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큐레이터 지원 ‘사적인 노래Ⅰ’

2020.08.14 13:15:59 호수 1284호

알고리즘이 선택한 작가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두산갤러리는 2011년부터 ‘두산 큐레이터 워크숍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3명의 신진 큐레이터를 지원하고 있다. 2018년부터는 격년으로 1명의 기획자를 공모 선정해 다양한 생각을 실현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있다. ‘사적인 노래Ⅰ’은 2020 전시기획 공모로 선정된 목홍균의 기획전이다. 
 

▲ 아나 윌드_테크노 출산-미래 가능한 선물(先物)의 노래_2019_단채널비디오_15분 13초


2020 두산갤러리 전시기획 공모 선정 기획자인 목홍균은 학부서 통계학을, 대학원에선 동아시아 사상을 공부했다. ‘더 매뉴얼: 부분과 노동’ ‘홈리스의 도시’ 등을 기획했고, 2018년부터 기술이 어떻게 큐레이터의 실천적 도구로서 전시 전반에 관여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모임 ‘알앤디’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스캔들 배경

목홍균은 2017년 카셀 도큐멘타와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 불거진 스캔들을 배경으로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 당시 두 총감독이 각각 자신의 배우자와 연인을 전시에 작가로 초대했고, 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그는 “당시 스캔들을 계기로 작가와 기획자의 사적인 관계가 전시에 개입하지 않는 방식을 고민하게 됐다”고 말했다. ‘사적인 노래Ⅰ’은 기획자가 작가를 선정하는 과정과 방식에 주목한 전시다. 전시에 참여하는 8명의 작가와 5명의 협력 기획자는 목홍균의 자의적 개입이 최대한 차단된 상태서 선정됐다. 

첫 번째로 알고리즘의 딥러닝을 활용한 큐라트론 프로그램을 통해 3명의 작가를 선정했고, 동일한 방식으로 2명의 협력 기획자를 뽑았다. 이어 두산갤러리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블라인드 공모를 진행, 3명의 협력 기획자를 추가로 가려냈다.


5명의 협력 기획자는 각각 리서치를 진행한 이후 자신의 데이터가 아닌 상대방의 데이터서 5명의 작가를 최종 선정했다. 

기획자를 위한 프로그램
2018년부터 2년에 한 번

▲발레리안 골렉= 브뤼셀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발레리안 골렉은 기존의 형태를 빌려오고 변경하는 작업을 주로 한다. 그의 작업서 각 요소는 각각 그 자체로 또는 전체로 이해할 수 있는 서로 교환 가능한 일관되고 견고한 사물들의 집합이다. 골렉의 추상 조각은 건축과 일상생활, 변조, 연속적 변형, 측정, 보고 단위의 요소로부터 시작된다. 형태는 문맥으로부터 추출돼 전유되고 증식되면서 새로운 합리적 형태를 획득한다. 

▲아나 월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DasArts와 이스라엘 예루살렘 시각연극학교를 졸업한 아나 월드는 퍼포먼스와 설치 작업을 주로 한다. 월드의 작업 과정은 연구의 형태와 흡사하다. 지식의 물질성과 이해의 유연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관찰하는 역할에 스스로를 캐스팅해 신화 속의 어린 소녀가 되기도 한다. 때로는 무단출입자, 우아한 펑크족, 중동의 사상가나 낭만적인 학자로 변신한다. 작업을 통해 지식의 공유가 시적인 행위이면서 전복적인 행동이 되는 상황을 만든다. 
 

▲ 에드아르도 레옹, 라스 포사스의 헤로인_2019_종이에 잉크젯_ 237×170cm

▲알렉시아 라페르테 쿠투= 쿠투의 작업에는 전이와 소생의 개념이 깃들어 있다. 젖은 점토 반죽을 역사적 건물과 기념비에 압착해 조각을 만든다. 이 같은 조각은 원재료가 가지고 있던 의도와 잔존의 양상을 회복하고 변화시킨다. 선택한 구조의 촉각적 특징을 강화해 역사와 그 물질성에 대한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연결을 관객 안에서 일깨우고자 한다. 몬트리올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에드아르도 레옹= 어보이드스트리트의 창시자다. 어보이드스트리트는 버려진 옷가지를 이용해 패션의 메커니즘을 탐색하며 협업, 전유, 샘플링, 캡션의 전략을 통해 의류를 둘러싼 문화를 살피고 조성하고자 한다. 패스트패션의 전략을 미러링하고 패션의 어휘를 비트는 한편, 장소 특정적 개입을 위한 한정 에디션 의류를 생산해 패스트패션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패스트패션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해 빠르게 제작하고 빠르게 유통시키는 의류를 가리키는 말이다. 

▲유비호= 2000년 첫 개인전 ‘강철태양’ 이후 동시대 예술가와 기획자, 미디어 연구자들과 함께 예술과 사회 그리고 미디어 연구모임인 ‘해킹을 통한 미술행위’를 공동으로 조직하고 연구 활동을 해왔다. 이 시기를 지나면서 예술과 사회에 대한 미적 질문을 던지는 ‘유연한 풍경’ ‘극사적 실천’ ‘공조탈출’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자의적 개입 차단한 채
작가 8명과 기획자 5명

▲장진승=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부터 야기된 서로 간의 오해와 상호 이해의 가능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인간 사이의 편견을 잠재의식 속에 내재한 왜곡된 인식과 인지의 문제로 여긴다. 미디어적 실험과 인터랙션 그리고 아카이브에 천착하며 ‘기계처럼(객관적으로) 생각하기’ 방식을 통해 사고하거나 감각하는 단계로의 진입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정재희= 전자제품을 주재료로 삼아 창작활동 중이다. 정재희에게 전자제품은 일상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가용기술이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이나 구조를 반영하는 중요한 사물이다. 이런 전자제품의 형태와 질감, 물리적 기능, 탑재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기존의 효용성이 아닌 다른 관점으로 해석해 작업화한다. 
 

▲ 유비호_풍경의 된 자 #4_2019_단채널비디오_24분 13초

▲제임스 클락슨= 영국 쉐필드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제임스 클락슨은 일상 사물, 문화, 기술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그 기반은 물질성에 대한 페티시적 관심이다. 그의 조각은 때론 난도질되고, 날것이며, 용도 변경된 사물들의 브리콜라주로서 존재한다. 반짝거리고 매끄러우며 윤기가 나는 복제품이기도 하다.

이 같은 재구성과 복제의 이중성을 통해 유희적 접근으로 사물들의 사변적인 상호연결성을 풀어낸다. 클락슨의 조각은 유령 같은 몸체로 나타나 우리의 현재 위치를 반영하고 있다. 

새로운 방식

두산갤러리 관계자는 “이번 전시의 작가 선정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알고리즘이 기획자의 역할을 대신한 것처럼 볼 수 있다”며 “하지만 작가 선정에 개입하지 않으려는 노력은 결과적으로 선정 과정의 개방성과 투명성을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작가 선정을 둘러싼 고민이 어떻게 프로젝트 전반에 작용했는지 가시적으로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