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컴퓨터가 없던 시절, 한석봉은 '글 잘 쓰는 재주'로 천하가 알아주는 명인이 됐다. 하지만 16세기의 한석봉이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난다면 한석봉은 아마 어머니와 함께 떡집을 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학천 이상명 선생은 21세기인 지금도 학생들에게 서예를 가르치고 있다. 그에게 서예는 아버지가 남긴 유산이자 후세에 남겨야 할 보물이다.
흔히 양반(兩班)이라 하면 책상 앞에 앉아 '공자왈 맹자왈'하는 문약한 선비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만난 학천(鶴天) 이상명 선생은 문인(文人)보다는 무인(武人)에 가까운 풍모를 갖고 있었다. "소싯적엔 맨손으로 흉악범을 제압해 경찰로부터 표창장을 받기도 했다"는 그는 태권도와 관련한 일화로 먼저 말문을 열었다.
문무 겸비
"제가 지금은 체격이 좀 있지만 어릴 때는 몸도 약하고 체구도 작아서 친구들에게 맞기도 많이 맞았어요. 그런데 우리 형님 중에서 태권도를 하신 분이 있었어요. 그 형님께 태권도를 처음 배운 게 지금으로 치면 초등학교 4학년 정도 됐을 거예요. 그때 배우기 시작해서 3년 뒤에는 단증을 땄고요."
"중학교 때부터는 시골에서 사범 노릇을 하면서 운동을 했지요. 아버님께는 붓글씨를 배우고, 형님께는 태권도를 배우고. 운동 마치고 도복을 짜면 매일 땀이 흥건하게 나올 정도로 운동을 열심히 했습니다. 서울에 올라 와서도 단련을 계속 했고요. 하지만 붓을 멀리 한 적은 없습니다. 말하자면 문무를 함께 단련했던 게지요."
이상명 선생은 방영 중인 MBC 드라마 <구가의 서>에서 자신의 서예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앞서 KBS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 SBS 드라마 <야인시대> 등 많은 드라마를 통해 글 솜씨를 알렸던 이상명 선생은 현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서예가로 활동 중이다.
"벌써 55년이 흘렀습니다. 6·25 이후 아버님이 다 타버린 책을 붙잡고 통곡하시던 게…. 북한군을 피해 피난 온 곳에서 아버님은 서당을 열고 글씨를 가르쳤어요. 그때부터 저도 매일 아버님을 따라 글씨를 배웠고 어느덧 여기까지 왔지요. 그런데 제가 한창 작품 활동을 하던 80년대에는 인사동에만 80개가 넘는 서예원이 있었죠. 그때는 붓글씨가 쓰이는 곳이 많았습니다."
"학교 선생님들은 물론이고 거의 모든 관공서 직원들이 서예원을 찾아 글씨를 배웠죠. 하지만 컴퓨터가 나온 이후로는 서예원이 쇠락기를 맞았어요. 그래서 지금은 인사동에 서예원이 8개 밖에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런데 서예는요. '글 잘 쓰는 재주'기도 하지만 '인간의 도(道)를 배우는 것'이기도 하거든요. 이런 서예가 우리 주변에서 사라진 게 많이 아쉽죠."
'붓글씨 55년' 서예 대가…TV 통해 대중과 호흡
컴퓨터 보급후 문인 도외 "정책으로 보존해야"
글씨가 곧 자신의 얼굴이나 다름없던 70∼80년대. 학부모는 어린 자녀에게 '올바로 글 쓰는 법'을 가르쳤고, 서예원 교육을 통해 '인의예지'를 배우도록 했다. '정의'나 '청렴' '염치'와도 같은 사회 기본 규범은 '사서삼경'과 같은 고문(古文)을 쓰고 익히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습득됐다. 이렇듯 누구나 배워야 했던 서예는 학습 경쟁이 심해지면서 교과 과정에서 배제됐다. 2000년대 들어서는 많은 서예원이 폐업 수순을 밟았다.
"박근혜정부 교육 정책에서 서예는 경시받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아이들의 인성교육 측면에서 재고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공부에 앞서 인간이 되라'는 말도 있잖아요. 또 아무리 정보화 시대라고 하지만 컴퓨터만으로 할 수 없는 것들이 있어요."
"한 번은 제가 금호그룹 고 박인천 회장의 부인인 이순정 여사의 장례식 방명록을 본 일이 있습니다. 그때 조문을 왔던 전두환 전 대통령이 방명록에 뭐라고 적었는지 아십니까? '축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렇게 써놓은 거예요. 참 얼굴이 화끈거려서…. 또 얼마 전 봤지만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사인만 봐도 참 멋있게 하잖아요. 이렇듯 글씨 하나에도 사람의 품격이 드러나는 거예요."
글씨는 품격
서예 교육 외에도 틈틈이 지인들의 작명 상담을 받고 있는 이상명 선생은 "사람들이 예쁘고 고운 이름만 쓴다"며 "그런 이름은 오래 못 간다"고 설명했다.
"아롱·다롱이란 이름을 지었던 한 사람이 제게 와서 하는 말이 '그때 선생님 말씀을 들을 걸 그랬어요'라며 후회하더군요. 아이들이 놀림 받아서 개명신청을 했다는 거예요. 이렇듯 결국 어긋났던 길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밖에 없어요. '신언서판'이란 말이 지금도 쓰이는 것처럼 서예도 언젠가는 우리 삶 속에 돌아오지 않을까요?"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이상명은 화백은?]
▲1974년 학여서예원 개원
▲1981년 한일친선협회전 출품
▲1982년 전국서예대전 동상
▲1983년 현대미술전 대상
▲1984년 현대미술 초대작가
▲1991년 역동 수묵예술협회 회장
▲1997년 영국 런던박물관 초청출품
▲2003년 한국 서예대상 수상
▲2010년 한국 서가협회전 특선
▲現 유림서도연구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