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현진영, 마음속 돌멩이를 던지다

2020.08.18 12:06:46 호수 1284호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가수 현진영(본명 허현석)은 국내 힙합의 선구자로 불린다. 3대 가요 기획사 중 하나인 SM엔터테인먼트의 받침돌 같은 존재다. 그는 국내 연예계서 극단적 성공과 극단적 실패를 오르내리는 과정을 거치면서 30년이라는 긴 세월을 보냈다. 그 지난했던 30년의 과정을 집약한 저서 <외계인이 되고 싶다>가 출간됐다. 음악이라는 무기로 초능력을 발휘하는 외계인이 되고 싶다는 현진영은, 스스로를 재즈라 지칭했다. 
 

▲ 가수 현진영이 일요시사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 ⓒ문병희 기자


20대에는 힙합, 30대에는 재즈 힙합의 선구자로서 가요계의 거장으로 불리는 가수 현진영이 도서 <나는 외계인이 되고 싶다>를 통해 마음속의 돌멩이를 던졌다. 반백 살의 나이, 데뷔 후 30여년의 기나긴 여정을 180여 페이지 안에 집약했다. 팟캐스트 <정영진·최욱의 매불쇼>서 ‘동네 바보형’으로도 불리며, 대중적인 이미지를 갖춘 그가 풀어 놓은 인생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다. 

가요계 거장

‘꽃미남 가수’서 포용력을 갖춘 동네 형으로 오기까지 그가 걸어온 인생은 울퉁불퉁하지만 매우 희망적이다. 

“지금 코로나 때문에 사람들이 엄청나게 힘들어 하잖아요. 힘들지만 다들 자기의 길을 헤쳐나가면서 살고 있는데, 제가 겪은 고난과 역경, 그리고 헤쳐나오는 과정을 공유하고 싶었어요. 혼자 힘으론 아니었고, 가족이 있었기에 가능했는데, 많은 분이 ‘현진영도 하는데 나는 못해?’라는 생각을 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책을 썼어요.”

책을 쭉 읽다 보면, ‘현진영도 했는데 나는 못해?’라는 말이 십분 이해가 간다. 5세부터 시작된 모친의 암 투병, 그로 인해 방치된 어린 시절, 13세 때 모친의 죽음, 호화스러운 삶에서 갑작스럽게 맞게 된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 자살 시도, 국내 최고의 뮤지션서 나락으로 떨어진 뒤 성공과 실패를 거듭해온 그다. 부친의 죽음과 함께 그의 사랑을 알게 되면서 음악적 자신감을 얻고, 아내와의 만남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찾은 뒤 ‘밝은 현재’를 맞이한 현진영의 삶이 무척이나 묵직하게 다가온다. 


현진영 인생에 가장 중요한 존재는 부친이다. 그의 부친은 국내 최초의 재즈 피아니스트 허병찬씨다. 재즈를 가장 먼저 도입해 자비를 써가며 재즈의 저변을 넓힌 선구자기도 하다. 재즈 바닥서 현진영은 허병찬의 아들로만 통한다. 

<외계인이 되고 싶다> 발간
파란만장 인생 이야기 담아 

“어렸을 땐 아버지에 대한 원망이 컸죠. 어머니가 아프셨어요. 자식을 안 챙긴 건 아닌데, 자식 입장에선 양에 안 찼던 것 같아요. 지금 생각해보면, 아픈 어머니한테 더 집중한 거죠. 아버지에 대한 원망을 안고 살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난 후 유품을 발견했어요. ‘현석이 학습용 테이프’요. 저는 아버지가 제게 음악을 안 가르쳐줬다고 생각했어요. 코드 하나 배운 게 없었거든요. 근데 사실 아버지만의 방식으로 가르쳐줬던 거예요. 느끼지 못했을 뿐이지. 아버지의 유품을 보고 나서 음악적으로 자신감을 가지게 됐어요. 국내 최고의 재즈 피아니스트에게 음악을 배웠다는 자부심이요.”

그리고 나온 음반이 4집 ‘스트릿 재즈 인 마이 소울(Street Jazz in My Soul)’이다. 수록곡 ‘소리쳐봐’는 당대의 많은 뮤지션들을 놀라게 했다. 음악적으로 현진영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명반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 음반을 통해 힙합 뮤지션서 재즈 뮤지션으로 전환기를 맞는다. 
 

▲ 가수 현진영 ⓒ문병희 기자

“아버지가 늘상 하신 말이 ‘재즈는 내 자신이 재즈인 거야. 학문처럼 이용하려 하지 마’였어요. 무슨 말인지 몰랐어요. 남의 이야기처럼 들렸고. 이제는 스스로 ‘나는 재즈다’라고 말할 수 있어요. 소리쳐봐 녹음할 때 40번 가까이 녹음을 했어요. 음반 네 개가 나올 비용을 한 곡에 투자한 거죠. 아버지는 설명도 없이 ‘다시 해’라고 하셨어요. 열받았죠. 설명이라도 해주든가. 아프신 아버지께 후레자식처럼 욕을 퍼부었어요. 그리고 얼마 후에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유품을 발견한 거죠. ”

“이제 돌이켜보면, 아버지는 제가 그때는 재즈를 하지 않길 바라셨던 것 같아요. 아직 재즈를 하기에 그릇이 작아 보였던 거죠. 이해가 되는 게, 나이를 먹고 ‘소리쳐봐’를 부르는데, 30대와 지금의 소리쳐봐는 차이가 있어요. 지금이 훨씬 더 농익었죠. ‘무념무상’도 마찬가지고요. 물론 이것도 정답이 아닌 제 해석에 불과하지만, 그게 답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어요.”

“아버지가 걸어온 길을 걷고 있더라”
“음악은 슈퍼파워 희망 주는 외계인”

현진영이 스스로를 재즈라 부를 수 있는 건 곡을 만들 때의 노력 때문이다. 누구나 다 열심히 곡을 만들겠지만, 현진영의 노력은 특별하다. 무념무상을 만들 때, 절벽 끝에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알기 위해 서울역서 노숙을 감행한 그였다. 혼자 한 것도 모자라, 작사가에게도 노숙을 강요했으니 그 열정이 얼마나 대단한지 쉽게 가늠하기 힘들다. 

“아버지가 군인들 앞에서 연주하는데, 군대를 안 갔다 오셔서 그 마음을 알기 힘들다고 여겨, 추운 겨울에 이불만 덮고 밖에서 주무셨다고 해요. 그리고 연주를 했는데, 연주만으로 군인들이 다 울었다는 거예요. 재즈가 삶이라는 말은 거기서 나오는 것 같아요. 그 정신을 받아서 저도 그렇게 음악을 만들려고 하죠. 돌아보니 어느덧 아버지가 걸어온 길을 제가 걷고 있더라고요.”
 

▲ ⓒ문병희 기자

현진영이 스스로를 지칭하는 표현이 또 하나 있다. ‘외계인’이다. 달나라에 가고 싶은 게 아닌, ET처럼 특별한 능력이 있는 외계인이다. 음악이라는 무기로 초월적인 힘을 발휘하며,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외계인이 현진영이 생각하는 현진영이다. 


아이언맨

“죽음과 맞닥뜨렸던 두 번의 사건이 있었어요. 그때부터 가치관이 달라졌어요. 죽는 것도 내 마음대로 안 된다는 것을요.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했고, 삶을 살아오면서 제게 음악이라는 슈퍼파워가 생겼어요. 현진영이라는 외계인이 혼란에 빠진 사람들을 음악으로 구출하는 것을 언제나 꿈꿔요. 마치 희생을 통해 우주를 지킨 아이언맨처럼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외계인으로 살고 있고, 그렇게 살아갈 겁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