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현정은 ‘사생결단 승부수’

2014.01.02 11:22:08 호수 0호

고비서 꺼낸 히든카드…묘수냐 악수냐

[일요시사=경제1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은 재계를 대표하는 여성 오너다. 남편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세자녀를 둔 가정주부에서 그룹 총수로 변신, 지난 10년간 그룹을 이끌어왔다. 그 길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크고 작은 풍파가 끊이질 않더니 해운업 불황으로 직격탄을 맞았다. 이 과정에서 ‘시월드’와의 갈등도 새나왔다. 현 회장은 결국 회사를 살리기 위한 마지막 카드를 꺼내들었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또 한 번 눈물의 결단을 내렸다. 최근 시장에서 제기된 현대그룹의 유동성 문제에 미온적 태도로만 일관해오다 자구책을 내놓은 것이다. 핵심은 그룹의 돈줄 역할을 해오던 금융업 철수. 고심하던 현 회장은 현대증권을 포함한 금융계열 3개사를 파는 승부수를 던지기로 했다. 지난 2003년 남편인 고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 타계 후 그룹 총수 직에 오른지 딱 10년째에 맞는 일이다. 

“돈 되는 건…”
현대증권 포기

현대증권은 현 회장에게 의미가 남다른 회사다. 1962년 설립된 국일증권을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1977년 인수하면서 그룹 내 금융사업의 주춧돌 역할을 해왔다. 남편인  정 전 회장이 2000년 ‘왕자의 난’에서 승리했을 당시 현대건설과 현대증권을 ‘그룹 적통’의 양대 기반으로 삼기도 했다.

현대증권이 현 회장에게 단순히 핵심 금융계열사로서의 역할을 넘어 ‘옛 현대그룹의 계승자’인 셈이다. 2010년 시아주버니인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의 대결에서 현대건설을 넘겨주며 통한의 눈물을 흘렸던 현 회장에겐 그룹 정통을 이어갈 마지막 기반이기도 했다.

하지만 해운경기 악화로 현대상선의 유동성 압박이 거세지자, 채권단은 현대증권 매각을 포함한 고강도 자구계획을 요구해왔다. 현 회장은 이를 완강히 거부했지만 비슷한 처지에 놓인 한진그룹, 동부그룹 등이 3조원 이상의 ‘통큰’ 구조조정안을 내놓으면서 현대그룹에 가해지는 압박도 더욱 거세졌다.


장고 끝 결단…돈줄 팔고 4개 사업부문 재편
‘손실만 6000억’낸 대북사업은 그대로 유지

매각 카드 외엔 별다른 대안이 없었던 현 회장은 결국 정통을 포기하는 통탄의 결단을 내렸다. 현대그룹은 이 자구안을 바탕으로 최소 3조 3400억원의 자금 조달하고 1조 3000억원가량의 부채를 탕감, 2조원의 유동성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세부적으로는 현대증권, 현대자산운용, 현대저축은행 등 매각을 통해 7000억∼1조원 이상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대상선이 보유한 항만터미널사업의 일부 지분을 매각과 벌크 전용선 부문 사업구조 조정을 통해서는 약 1조5000억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현대상선이 보유한 국내외 부동산과 유가증권, 선박 등도 4800억원에 매각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유가증권, 부산 용당 컨테이너 야적장, 미국·중국·싱가폴 소재 부동산 등이 포함된다.

자산 매각 외에도 현대상선의 외자유치 추진, 현대엘리베이터 유상증자, 현대로지스틱스 기업공개 등으로 3200억원 이상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내부 구조조정, 반얀트리호텔 매각 등을 추진해 총 3400억원 이상을 조달키로 했다.

이를 통해 현대그룹은 현대상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로지스틱스 등 주요 3개사의 부채비율을 지난 3분기 말 493%에서 200% 후반대로 대폭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 웨이’
남편 뜻 유지

뼈를 깎는 그룹 구조 개편에도 적자를 면치 못하는 현대아산은 사업을 유지키로 했다. 대북사업을 담당하는 현대아산은 국내여행 사업 등 일부 사업은 경영개선 조치에 나설 방침이지만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등의 대북 사업 조직은 그대로 놔둔다는 방침이다.

이는 남편 정 전 회장이 살아생전 아버지인 정 전 명예회장의 뜻을 받아 공을 들였던 회사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어려움 속에서도 남편의 유지를 이어가겠다는 현 회장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현 회장은 지난 8월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정 전 회장의 선영을 찾은 자리에서 “한길을 개척해 나간 정 회장의 꿈과 도전정신을 잘 이뤄나가겠다”고 말한 바 있다.

시아주버니인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현대중공업 대주주인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 등에 의지하지 않고 자구책을 마련한 것도 남편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된다. 생전 남편이 형들과 형제의 난을 벌일 정도로 관계가 원만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 전 회장 사망 이후 현 회장 역시 범 현대가와의 경영권 분쟁을 수차례 반복해왔다. 일부에서는 현 회장을 두고 ‘시련의 여인’이라는 표현까지 썼다.

정 전 회장이 사망한 2003년, 남편의 죽음을 슬퍼할 겨를도 없이 현 회장과 정상영 KCC 명예회장 사이에 현대그룹 경영권을 둘러싼 ‘시숙의 난’이 벌어졌다. 당시 현 회장은 ‘현대엘리베이터 국민기업화’라는 빅 카드를 내밀었다. 즉 현대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는 현대엘리베이터가 ‘국민주’를 발행하는 것이다.

국민이 주주가 되는 주인 없는 회사가 되고 현 회장마저도 소유권을 잃게 된다. 그렇게 될지언정 현대그룹을 KCC그룹으로 계열화시킬 수 없다는 비장한 각오로 내린 결단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자를 가리기로 했고, 주주들이 현 회장의 손을 들어주면서 경영권 방어에 성공했다.

시숙의 난부터
시동생의 난까지

2006년엔 정몽준 의원이 대주주로 있는 현대중공업그룹이 현대상선 지분을 사전 협의 없이 매입하며 현대그룹과 맞섰다. 이른바 ‘시동생의 난’. 현대그룹은 당시에도 현대엘리베이터를 통해 파생상품 회사와 계약을 맺고 우호지분을 확보해 가까스로 경영권을 지켰다.

2007년에도 ‘사단’이 벌어졌다. 현대그룹은 경영권 보호를 위해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주주 이외의 제3자에게 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관변경을 시도했으나 범 현대가의 강한 반발로 관철되지 못했다.

2010년엔 정몽구 회장이 이끄는 현대차그룹과 현대그룹의 정면충돌이 있었다. 현대건설 인수전과 관련해서다. 현대그룹이 현대건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자 현대차그룹이 이의를 제기했고 우선협상자가 현대차그룹으로 바뀌는 곡절을 겪었다.

결국 현대차그룹이 현대건설을 인수함으로써 현대차그룹은 현대건설을 통해 현대상선 지분 7.7%를 보유하며 현대상선 경영권 분쟁에서 캐스팅보트를 쥐게 됐다.

고 정몽헌 사망후 시댁가와 갈등·반목 반복
경영권 방어만 집착하다 주력사업 손실 누적


2011년 현대상선의 주총에서도 현대그룹과 현대중공업 등 범 현대가의 표 대결이 전개됐다. 현대그룹이 올린 우선주 발행 한도 확대 안건은 범 현대가의 반대로 부결됐다. 당시 현대중공업과 KCC, 현대산업개발 등이 주총에 참석해 반대표를 던졌다. 찬성 64.95%, 기권·무효·반대가 35.50%로 안건이 가결되지 못 했다.

재계에선 현 회장이 잇따라 경영권 분쟁을 빚으면서, 경영권 방어에만 집착한 것이 결국 스스로의 발목을 잡았다고 분석한다.

실제 현대엘리베이터의 경우 그룹 경영권 방어를 위해 재무적 투자자와 체결한 파생상품 계약에서 큰 손실을 부담해 영업흑자가 났음에도 2011년, 2012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현대상선 주가 하락으로 입은 손실만 7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개혁연대는 이에 “이 파생 계약으로 현대엘리베이터에 신용 위험을 전가시켰다”며 현 회장을 상법 신용공여 금지 규정 위반 혐의로 지난 11월 말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금강산 관광 등 대북 사업 중단과 주력 사업인 해운업이 불황 사이클을 타고 있다는 점도 현대그룹의 발목을 잡았다. 1998년 11월18일 시작된 금강산 관광은 2008년 7월11일 발생한 관광객 피격사망 사건으로 5년 넘게 중단돼 있다. 현대아산이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지금까지 입은 매출 손실만 6000억원에 육박한다. 현대상선은 해운업 침체로 2011년부터 현재까지 1조 4000억원이 넘는 누적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허리띠 조르고
몸집 줄이고

과정이 어찌됐건 전환점을 맞은 현대그룹의 앞날은 ‘해운’과 ‘대북사업’으로 점철될 예정이다. 해운(현대상선), 물류(현대로지스틱스), 산업기계(현대엘리베이터), 대북사업(현대아산) 등 4대 사업을 새롭게 그룹의 축으로 조정한다. 해운과 대북사업이 전면에 서고 산업기계와 물류 산업이 그룹의 수익 창구로 발돋움하도록 사업 구조를 재편한다는 게 현대그룹의 방침이다.

물론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대증권 매각 등 자구책 세부 계획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을 뿐 아니라 해운업계 시황 회복이 더뎌 자금 확보에 악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 등이다.

현대그룹에 입성한 후 오너의 자리에서 가시밭길을 걸어온 지 어언 10년. 그룹의 회생을 위해 내린 현 회장의 결단이 과연 현대그룹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설아 기자 <sasa7088@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