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같지 않은 호남 공략법

2025.05.19 09:24:13 호수 1532호

득표율 90% 노린다

[일요시사 정치팀] 박희영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보수 텃밭을 지나 전남 광양, 여수, 순천, 목포로 향했다. 오래전부터 지켜온 전통 있는 텃밭이지만, 민심이 예전 같지 않다는 평이 나온다. 호남 득표율 90%를 목표로 한 더불어민주당의 해법은 무엇일까?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를 잇달아 찾은 뒤 지난 15일 경남 하동 화개장터에서 ‘동서 화합’ 간담회를 가졌다. 이 후보의 배우자인 부인 김혜경씨는 하루 전날인 14일 5·18 희생자 가족이 모인 오월어머니집 등을 찾아 남편 지원 사격에 나섰다.

텃밭 다지기

민주당 의원들도 총력에 나섰다. 5선 중진인 박지원 의원은 비가 오는 궂은 날씨에도 전남 완도에 위치한 5일장을 찾아 “이 후보를 보면 마치 김대중 대통령이 부활해 돌아온 것 같다”며 “이재명은 제2의 김대중”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과거 IMF 외환위기를 극복한 김대중 대통령처럼, 지금처럼 민생 문제가 심각한 시기에는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그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인물은 오직 이재명 후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재명을 보면 김대중이 보이고, 김대중을 보면 이재명이 보인다”며 거듭 지지를 호소했다.

‘파란 깃발만 꽂으면 당선’이라는 호남이지만 민주당이 넘어야 할 허들은 아이러니하게도 ‘호남 홀대론’이다.


한 민주당 의원은 “호남 지역을 방문하면 반겨주시는 분이 대부분이지만 ‘서운하다’ ‘섭섭하다’ 등의 말씀을 하시는 분이 계시는 건 사실”이라며 “아무래도 영남권에 집중사격을 하다 보니 (호남에) 소홀해진 면이 있어 그렇게 느끼시는 것 같다. 누구 하나 서운하지 않게 구석구석 잘 보듬으려고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민주당은 선거가 시작되면 언제나 호남 민심에 구애해 왔지만 막상 지역 주민들은 여태 지역발전이 이뤄지지 않아 회의감을 느낀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야권 관계자는 “호남 출신, 민주화 정신 다 좋지만 결국엔 경제가 돌아야 사람이 산다. 지난번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저도 호남사람입니다’라고 했다가 뭇매 맞는 것을 보지 않았나. ‘윤석열 아바타’ 이미지가 컸지만 ‘호남 출신, 그래서 뭐?’ 하는 생각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매번 찍어 줬는데 “쪼까 서운하제”
이번에도 불거진 ‘홀대론’ 어쩌나

지난 2일 한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한 뒤 광주에 위치한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고 했으나 시민들의 반대로 무산된 것을 꼬집은 것이다. 이날 한 전 총리는 국립5·18민주묘지로 향했지만 ‘오월영령 능욕하지 말라’ 등 팻말을 든 시민들에게 가로막혔다.

그러자 한 전 총리는 입가에 두 손을 오므려 모은 뒤 시민을 향해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 미워하면 안 됩니다”라고 소리쳤지만 “내란 동조자는 물러가라” 등 시민의 항의에 결국 발걸음을 돌렸다.

이번 조기 대선은 정권교체 성격이 강하다. 매 선거 때마다 “민주당이 우리에게 뭘 해줬냐”는 섭섭한 마음이 앞서지만 이번에는 비상계엄으로 인한 대통령 파면 후 선거라는 특수성을 띠고 있다

지난 4월 치러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서 호남은 이 후보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며 정권교체에 힘을 실었다. 이 후보는 지난 4월26일 오후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호남권 순회 경선 결과 88.69%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이날 투표에 참여한 호남권 권리당원 유효 투표자수 19만8885명 중 88.70%인 17만6404표를 받았다. 대의원 1924명 중에서는 1686명의 표를 받아 87.63%를 기록했다. 충청권·영남권·호남권 누적 투표 결과 역시 과반수가 넘는 89.04% 득표였다.

다만 ‘90% 득표율’이란 벽을 넘지 못하면서 ‘압도적 승리’로 이어지진 못했다. 지난 20대 대선서 이 후보가 0.73%p 차이로 패배했을 당시 호남서 81%를 득표한 만큼 이번 득표율이 김대중 전 대통령처럼 93% 이상 나와야 압도적으로 정권을 교체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마음 둘 곳이 없는 중도층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지난 총선서 조국혁신당이 호남 돌풍을 일으키면서 ‘민주당 대안론’을 띄운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특히 탄핵 정국서 치러진 담양군수 재선거 당시 민주당이 패배하면서 호남이 경고장을 던졌다. 패배 직후 이 후보는 “담양의 민심은 더욱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이번 선거 기간 많은 호남 시민들께서 ‘매번 민주당을 열성적으로 지지했지만 정작 내 삶은 변하지 않았다’는 호된 질책을 내려주셨다”고 말했다.

‘호남인 호소’ 한덕수 씨알도 안 먹혀
AI·공공의대 승부수, 이번엔 다를까?

호남 홀대론을 해소하기 위해선 그동안 묵혀둔 지역별 숙원 사업과 지역발전을 확실하게 이뤄낼 구체적인 공약이 필요하다.

이 후보는 호남 민심 회복을 위해 AI 육성과 재생 에너지, 그리고 공공의대를 큰 틀로 제시했다. 광주를 AI 산업 선도 도시로 육성하고 호남 전역에 RE100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 미래 먹거리를 챙기는 동시에 에너지 고속도로로 주요 산업 단지를 연결하고 전남·전북에 국립의대를 설립해 인력 양성·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인 주철현 의원은 <일요시사>와의 전화 통화에서 “여수 석유 화학과 광양 포스코 제철 산업이 가장 대표적인 산업인데 불황으로 경쟁력을 잃어 위험에 처해 있다. 이를 회복하기 위해 국가가 특별법을 제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생각 중”이라며 “20개가 넘는 대기업이 있지만 스스로 구조 조정이 안 된다. 따라서 특별법 제정을 통해 정부 주도로 구조를 조정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남은 가장 풍부한 게 농지와 바다인데 이를 활용하는 주민 참여형 태양광 등으로 전남을 신재생에너지 허브로 육성하겠다. 아울러 첨단 AI 산업 핵심 기지로 삼겠다는 미래 발전 공약도 세심하게 챙기고 있다”고 부연했다.

도민들이 경제 공약을 눈여겨보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 의원은 “지난 3년간 전남의 경우 국가 정책과 예산 지원 등에서 소외됐기 때문에 다음 정권에 대한 기대가 크다. 이왕 하는 김에 (민주당을) 압도적 지지로 당선시켜 확실한 정책 배려와 예산을 마련해 사업을 달성하고 미진한 지역을 개발해 삶을 향상시키자는 기대감이 있다”고 밝혔다.

호남은 아직 민주당을 향한 애정을 거두지 않은 듯하다.


주 의원은 “3년 전하고 분위기가 다르다. 전남도당 선거대책위원회(이하 선대위)를 구성할 때 4대 종단인 불교·원불교·개신교·천주교가 참여했는데 이런 일은 처음이다. 선대위도 결의에 차 있고 도민들도 상당히 호응해주고 계신다. 내란 세력을 척결하고 내란을 극복해야 하니 똘똘 뭉쳐 함께 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그래도 파란색

광주 총괄상임선대위원장을 맡은 양부남 의원 역시 <일요시사>와의 전화 통화에서 “광주를 AI 산업 도시와 아시아 문화 중심 도시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밖에도 군 공항 이전과 광주천 수변 조성 등 구체적인 공약을 발굴하고 있다”며 “호남 민심은 축제 분위기다. 선거 유세를 하면서 지역 주민분들을 뵐 때면 힘이 펄펄 난다”고 말했다.

<hypak28@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