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박진화 화백은 한때 모든 그림을 불태운 적이 있다.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등학교 미술교사였던 그는 '그림'을 그렸다가 동료와 함께 구속됐다. 1980년대. 그렇게 모든 것을 잃었어도 그에게 '그림'만은 남았다. 지친 몸을 일으켜 그가 향한 곳은 바로 강화였다.
인천 강화군 대산리에는 '박진화미술관'이 있다. 1991년 한 무명작가는 가족과 함께 서울을 떠나 이곳에 터를 잡았다. 그리고 18년이 지난 그곳은 '박진화미술관'이 됐다.
분단 주제로 작품
국내 진보미술의 바통을 이어받은 박진화 화백은 최근 민족미술인협회(이하 민미협) 회장에 당선됐다. 바쁜 일정 속에 만났지만 소박한 그의 웃음은 너무나도 여유롭고, 또 아름다워 보였다.
"회장에 취임하고 나서 딱 한 마디만 했어요. 민미협의 자존심을 지키겠습니다."
민미협은 800여 명의 회원을 갖고 있는 국내 최대의 진보미술가 단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회원수는 1500여 명에 달해 그 위세가 대단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박 화백은 "1995년을 기점으로 많은 것들이 변하기 시작했다"고 입을 열었다.
"꼭 진보미술가뿐 아니라 모든 국민들이 살기 어려워진 것 같아요. 물질적으로도 그렇지만 문화적으로도 마찬가지구요. 사회가 점점 폐쇄적으로 변하잖아요. 모든 것들이 시장 논리에 흡수되고, 사람들은 그 안에서 인간으로서의 내면 혹은 주체성을 잃어가고요."
박 화백은 1985년 7월 '서울미술공동체'가 군사독재에 맞서 싸울 때 그 최전선에 섰다. 이른바 '20대 힘전(展) 사태'가 그것이다. 그때 당시 화가인 박 화백은 오직 '그림을 그렸다는 이유'로 구속됐다.
"모든 예술은 자기 성찰에서 시작하는데 독재 정권하에 있는 우리 현실 문제를 외면하고 싶지 않았어요. 우리의 실존 문제를 그림으로 그리자. 사실 진보미술도 그렇거든요. 하지만 저는 꼭 모든 진보미술가가 정치적인 그림을 그릴 필요는 없다고 봐요. 저도 굉장히 다양한 주제의 그림을 그리고요. 그런데 이 부분에서 대중이 진보미술을 좀 오해하는 게 있죠."
그가 말하는 진보미술은 자기성찰적·사회반영적 미술이다. 예술가 개인이 문제의식을 갖고 자신만의 주체성을 세워야 한다는 게 그가 갖고 있는 지론이다.
"MB정부 이후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지원이 사실상 끊겼어요. 돈 되는 예술만 하겠다는 건데 그럴수록 미술계는 위축될 수밖에 없죠. 산업적 가치만큼이나 예술적 가치도 중요한데 문화 정책이 편중되다보니 공공미술관도 외국 유명작가만 초대해서 작품을 내걸어요. 우리나라에도 훌륭한 작가가 많은데 그들이 전시할 공간은 거의 없고요.”
전두환 정권 시절 '20대 힘전' 주도해 구속
돈 되는 예술만?…MB정부 미술계 지원 '뚝'
"화가는 시대의 증언자"
박 화백은 한 미술관의 사례를 들며 진보미술가라는 이유로 전시를 유보한 사례를 언급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예술가는 자유로워야 하고 어디에 갇혀있으면 안 돼요. 우리 인구가 5000만명이면 이 5000만명이 제각각 다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거예요. 그런게 다양성이죠. 그런데 다양성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우리나라에는 없어요. 북측은 말할 것도 없고."
그는 흔히 '분단 작가'로 알려져 있다. 1991년 서울을 떠나 인천에 자리 잡은 박 화백은 북한과 마주한 강화도에 작업실을 마련했다.
"그곳에서 10년 넘게 있으니까 자연스레 분단을 소재로 한 작품이 나왔어요. 우리가 처해있는 현실. 사람들의 삶. 그런 것들을 생각하다보니 분단을 주제로 한 그림을 구상했고…."
박 화백이 그린 작품 주제는 대부분 사람과 연결돼 있다. 사람의 이야기. 때로는 섬뜩하리만큼 슬프지만 또 어떻게 보면 굉장히 따뜻한 작품. 인간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 그의 그림들은 2009년 포항공대 전 건물에 전격적으로 전시되기도 했다.
"처음에는 학생들이 무서운 그림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계속 보다보니까 익숙해졌는지 나중에는 좋아하더라고요. 이렇게 작품들이 좀 더 많은 곳에 전시됐으면 좋겠는데…. 예전 우리 민족은 집집마다 그림을 붙여놨어요. 그런데 일제강점기 들면서 우리 고유의 문화가 모두 말살됐죠. 일제에 저항한 화가 들어보셨어요? 이런 부분들은 화가들의 책임도 있는 거죠. 뿌리 깊은 사대주의도 그렇고."
자생미학 찾아야
박 화백은 우리 민족에 맞는 자생미학을 주장한다. 서양의 것도 받아들이면서 궁극적으로는 민족 고유의 미학과 한국 미술만의 색채를 만들어야한다는 얘기. 이를 위해 그는 고흐와 밀레 등의 연구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내공을 다졌다.
"저는 지금 시대에도 아픔과 시련이 없는 예술은 영혼의 울림이 없다고 믿어요. 반 고흐는 생전 그렇게 불행했는데 나중에서야 자신의 작품이 유명해질지 몰랐겠죠. 그런데 이건 고흐의 작품에서 그런 아픔과 시련이 지금 우리 눈에 보이는 겁니다. 예술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거거든요. 혹시 누가 압니까. 제가 죽은 뒤에 제 작품이 더 큰 인정을 받을지."
박 화백은 어렵거나 비관적인 얘기에도 그 끝에는 항상 웃음을 지어보였다. 굉장히 긍정적인 그의 성격 탓인지 진보미술과 민미협의 미래가 그다지 어두워보이진 않았다. 그와의 헤어짐을 앞두고 역사의 경계선에 서있는 박 화백이 '시대의 증언자'란 화가의 사명을 오래토록 완수하기를 빌었다.
강현석 기자<angeli@ilyosisa.co.kr>
박진화 화백은?
▲1957년 전남 장흥 출생
▲1981년 홍익대학교 졸업
▲1985년 서울미술공동체 조직 ‘20대 힘전’ 주도로 구속
▲1989년 한강미술관 개인전
▲2009년 박진화미술관 개관
▲2010년 포스텍 기획초대전 ‘발밑과 눈’
▲2013년 민족미술인협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