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선감도 ③푸른 섬이 공동묘지로 보이다

  • 김영권 작가
2024.05.20 08:28:10 호수 1480호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뱃고물 한구석에 잔뜩 웅크리고 앉은 용운은 아까부터 먼 바다에 망연히 눈길을 두고 있었다. 그는 도청 직원의 연설을 귓가로 흘려 들으며 수평선만 하염없이 쳐다보는 것이었다.

얼이 빠진 듯하기도 하고 어떤 깊은 생각에 잠긴 듯하기도 했다.

외줄타기 서커스

용운은 배에 탄 부랑아들 중에서도 어린 축에 속했다. 아마 열두어 살이나 되었을까, 쓸쓸한 표정이면서도 아직 앳된 기가 눈동자와 입술 언저리에 감도는 소년이었다.

나이답지 않게 우울한 빛을 띤 가운데 어딘지 모르게 의지가 강해 보이는 인상이기도 했다. 누추한 누더기를 걸치고 새둥지 같은 터벅머리에다 얼굴엔 때가 잔뜩 끼어 있었다.


그래도 뺨 한 구석엔 흰 살결이 살짝 비쳐 보이는 미소년이었는데, 왼쪽 눈 아래에 작고 푸르스름한 점이 하나 박혀 있었다.

“얌마, 넌 쪼그만 게 마치 도통이라도 한 꼴상이구나. 넌 무섭지도 않니? 난 마치 지옥섬으로 끌려가는 기분이야. 저 푸른 섬이 우리들의 공동묘지처럼 느껴진단 말야.”

옆에서 누군가 용운의 귀에 입을 바싹 대고 속삭였다. 용운은 상대를 흘끗 보았을 뿐 아무런 대꾸도 하지 않았다.

벌써 이마에 주름이 생기고 앞니 두 개마저 빠져 버린 그 녀석은 피에로처럼 슬픈 인상이었지만 입으로는 실없이 헤벌쭉 웃고 있었다.

“넌 어떡하다 잡혀 왔니?”

피에로 같은 소년은 용운의 대꾸가 없자 제 혼자 속닥거렸다.

“난 방랑자 채플린의 흉내를 내다가 잡혀 왔어. 그건 배고픈 채플린이 어린애가 들고 있던 빵을 훔쳐먹는 아주 유명한 장면이지, 히히. 동대문 앞에서였어. 어떤 아줌마가 구경을 하고 섰는데 등에 업힌 꼬맹이의 고사리 손에 크림빵이 들렸더군. 난 내 머리카락 한 올을 뽑아 꼬맹이의 눈 높이에 이리저리 흔들면서 빵을 한 입 낼름 베어먹었지. 하늘이 너무 푸르러서 머리칼에 붙은 먼지까지 더럽게도 크게 보일 정도였어. 이 한 마리가 머리카락에 붙어 외줄타기 서커스를 하고 있더군.”

“히히, 빵을 한입 베어먹곤 머리카락을 이리저리로 흔들면서 또 낼름 베어먹었지. 그쯤에서 만족하고 그만두어야 했는데… 하얀 크림이 묻은 어린애의 보드라운 손이 문득 너무 예뻐서 쪽쪽 빨고 말았던 거야. 애가 울 때까지도 나는 무엇에 홀린 듯 입을 떼지 않았어. 그 순간 나는 눈을 스르르 감고 있었는데, 눈앞엔 한번 본 적도 없는 울 엄마의 환상이 떠오를 뿐이었지. 마침 그때 순경이 순찰하며 지나가다가 다짜고짜 붙잡아 끌고 왔잖아. 아 띠바, 난 엄마를 생각했을 뿐인데….”

‘엄마’라는 흐릿한 말에 용운의 표정이 일순 변화했다. 눈썹이 옴찔하더니 머루처럼 검은 눈동자에서 맑은 눈물 한 방울이 떨어져 내렸다.

그동안 지그시 참고 있었던 감정이 터져 버린 모양이었다. 눈물에 씻긴 더러운 볼 위로 한 줄기의 하얀 선이 그려졌다. 


순경이 순찰하며 지나가다
다짜고짜 붙잡아 끌고 가다

피에로가 무슨 말인가 붙여 보았으나 용운은 고개를 슬쩍 돌리곤 다시 바다를 바라보았다. 

“야, 어차피 이리 된 것, 걱정하면 뭘 하겠어. 까짓 것, 흘러가는 대로 한번 가보는 거지 뭐. 히히히… 얘, 이것 한번 들어 봐. 정글북이란 영화 앞부분에 나오는 거야.”

피에로 소년은 눈을 지그시 감더니 제물에 기꺼운지 속삭이듯 읊조렸다.

“만일 주위 사람들이 모두 제정신을 잃고 
네 탓이라 비난해도 여전히 냉정할 수 있다면
그리고 사람들이 모두 너를 의심해도
자신을 믿고 그 의심마저 감싸 안을 수 있다면
만일 기다리면서도 기다림에 지치지 않고 
거짓에 속더라도 되갚지 않는다면……
네가 꿈을 꾸되 꿈의 노예가 되지 않고
생각하되 생각 자체에 얽매이지 않고 
승리를 만나도 불행을 만나도 똑같이 의연할 수 있다면
무지한 자들이 네 뜻을 왜곡해도 참아낼 수 있다면
네가 성취한 모든 것을 올바른 모험에 걸었다가
다 잃고도 처음부터 새로이 시작할 수 있다면……
만일 네가 왕들과 나란히 걸으면서도 
본래의 네 자신을 잃지 않는다면
있는 그대로의 너를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다면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네 것이 되고
그때 너는 비로소 하나의 어른이 되리라….”

피에로 소년은 눈을 찡긋하며 희극배우 같은 표정을 지었다. 갈매기들이 하늘과 바다의 경계선을 넘나들며 끼룩거렸다.

용운은 애써 미소를 지으며 수평선을 바라보았다. 미소는 곧 사라지고 미간을 찌푸리며 스르르 눈을 감았다. 자기만의 은밀한 어떤 추억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듯한 표정이었다.

엄마의 치맛자락

그는 소년답지 않게 한이 어린 한숨을 쉬었다.


푸른 소나무가 봄바람에 꽃가루를 날리고 있었다. 거리로 나왔으나 엄마는 딱히 갈 만한 곳이 없는 모양이었다.

이따금 한숨을 내쉬며 이리저리 걸어다닐 뿐이었다. 용운은 엄마의 치맛자락을 꼭 붙잡곤 마치 송아지처럼 뒤따랐다.

엄마는 말없이 터덜터덜 남대문을 거쳐 남산으로 올라갔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