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2)갓

2020.07.02 09:09:49 호수 1277호

“매운면서도 향기를 지닌”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응희 작품이다.

芥(개) 갓

芥子生薑類(개자생강류) 개자는 생강 종류인데
形微氣味都(형미기미도) 크기는 작아도 맛과 냄새 좋네
綠殼胎金粟(녹각태금속) 녹색 껍질 속에 금빛 좁쌀 품고
黃胞綻紫珠(황포탄자주) 누런 가죽 속에 붉은 구슬 피네
凝丸蟲穢盡(응환충예진) 환으로 빚으면 더러운 벌레 죽고
交膾烈香敷(교회열향부) 회와 함께하면 매운 향기 퍼지네
世間多少疾(세간다소질) 세상에 하고 많은 질병들
非爾孰能扶(비이숙능부) 네가 아니면 누가 치료하랴

언제부터 먹었나?

상기 작품을 살피면 흥미롭다. 제목은 芥(개), 즉 갓으로 설정했는데 내용은 芥子(개자), 즉 겨자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芥子(개자)에서 子는 자식의 의미, 즉 씨를 지칭하고 있어 개자는 갓의 씨, 즉 겨자를 의미하고 아울러 갓의 입, 즉 갓김치와 갓 장아찌의 재료는 한자로 개채(芥菜)라 지칭한다.

각설하고, 다수의 사람들이 이 땅에 갓을 재배하고 김치로 담가 먹는 일이 일제강점기 시절 전라도 여수 지방에서 시작됐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를 입증하듯 여수 농협에서도 ‘돌산갓의 유래’라는 제목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이 그들의 갓을 들여와 본격적으로 재배하면서 김치로 담가 먹었다고 기술하고 있다.(출처: 여수농협홈페이지의 ‘고객센터-갓김치의 유래 및 효능’ 페이지)

그런데 과연 그럴까.

먼저 갓 재배에 대해 살펴보자.

조선의 이단아인 허균(許筠, 1569∼1618)의 <성소부부고>를 살피면 다음과 같은 대목이 등장한다.

갓(芥菜, 개채)

7~8월경에 하종했다가 9월에 둑을 짓고 나누어 심은 다음 자주 거름을 준다.

서풍이 부는 날이나 고초일(枯焦日)에는 물을 주어서는 안 된다.

고초일은 씨앗을 심으면 말라 버려 싹이 나지 않는다고 하는 날로 허균은 갓 재배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를 살피면 이미 조선 중기 이전부터 갓 재배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고 간주함이 타당하다.

조선 중기 이전부터 갓 재배가 진행
항암과 노화방지에 좋은 영양소 함유

이 대목에서 흥미로운 이야기 한 번 하자.

최초의 한글 소설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에 대해서다.

우리 역사에서 왕이 아닌 자로 여인들과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인물이 바로 허균이다.

그런데 천하에 난봉꾼인 허균이 나이 서른셋 때 전북 부안에서 그곳 명기로 ‘이화우 흩날릴 제’ 등의 시를 남긴 매창을 만나 하룻밤을 보내면서 그녀의 손목 한 번 잡지 않은 일이 발생했다.

하여 그 일을 괴상하게 여긴 필자는 허균과 매창이 함께한 그 하룻밤을 소재로 <허균, 서른셋의 반란>이란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음은 갓을 김치로 담가 먹은 일이 언제부터였는가에 대해 살펴본다.

고려 말 대학자였던 이곡(李穀, 1298~1351)의 <입춘(立春)>이란 작품에 오신채(五辛菜)가 등장한다.


오신채는 매운 맛이 나는 갓, 당귀, 미나리 등의 다섯 가지 나물을 겨자즙에 무친 것으로 입춘 날 오신채를 쟁반에 담아 이웃끼리 나눠 먹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다.

홍만선(洪萬選, 1643∼1715)의 <산림경제>를 살피면 山芥沈菜(산개침채), 즉 산갓김치가 등장하고 조선 중기 단천군수를 역임했던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은 謝仁圓頭陀餽山芥沈菜(사인원두타궤산개침채), 즉 ‘인원의 스님이 산갓김치를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다‘라는 작품을 남긴다.

이를 감안하면 갓을 김치로 담가 먹기 시작한 일은 그야말로 고려적 이야기로 고려 시절 혹은 그 이전부터라 추측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 정점을 찍고자 조선 중기 문신인 황섬(黃暹, 1544∼1616)의 작품 감상해본다.

山芥菜(산개채) 산갓

芥以爲名辢味寒(개이위명랄미한) 갓은 맛이 맵고 차서 이름 되었는데
好生陰壑雪冰間(호생음학설빙간) 눈과 얼음 사이 어두운 골에서 자라네
淹葅紫氣含椒蘗(엄저자기함초벽) 김치 담그면 붉은 기운 초벽 머금고
入口令人涕出潸(입구영인체출산) 사람들 입에 들어가면 눈물 흘리게 하네

김치로 담근 이유

椒蘗(초벽)은 후추나무와 황경나무로 매우면서도 향기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 왜 우리 선조들은 오래전부터 갓을 김치로 담가 먹었을까. 그 이유를 여수 농협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돌산갓 김치는 독특한 맛뿐 아니라 항암과 노화방지 등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또 항산화성 물질인 카로티노이드가 다른 엽채류에 비해 다량 함유돼있으며 이는 체내의 비타민A 선도물질로서 작용할 뿐 아니라 인체의 산화 및 노화방지, 항암 등에 관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갓김치에 함유된 페놀류와 엽록소류 등은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계속>


[황천우 소설가]

1959년 서울 노원 출생
대광고, 서울시립대 영문학과
정당 중앙 사무처 당직자
서울과학기술대 문예창작과
사단법인 한국미래산업연구소 사무처장
현) (주)승화푸드 HACCP팀 부팀장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