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한동엽 유경PSG자산운용 대표가 취임한지 5년이 지났다. 한 대표는 주요주주 중 지분이 가장 낮다. 한상철 유경PSG자산운용 전 대표와 유경그룹의 실세이자 2세대인 한상만씨의 지분이 한 대표보다 높다. 한 대표는 급한대로 지분 매집에 나섰지만 여전히 2세대의 벽은 높기만 하다. 유경산업을 통한 또 다른 2세대들의 지배력도 3세대에 앞서는 상황이다.
유경PSG자산운용은 최대주주인 유경산업을 필두로 오너 일가가 각자 독립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유경산업의 지분이 84.40%로 가장 많고 오너일가의 지분이 13.57%를 차지한다.
교통정리 필요
한동엽 유경PSG 대표의 지분은 1.23%다. 한 대표는 2017년 취임 직후 보유 지분 0.51%를 모두 매각했다. 올해 7월까지 지분을 보유하지 않다가 7월30일과 8월20일 각각 1%, 0.23%를 취득했다.
눈여겨봐야 할 점은 2세대들의 지분이 한 대표보다 모두 높다는 점이다. 한상철 전 유경PSG자산운용의 대표의 지분율이 3.98%로 가장 높고 한상만 유경산업 전임 대표도 지분율 3.84%를 보유하고 있다.
한 전 대표의 경우 지분율 4.98%(10만9862주)에 달했지만 최근 낮아졌다. 한 전 대표는 유경그룹의 부회장으로서의 업무에 집중하기 위해 유경PSG운용의 경영을 조카인 한 대표에게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에게 경영권은 넘어왔지만 영향력은 그렇지 못하다. 유경산업을 통한 우회적인 지배력을 고려하면 직접지분이 없는 또 다른 2세대도 3세대와 비교해 입김이 세다. 3세대 중에서도 한 대표보다 한승엽·한기엽씨의 지분율이 앞선다.
부친인 한상호 유경산업 대표가 한승엽·한기엽씨에게 지분을 증여했기 때문이다.
유경산업의 최대주주는 지분율 9.35%를 보유한 한상호 대표다. 한상혜씨의 지분이 7.89%, 한상만 유경산업 총괄회장의 지분이 2.03%다. 차남인 한상일씨와 한 전 대표의 지분은 각각 0.92%와 1.53%다.
2세대에서 이뤄졌던 명확한 ‘교통정리’가 3세대로는 내려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창업주인 고 한익하 회장에서 2세대로 경영권이 승계될 당시에는 2세간의 지분과 역할을 명확히 구분했다. 유경그룹은 한익하 회장의 4남이 각자 요직을 분담했다.
각자의 영역을 정확히 구분해 형제갈등을 사전에 차단했다.
경영권으로만 보면 유경산업은 2세대, 유경PSG운용은 3세대로 재편된 모습이다. 한 대표와 사촌지간인 한승엽씨는 사내 요직인 주식운용본부에 차장으로 근무 중이다. 또 다른 3세인 한정엽씨는 유경산업의 패션 별도법인인 RKFN을 운영하고 있다.
경영권 넘어왔지만 영향력 그대로
한동엽 대표 중심으로 3세대 확대
한 대표도 승부수를 띄우는 모양새다. 한 대표는 지난 7월 취임과 동시에 털어냈던 유경PSG자산운용 지분을 사들이며 지배력 확대에 나섰다.
한 대표는 지난 7월30일 공시를 통해 유경PSG운용의 지분 1%를 신규 취득했다고 알렸다. 지난 8월20일에는 0.23%의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기도 했다. 이로써 전체 지분은 1.23%가 됐다. 높지는 않지만 취임 직후 지분을 모두 정리했던 한 대표가 다시 독립적인 지분을 취득한 데 의미가 있다.
한 대표의 신규 취득 지분은 한 전 대표로부터 나왔다. 한 전 대표의 지분율은 4.98%(10만9862주)에서 3.98%(8만7762주)로 줄었다. 한 대표가 매집한 0.23%는 소액주주로부터 사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배력 확대를 위해 승부수를 띄운 한 대표. 하지만 유경PSG자산운용이 역성장 추세로 돌아서며 발목을 잡았다.
공시에 따르면 유경PSG운용은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35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42억원보다 16%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57억원에서 41억원으로 27.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역시 줄어들었다. 지난해 상반기 108억원이었던 매출액은 올해 같은 기간 87억원에 불과했다. 운용자산(AUM)이 2018년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운용업에서 가장 큰 비용 항목은 판매비와 관리비다. 펀드매니저의 맨파워로 수익이 창출되는 사업 모델이어서 판관비에서 급여 항목의 비중이 절대적이다. 유경PSG운용은 지난해 판매관리비와 급여가 각각 75억원, 57억원으로 집계돼 전년(103억원, 87억원)보다 약 30%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판매관리비(41억원)는 지난해 상반기(42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추가적으로 비용 합리화 작업을 벌이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비용 감축이 없었던 만큼 외형 위축의 여파가 그대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 반영됐다.
지분이 답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한동엽 대표는 유경산업의 지분은 들고 있지 않아 유경산업을 통한 우회적인 지분 확보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배당과 지배력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직접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편이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고 보인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