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정신 나간 불꽃놀이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했던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인근 한강 선상서 불꽃축제가 열린 사실이 알려져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당일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서울 여의도 인근 한강서 열린 선상 불꽃놀이를 촬영한 사진과 영상이 올라왔다.
강행 후폭풍
공개된 사진과 영상에는 여의도 한강을 지나는 선상 위로 여러 개의 화려한 불꽃이 쏘아지는 모습이 담겼다. 이를 두고 온라인상에서는 비판 여론이 들끓었다. 같은 날 전남 무안서 사상 최악의 항공기 참사가 발생한 상황에 부적절한 행사였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29일 중앙재난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지난 4일까지 7일간 국가 애도 기간으로 지정했다. 무안공항 현장과 전남, 광주, 서울, 세종 등 전국 17개 시·도에 합동분향소가 설치됐고, 모든 정부 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은 조기를 게양했다.
이번 불꽃놀이는 서울시가 지난달 20일부터 31일까지 12일간 한강공원 일대서 개최한 ‘2024 한강 페스티벌 겨울’ 프로그램 중 하나인 ‘한강한류불꽃크루즈’ 행사였다.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사전예약을 받아 진행됐다. 참가비는 성인 기준 4만원이다.
비판이 거세지자 행사를 주최한 현대해양레저 측은 홈페이지를 통해 김진만 대표이사 명의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일
한강 선상 불꽃크루즈 행사
현대해양레저 측은 “저 또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 대형 참사에 대해 아쉽고 다신 있어선 안 되는 일이라 생각하며, 희생자분들께 추도하는 마음”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의 취소 요청에도 불구하고 강행했던 행사는 취소됐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가 애도 기간 선포 전이었고 너무 갑작스런 상황이라 미숙한 판단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오늘 선상서 실시된 불꽃은 외국인 방한 인센티브 단체와 이미 계약된 행사로 당일 일방적 취소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어려운 관광업계의 현실이 하지 못할 행사, 하지 말아야 할 행사를 구분하기 어렵게 한 것 같다”며 “엄중한 상황과 대형 참사 속에서 모든 분들이 애도하는 시기에 이런 행사를 진행해 물의를 일으킨 점 진심으로 죄송하고 사과드린다. 잘못된 행동이 맞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사과문? 변명문을 썼네’<youm****> ‘아주 작정을 하고 미쳤구나’<park****> ‘국가가 선포한 애도기간입니다. 자제하는 게 맞습니다’<sche****> ‘시끄럽게 떠들지 맙시다’<did3****> ‘서울시서 취소 요청을 했지만 어쩔 수 없었다? 이 와중에 서울시 챙기냐?’<poli****> ‘이해하고 싶긴 하지만 하필 또 불꽃을 터뜨리네’<dheu****> ‘참사가 발생한 것도 모르고 불꽃놀이를 하나요. 아무리 예약된 거라도 환불을 해주던지 해야죠’<evas****>
국가 애도 기간에…여론 뭇매
부랴부랴 주최 측 사과문 발표
‘미국에선 아직도 911 테러로 죽은 사람을 아직도 애도하는데…다음날도 아니고 당일에?’<js54****> ‘외국인들도 상황을 정중하게 전달하고 불꽃놀이는 취소한다고 하면 이해를 못 하겠니? 오히려 그들은 속으로 비웃었을 지도 모른다. 한국 애들은 사람이 떼로 죽어도 불꽃놀이 한다고’<gari****> ‘모든 것은 본인이 당해봐야 안다’<hjar****> ‘그럼 밥도 먹지 말아야지’<rode****>
‘안 그래도 경기도 안 좋은데… 먹고 살게는 해줘야지’<tofh****> ‘제발 불필요한 마녀사냥은 하지 말자. 큰 참사가 일어나긴 했지만 어쩔 수 없는 사정도 있다’<bigs****> ‘사고는 분명 안타깝고 슬픈 일이지만, 먼 서울에서 그것도 선상에서 불꽃놀이 한 일이 욕먹을 일인가 싶다’<ggob****>
‘안타깝지만 그래도 이미 계약이 돼있고, 그걸 보러온 사람들이 있는데 그냥 돌아가라는 것도 문제가 생기니 할 수 없이 한 거지. 그럼 송년회 하는 회사들은 불매운동이냐?’<hwen****> ‘추모는 추모고 각자 생업은 할 수 없는 것 아닌가요?’<euan****> ‘추모는 하되 각자 일은 해야 하는 거다. 그럼 술집도 다 문 닫고 해외여행도 다 취소하고 놀이동산도 문 닫는 게 맞나?’<toms****>
“미쳤네”
‘정략적인 정쟁은 중단하자! 하늘의 엄중한 경고라 여기고 모두 자중해 국난 극복에 지혜와 마음을 모으자! 위기에 강한 대한민국이 아니던가? 정계는 정계대로 언론은 언론대로 학계는 학계대로 종교계는 종교계대로 험한 일을 당한 국민들을 위로하고 용기를 불어넣어주라’<kkt2****>
<pmw@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특별재난지역 선포, 왜?
정부는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가 발생한 무안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번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사회재난으로는 13번째다.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2003년 대구지하철 방화사건, 2007년 허베이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2014년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2022년 이태원 참사 등이 대표적 사회재난으로 꼽힌다.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되면 범부처 차원에서 관련 법령에 따른 피해자 지원 등의 조치가 이뤄지며, 피해 수습·지원은 무안군 이외에도 재난피해자 주민등록 주소지를 관할하는 지방자치단체서 담당하게 된다.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