론가들이 느끼는 문제의식과 어느 정도 일치하지만 그렇다고 '제대로 된 평론이 없다'는 말에는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말을 이었다.
평론이 필요해
"국내 평론가협회 역사가 60년 정도 됐습니다. 현재 협회에 소속된 평론가는 60여명, 비공식으로 활동하는 평론가까지 더하면 모두 100여명 정도 되고요. 과거부터 미술계에 어떤 담론을 형성하던 우리 평론이 어느날 갑자기 사라진 건 아닙니다. 다만 과거에 비해 평론가의 역할이 약화되긴 했죠. 그건 사람들의 인식 변화가 커요.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과거에는 쉽게 얻을 수 없었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창구가 많아진 것도 있고. 본질적으로 보면 전문화된 비평은 지금도 하고 있지만 사람들이 잘 읽지 않죠."
"영화를 예로 들까요? 영화에 관한 전문적인 글보다는 한 개인이 영화를 보고 느낀 소감을 적는 게 (대중의 입장에선) 더 많은 공감을 이끌어냅니다. 그렇다고 영화평론가의 존재감이 없는 건 아니거든요. 사실 미술 평단의 흐름은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얘기보다는 개별 작가들에게 포커스를 맞춘 심층 연구가 더 활발해요. 저는 긍정적으로 봅니다."
변 교수가 말하는 평론가의 역할은 크게 4가지. 첫째는 작품 해석을 통한 텍스트의 미적 가치를 재발견 하는 일, 둘째는 작가의 작업에 대한 창조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일, 셋째는 예술 교육자로서의 전수, 넷째는 문명 진단자로서의 역할이다.
"어떤 작가들은 그래요. 내 그림도 잘 모르면서 평론한다. 일반 독자들도 그래요. 평론과 그림이 따로 논다. 그런데 이건 작가가 그림을 그리면서 모든 사람이 똑같은 해석과 감상을 갖기를 기대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요. 오히려 여기서 평론가의 역할은 작가에게 창조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있어요. 또 평론가의 글은 모든 대중을 아우르는 보편적 공감을 향하기 보다는 작가와의 교감에 더 힘을 싣는 경우가 더 많아요."
변 교수는 최근 두드러진 문화블로거의 약진에 대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전문성이 검증되지 않은 블로거들이 평론가 고유 영역을 침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도 “우리의 전반적인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올바로 보기 위해선 평론가 필요
"문화블로거 약진 바람직한 현상"
"과거에는 지금의 블로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어요. 그렇다고 해서 평론가가 사라진다? 오히려 지금의 평론가들이 차별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고, 비전문가가 보지 못하는 부분까지 해석하기 위해서 공부를 해야죠. 중요한 건 비평을 할 때 3가지를 잊지 않아야 하는데 첫 번째는 기술이고, 두 번째는 해석, 마지막이 평가입니다. 이중 제일 중요한 게 뭘까요? 바로 해석입니다 왜냐하면 해석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잖아요."
"요즘 문제가 된 NLL도 결국은 해석의 차이죠(웃음). 이렇듯 미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할 거냐, 미술사적 측면에서 해석할 거냐, 문화사적 측면에서 해석할 거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집니다. 기술은 누구나 할 수 있어요. 하지만 궁극적으로 해석에서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어쨌든 블로거들이 어떤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되면 그로 인해 담론도 형성되고 해석도 풍부해진다는 점에서 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변 교수는 평론가 데뷔 후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2년 정도 시민강좌를 진행했다. 대학 강단에 섰을 때와 가장 달랐던 점은 강의를 듣는 학생들의 눈높이. 변 교수는 "많은 사람들은 작품을 볼 때 느낌에 앞서 학습된 틀에 갇힌다"며 "작품에 대한 관심이 선행됐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는 배움의 질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보통 사람들이 그림이 어렵다고 하는 건 다른 예술 작품과 달리 기승전결이 없기 때문이에요. 서사적 구조가 없으니까 읽어내기 어렵고요. 특히 추상화처럼 개인의 주관을 표현한 작품은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대중은 그림과 거리감을 느끼는데요. 이 거리감은 그림을 많이 보고 작가를 공부할수록 좁혀져요. 고흐의 그림만 해도 당시에는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그림이었어요."
"이건 그림 같지 않다는 얘기까지 있었죠. 그런데 어떻습니까? 그의 작품과 노트, 생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대중도 친숙해지면서 세계적인 작가가 됐잖아요. 그림을 올바로 보기 위해서는 이처럼 작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작가를 잘 이해하고 있는 평론가의 글도 그래서 필요한 거고요."
공부 또 공부
변 교수는 평론가 데뷔 전 작가로 활동했다. 그가 평론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계기는 자신의 작업이었다. 변 교수는 "내가 화가였기 때문에 그림을 볼 때 화가의 입장에서 보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놨다. 변 교수는 "평론가로서 조금 더 객관화된 시각을 위해 화가가 아닌 평론가의 입장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지만 그의 고뇌에서 그림을 향한 순수한 애정이 묻어났다.
"제가 강의를 하면 그림에도 좋은 그림과 나쁜 그림이 있냐는 질문을 던져요. 당연히 있죠. 저는 사람들이 좋은 그림을 많이 봤으면 좋겠어요. 그럼 '어떤 그림이 좋은 그림이냐' 물으실 건데 평론가의 추천이 됐든 유명 갤러리의 전시회가 됐든 찾아가서 보시면 좋겠어요. 관심을 가져야 그림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어지지 않을까요."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변종필 교수는?]
▲200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 당선
▲한국미술평론가협회편집위원
▲ANCI연구소 부소장
▲경희대 국제캠퍼스 평생교육원 객원교수
▲삼육대 뮤지엄&조형컨텐츠 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