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공포의 소양강 무법자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브라운송어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됐다. 아프리카발톱개구리와 피라냐는 생태계 위해우려 생물 명단에 올랐다. 환경부는 지난달 31일부터 국내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생물 3종을 생태계 교란 생물과 생태계 위해 우려 생물로 지정해 관리한다고 밝혔다.
퇴치
브라운송어는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이 실시한 생태계 위해성 평가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인 위해성 1급으로, 아프리카발톱개구리와 피라냐는 생태계 위해 우려 생물인 2급으로 판정받았다.
생태계 교란 생물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돼 개 체수 조절 및 제거 관리가 필요한 종이다. 지정되면 학술연구, 교육, 전시, 식용 등의 목적에 한해 유역(지방)환경청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수입, 반입, 사육, 재배, 양도, 양수, 보관, 운반 또는 유통이 가능하다.
생태계 위해 우려 생물은 유출될 경우 위해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확산 정도와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는 생물이다. 지정되면 상업적 판매 목적으로 수입·반입 시 유역(지방)환경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상업적 목적 외로 수입·반입할 때도 신고를 해야 한다.
브라운송어, 생태계 교란 위해성 1급 지정
피라냐·아프리카발톱개구리 우려 명단에
브라운송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지정한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으로 소양강 일대에서 서식이 확인됐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포식성이 강해 열목어(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등과 경쟁 및 교잡의 우려가 있다. 저서성무척추동물 및 곤충은 물론 개구리 및 물뱀 등 양서 파충류까지 포식할 수 있다.
아프리카발톱개구리는 짧은 생식주기와 높은 번식력으로 일본 자연생태계에서 대량 번식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기후대가 비슷한 우리나라에서도 유출 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항아리곰팡이를 옮기는 매개체로 알려져 야생으로 유입될 경우 국내 양서류 생존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피라냐는 육식성이 강해 국내 토착 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이빨이 날카롭고 공격성이 있어 위험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을 공격한 사례도 있다. 열대성 어류로, 국내 동절기에 특수한 지역 외 서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지만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 종이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누가 들여왔을까?’<ggho****> ‘넌 찍혔어! 낚시꾼들 모여라!’<prin****> ‘브라운송어가 정력이나 탈모에 좋다고 한다면?’<live****> ‘생태계 교란종을 없애려면 효능과 요리법을 홍보하는 게 더 좋을 듯’<bell****> ‘토착화된 지가 얼만데 이제 지정한다고 야단이냐?’<ehpt****>
‘이미 강에 쫙 깔렸다’
‘정력에 좋다고 하면?’
‘기후는 변하고 지구도 바뀌고 있다. 위해 생물이 토종이 되고, 토종이 위해 생물이 되는 날이 머지않았다’<beca****> ‘외래종 공습을 막아야 그나마 남아 있는 우리 생태계가 보존될 텐데 걱정이네요. 개구리의 경우 국내종은 이미 씨가 마른 듯’<gcho****>
‘피라냐, 발톱개구리 등이 호수에 잘못 유입되면 토종어류 등 민물 생태계 초토화 된다. 개인이 무분별하게 관상용으로 들여온 것이 문제다’<gmgs****> ‘이해가 안 됩니다. 관리도 제대로 안되는데 왜 일부 외래종 애호가들을 위해 반입을 허용하는지…’<whim****>
‘낚시 프로그램에서 생태계 위협하는 종들 잡는 거 했으면 좋겠다’<babb****> ‘영화에서만 보던 피라냐가 현실이라니…’<tcas****>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브라운송어 이미 소양강에 쫙 깔렸다’<kw62****> ‘피라냐라니…아무리 열대종이라도 겨울에 적응하면 어떡하냐. 너무 무섭다’<barb****>
‘청계천 5가에 가 봐라. 없는 게 없다. 외래종 천국이다’<ssun****> ‘조금 있으면 아나콘다, 악어도 나타날 것 같다’<worn****> ‘아마 정부는 예의주시만 할 듯’<sky0****> ‘지자체, 기업 등의 무분별한 개발과 오염물질 배출이 더 시급한 문제가 아닐지…’<qaw1****>
뒷북?
‘생태교란종의 유입보다 더 위험한 것은 하천공사로 인한 서식지 파괴입니다. 불필요한 하천공사를 만들어 예산 확보하는 행태를 없애지 않으면 지자체는 재정자립도가 항상 비정상일 것입니다. 새는 돈을 막읍시다’<seve****>
<pmw@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생태계 교란 생물은?
환경부는 1998년부터 지난해까지 뉴트리아, 황소개구리 등 33종 1속을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했다.
라쿤, 대서양연어 등 2종은 생태계 위해우려 생물로 지정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번 생태계 교란 생물 1종(브라운송어)과 생태계 위해우려 생물 2종(아프리카발톱개구리·피라냐) 추가 지정으로 생태계 교란 생물은 총 34종 1속, 생태계 위해우려 생물은 총 4종이 됐다.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