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침묵이 금인 시대는 갔다." 목아(木芽) 박찬수 선생은 '부처가 입을 열다'라는 작품을 통해 이렇게 선언했다. 늘 닫혀있던 부처의 입을 연 건 그만큼 우리 시대에 해야 할 말이 많아서다. 여기 금보다 더 값진 게 있다. 그건 바로 전통. 이 전통을 말하기 위해 박찬수 선생이 직접 입을 열었다.
경기도 여주에 자리 잡은 목아불교박물관은 평일임에도 견학 온 중학생들로 북적였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인 박찬수 목조각장은 지난 1993년 사비를 털어 이 목아불교박물관을 개관했다. 민족혼 전수가 자신의 사명이라 여기는 이 장인은 "박물관을 지키는 게 민족혼을 지키는 일"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민족혼 지킴이
"세계 어디를 가더라도 박물관만큼 그 나라의 정체성을 잘 드러내주는 곳은 없어요. 예를 들면 불란서의 루브르 박물관이 대표적이죠. 이렇게 다른 나라들은 박물관을 소중히 여기고, 자신들의 전통을 보존-계승하는데 우리나라는 전통에 관심이 없어요. 세계화에 이어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우리 현실에서 이대로 가다간 한민족의 전통과 고유의 주체성이 사라질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박물관은 그래서 중요한 거죠. 우리 민족이 걸어온 길을 후세에 남기는 일이니까."
최근 한민족박물관(가칭)이라는 새로운 박물관 개관을 준비 중인 박찬수 선생은 "민족정기를 세우는 일에 자신의 남은 인생을 걸겠다"며 굳은 각오를 드러냈다. 과거 일제강점기 때, 무장을 통한 독립운동이 있었다면 지금은 문화를 통한 독립운동이 있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보세요. 원래 스타일이라는 표현이 한국에 없잖아요? 그런데 또 싸이의 말춤은 서양에 없는 춤이고…. 어느 정도 외국 흐름은 받아들이면서 우리 고유의 것을 접목할 때 좋은 문화 콘텐츠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얼마나 대단합니까? 싸이 하면 전 세계에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니…. 그게 문화가 가진 힘이죠."
전통하면 왠지 시대에 뒤떨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게 사실. 그래서 전통을 부르짖는 사람들이 종종 '고리타분하다'는 오해를 사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선입견과 달리 박찬수 선생은 누구보다 외국 문물에 개방적이다. 미국-일본-영국-프랑스 등 세계 각국에서 수차례 전시회를 가진 건 물론이고 박물관 문화를 전파하기 위해 유럽 각국을 순회한 전력까지 있다.
"유럽 사람들은 지구가 종말해도 모나리자의 그 미소만큼은 지키고 싶다고 말해요. 그만큼 자신들이 이룩한 문화적 유산에 대한 자부심이 높다는 증거죠.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그런 문화재가 없느냐? 아닙니다. 따지고 보면 일본 국보1호는 우리 선조가 만든 작품이 뿌리잖아요?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모나리자만큼이나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가 많습니다. 하지만 문화재 보호에서 우리나라는 일본보다도 못한 게 현실이죠."
독립운동가 자처한 민족 전통 수호자
"박물관은 공공재" 국가 책임 회피 말아야
세대-이념-종교 갈등 넘어서 자유로운 예술 세계 꿈꿔
그는 문화재 보호 정책과 관련, 정부가 기존의 소극적인 태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민족관이 없습니다. 저는 특별전 형태로라도 민족관을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민족관에 전시될 문화재들이야말로 민족혼줄과 연결돼있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런 문화재들이 유실되면 우리 민족의 혼줄, 즉 뿌리가 끊기는 거거든요. 저는 이 때문에라도 정부가 직접 문화재를 발굴하고 나아가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지금 목아박물관에 보물이 몇 점 있는데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리는 전혀 이뤄지고 있지 않아요. 그뿐이겠습니까? 전통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줄어들면서 사립박물관들은 관리-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하지만 정부는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거죠."
마음을 바꿔야
그는 인터뷰 내내 '마음가짐'을 강조했다. 사람들이 조금씩 마음가짐을 바꾸면 전통의 안정적인 계승은 물론이고 세대-이념-종교 간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예술가 박찬수가 가진 오랜 꿈이기도 하다. 자신의 작품으로 개개인의 갈등을 봉합한다면, 모두가 염원하는 화합의 시대에 조금 더 가까워지지 않겠냐는 얘기다.
"어떤 사람은 기독교 신앙 때문에 이곳 불교미술관에 거부감을 보이기도 해요. 하지만 전 남은 생애, 이런 종교를 초월한 예술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불교 편향적이라는 말도 요즘엔 좋아하지 않아요. 제가 다듬은 어린동자승 조각을 보고, 그 사람들이 어떤 종교를 가졌든지, 어떤 이념을 가졌든지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제가 선조들의 전통을 계승한 예술가로서 이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일이고요. 물론 박물관 운동도 계속 할 겁니다(웃음)."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박찬수 목조각장은?]
▲1949년 출생
▲1973년 신상균 선생, 가또오 선생 불교목조각 사사
▲1982년 제1회 단원예술제 종합대상 수상
▲1987년 백만불수출탑 수상 (대통령상)
▲1989년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 수상
▲1993년 목아박물관장
▲1996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장 기능보유자 인정
▲2000년 한국박물관협회 이사
▲2001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 수상
▲2002년 대한민국 만해예술상 수상
▲2003년 포천중문의과대학 대체의학대학원 외래교수
▲2010년 주영 한국문화원 초청 특별전시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