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또는 말년 병장하면 떠오르는 이것
일명 '깔깔이'
우리나라 육군은 북한이 있는 북쪽에 포진하고 있어 겨울의 추위는 불곰국(러시아)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는데요.
저 또한 경계근무 당시 발가락이 잘릴 것 같다는 느낌을 군생활하면서 처음 겪어봤습니다.
이렇게 혹독한 추위에 임무 수행을 위해선 내복을 시작으로 중무장하는데요.
그중에서 깔깔이는 방한용품 중 뛰어난 보온성과 편안함으로 전역 후에도 사랑받는 아이템이죠.
하지만 어딘가 올드한 디자인과 전장에서 꼭 필요한 위장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색상이 특징인데요.
군대는 언제부터 깔깔이를 방한용으로 사용한 것일까요?
우리 군에 깔깔이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40년대 후반 대한민국 국군이 창설될 때 미군으로부터 원조받은 군복에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국군은 야전 재킷 안쪽에 내피를 입어 보온성을 강화했습니다.
그런데, 재질이 좋지 않아 오래 입으면 칼날처럼 거칠어져서 칼칼이라고 부르다가 깔깔이가 됐다는 설과, 초기 디자인이 카키색이어서 칼칼이라고 부르다 깔깔이로 부르게 됐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럼 미군들은 이 깔깔이를 언제부터 사용했을까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은 유행하고 있던 스포츠 재킷의 디자인을 참고해 제작한 ‘M-1941 필드 재킷’을 사용했는데요.
하지만 유럽지역은 미국과 기후가 달라 보온성·내구성 등에 한계를 보였고, 이를 개선한 ‘M-1943 필드 재킷’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때만 하더라도 필드 재킷의 내피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깔깔이의 형태와는 달랐는데요.
이후 1965년에 개발된 ‘M-1965 필드 재킷’에 이르러서야 익숙한 형태의 내피가 등장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보다 한참이나 앞선 중세시대에 깔깔이와 유사한 형태의 옷이 존재했는데요.
바로 우리에게는 ‘퀼티드 아머’(Quilted armor)로 익숙한 ‘누비 갑옷 갬비슨’(Gambeson)입니다.
갬비슨은 천으로 만든 의복에 두터운 솜, 양털, 헝겊 부스러기, 아마포를 가득 채워 넣어 만든 천 갑옷으로 10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당시만 해도 사람들은 갬비슨을 내피로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독자적인 갑옷으로 사용했는데요.
실제로 속 재료가 많이 들어간 갬비슨의 경우, 절삭이나 관통에 대한 방어력이 가죽 갑옷보다 뛰어난 데다 유지나 보수하는 과정도 바느질만 잘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단순했습니다.
게다가 들어가는 재료인 아마만 재배해도 충분한 양을 제작할 수 있을 정도로 가성비가 뛰어난 갑옷인데요.
그렇기에 농민이나 일반 병사들도 손쉽게 제작해 입을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갑옷 중 하나였습니다.
갬비슨이 내피의 역할도 하게 된 건 12세기 중반부터로 추정되는데요.
귀족이나 기사 같은 고위층들이 ‘체인 메일’이나 ‘플레이트 아머’ 안쪽에 갬비슨을 착용해 몸을 조금 더 튼튼하게 보호할 수단으로 삼았습니다.
또 겨울철에는 내피로 삼은 갬비슨으로 어느 정도 보온 효과도 얻을 수 있었는데요.
이 같은 갬비슨의 형태나 기능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만들어진 것이 바로 군인들의 겨울철 필수 아이템 중 하나로 자리 잡은 깔깔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서 가장 익숙한 형태의 깔깔이는 이런 노란색 깔깔이일 텐데요.
시간이 흐르면서 형태나 색상 등이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그 기능성만은 변하지 않아 여전히 군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깔깔이가 이제는 군대 보급품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최근 국방부에서는 2024년부터 입대하는 신병들에게 깔깔이 대신 전투복 바깥에 입을 수 있는 플리스 형태의 스웨터를 보급하고 있는데요.
깔깔이는 슬리퍼, 면도기와 함께 ‘군대 3대 보급품’이라고 불릴 정도로 사랑받던 보급품 중 하나였기에 뭔가 아쉬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군대 깔깔이의 유래와 변화에 대해서 살펴봤는데요.
혹시 여러분들의 깔깔이는 어떤 형태였나요?
기획: 임동균
구성&편집: 임동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