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봉준호 감독이 영화 <기생충>으로 오스카 레이스를 돌 때 “여기까지 오는데, 가장 잘한 일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았다. 영화를 만들면서 스스로 가장 잘한 부분을 자평해달라는 속뜻이 담긴 질문이었다. 이에 봉 감독은 “한 여성이 집에 되돌아온 것이 가장 잘한 것 같다”며 재치 있는 답을 남겼다.
초반부 드라마와 코믹이 버무려지며 이야기를 쌓아가는 <기생충>은 봉 감독이 밝힌 한 여인 문광(이정은 분)이 박사장‧연교의 집에 벨을 누르면서 미스터리 스릴러로 변주한다. 전반과 후반으로 나뉘는 형태의 이 영화의 기점이 되는 부분이다. 그때부터 영화는 거침없이 달린다. 전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은 <기생충>에서 가장 중요한 대목으로 꼽히는 신이다.
그로테스크한 문광의 얼굴은 영화의 흐름을 완전히 바꾼다. 말 그대로 얻어터진 얼굴과 떨리는 목소리로 “문 좀 열어주시겠어요”라는 대사를 던진 이는 배우 이정은이다. 이전까지 그리 유명하지 않았던 이정은은 연극계에서 내공을 쌓은 뛰어난 연기자다.
현실감 있는 외형으로 배역의 스펙트럼이 상당히 넓다. 선과 악, 강자와 약자를 오고 가는 중에도 흠결 없는 연기력을 보인다. <기생충> 이후 그는 연기력 최고점의 배우로 분류되며 각종 작품에서 맹활약 중이다.
최근 이정은의 아성을 넘볼 배우가 나타난 듯 보인다.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이하 <슬의생>)에서 은지 엄마 역의 이은주와 넷플릭스 영화 <제8일의 밤>에서 선녀보살을 맡은 고서희다. 두 배우는 비교적 짧은 분량에도 엄청난 아우라를 선보이며 눈도장을 찍었다.
<슬의생>에서는 심장병을 앓고 있는 딸 은지의 엄마로 본인도 견디기 힘든 고통을 감내하는 중에 주위를 살피는 누구보다도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인물이다.
<슬의생> 3화에서 민찬이 가공된 심장을 달아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슬피 우는 민찬 엄마를 발견한 은지 엄마는 쭈뼛쭈뼛 다가가 용기를 준다. 이미 수개월 전부터 딸 은지가 가짜 심장을 달고 중환자실에서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티는 중에 누구보다도 민찬 엄마의 심정을 잘 알기 때문이다.
맛있는 식사를 제공하고 “우리는 마라토너야”라며 장기전으로 가는 중에 마음을 더 굳게 먹어야 한다고 말한다. 은지가 수개월이나 고통받는 중에 민찬은 예상보다 빨리 심장을 공여받는다. 축하해 줄 일인데도 진심을 다할 수 없는 건 은지에게도 누군가의 심장 공여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은지 엄마 역의 고서희는 첫 등장부터 마치 은지 엄마 그 자체가 돼 연기한다. 아파하는 민찬 엄마에게 고개를 숙이고 눈 맞춤을 하는 장면에서는 극한의 선함이 드러난다. 기술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짧은 신에서조차 고서희는 진심으로 은지 엄마라는 인물을 마음에 담았다.
이외에도 민찬 엄마가 충격을 받지 않도록 정성껏 돕는 부분, 민찬이 먼저 심장을 공여받게 된 사실을 알고 어렵사리 축하한다는 말을 전하는 장면, 병원에서의 고통스러운 나날을 전해준 하늘이 원망스러운 듯 짐승처럼 울부짖는 장면까지 고서희의 연기는 큰 울림을 준다.
이후 4화에서 은지가 심장을 공여받고 고개를 돌려 어깨를 들썩이며 우는 장면을 보고 눈물을 흘리지 않기란 쉽지 않다. 메인 주인공이 아님에도, 주어진 장면에서 탄탄하게 서사를 쌓아 올린 터라 은지가 수술을 받는다는 게 내 자식 일처럼 기쁘기 때문이다.
배우 이은주는 세종대학교 연극학과 출신으로 주로 연극무대에서 활동했다. 이따금 드라마와 영화에서 단역으로 출연하다 <슬의생>에서 강한 내공의 연기를 선보인 것. 그의 퍼포먼스는 무엇이 진심으로 인물을 표현하는 것인지에 대한 연기 교과서나 다름없었다.
이은주가 살아있는 천사를 표현했다면 <제8일의 밤>의 고서희는 광기 가득한 섬뜩한 인물로 등장한다.
무당으로 등장하는 그는 사실상 죽음을 맞이했어야 하지만, 묘수를 부려 살아남은 인물이다. 사람들의 기이한 죽음의 진실을 찾기 위해 온 호태(박해준 분)에게 진실을 알려주는 장면에서의 광기에 서려 있는 그의 얼굴은 오싹한 기분을 준다.
비록 등장한 장면이 짧지만, 영화의 반전을 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이다. 특히 대사 도중 진짜 진실을 알아채고 태도를 완전히 뒤바꾸는 과정에서 그가 만들어낸 서스펜스는 영화 내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이다. 너무 뛰어난 연기력 덕분에 고서희를 중심으로 서사를 그려나갔다면, 더 강렬한 작품이 되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각인이 되는 퍼포먼스다.
극한의 선과 극한의 광기 앞에서 고서희는 도무지 흐트러짐이 없다. 같은 배우가 연기했다고는 전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다. 그만큼 어떤 배역이 들어와도 그 인물이 돼 연기할 수 있는 내공이 있다는 방증이다.
고서희는 데뷔작인 영화 <박하사탕> 오디션장에서 “엄마가 암으로 곧 죽을 텐데, 사실을 모르는 엄마한테 전화로 어떻게 말하겠느냐”는 이창동 감독의 요구에 “그걸 어떻게 말하냐”며 눈물부터 그렁해졌다고 한다. 그래도 연기를 해보라는 주문에 눈물범벅이 돼 엉망으로 대사를 했다고.
이 감독은 인터뷰에서 “어떻게 연기할까를 고민하기 이전에 그 상황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감성이 연기의 출발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어 캐스팅했다”고 말한 바 있다.
또 한국예술종합학교 재학 시절 봉준호 감독과 연을 맺어 <살인의 추억>에도 출연하기도 했다. 수사를 헤매는 두 형사 옆에서 또렷한 정신으로 조력한 여 형사였다. 비교적 작은 배역이었음에도, 많은 이들이 기억할 정도로 잔상이 깊다.
이후 연극과 영화, 수많은 드라마에 출연하며 연기적으로 내공을 쌓았다. 단편영화나 독립영화에서 실력파로 알려진 그다.
영화계와 드라마계의 혜안이 부족한 탓일까, 두 배우 모두 뛰어난 연기력을 갖췄음에도 상업적인 작품에서는 그를 중히 쓰지는 않았다. 그러다 오랫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대중성 있는 작품에서 꽃 피운 듯 보인다. 다른 주인공보다 더 강렬한 인상이다. 마치 이정은이 그랬듯 비록 늦은 감이 있긴 하지만, 엄청난 실력파 연기자로 사랑받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