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선감도 ㉑험한 세상 거지로 버티기

  • 김영권 작가
2024.10.14 04:00:00 호수 1501호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그건 그렇구 저 꼬맹이는 어떻게 할 거요? 저렇게 또 찾아오는 걸 보니 앞으로도 계속 올 것 같은데 말요.”

“그러게 말여. 잠이야 재워 준다고 했으니께 오는 거야 상관없지만…….”

“꼬마야, 너 어디 살았는지 정말 기억이 안 나냐?”

“예…….”

왕초네 식구들


“그럼 말이다, 네 발로 가까운 경찰서엘 한번 찾아가 봐라. 그래서 어디 고아원이라도 들어가야지, 무작정 이러면 어떡할 거야, 응?”

용운이 묵묵히 듣기만 하자 한참을 더 타이르던 텁석부리 사내는 피곤한지 하품을 늘어지게 하며 자리를 털고 일어섰다.

텁석부리 사내가 돌아간 뒤 자리를 깔고 눕기 무섭게 노인이 주절주절 얘기를 시작했다.

“나는 니가 어쩌다 이렇키 됐는지 자세히 모르겄다. 밑도 끝도 없는 니 말을 어디까지 믿어얄지도 모르겄구 말이야. 하지만 어차피 이렇게 된 거…… 고아원에 가기 싫거들랑 털보 왕초네 식구라도 되는 게 어떠냐? 험한 시상 죽지 않고 버틸라문 그렇키래두 해야지. 무작정 에미만 찾을라는 니가 안되어서 하는 소리여.”

“괜……찮아요.”

“괜찮다니? 배를 곯는데도 괜찮어?”

“예…….”

“거지들은 안 가는 데가 없단다. 그러니 그들과 함께 지내다 보면 에미를 찾을 수도 있을 거야.”

“정말인가요? 그럼 할아버지 말씀대로 하겠어요.”

용운은 재빨리 말했다.


노인은 한숨을 쉬며 언제까지고 용운을 멀뚱멀뚱 내려다보기만 할 뿐이었다. 머릿속이 혼란스러운 모양이었다.

멀리서 야경꾼의 딱딱이 소리가 바람을 타고 들려왔다. 똑바로 누워 있던 용운이 고개를 돌리고 바라보자 노인은 한숨을 푹 쉬더니 알아듣지 못할 소리를 늘어놓기 시작했다.

“거지들에게도 엄한 법이 있어서 남의 구역을 침범해서는 안 되고 도둑질은 더욱 금물이니라. 동냥을 할 때는 끼니때가 조금 지난 뒤에 가는 게 예의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은 도와주는 것이 도리니라. 알겠느냐?”

“예.”

“먹고 사는 게 중요하냐? 살기 위해 먹느냐? 구걸할 때마다 이 문제를 항상 명심하거라. 비천한 신세이지만 거지에게도 좋은 점은 있단다. 모든 걸 다 놓아 버리고 아무 욕심도 없이 자유롭게 한 세상 떠돌다 가는 것도 한 가락 낭만은 있지 않겠나. 부귀영화도 좋지만 욕망과 소유의 괴로움을 벗어나는 것이 곧 천당이니라.”

“예.”

노인은 도사처럼 허연 수염을 쓰다듬었다.

“네 이름이 용운이라 했겄다? 음, 구름을 뚫고 승천하는 용의 운수로구나. 그걸 네 운명이라 생각하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그시 참으며 헤쳐 나가야만 운이 펴인단다. 부모에게 버림받은 가출이 아니라, 큰 도를 찾는 출가라 생각하고 나아가면 그 또한 사나이의 한 멋이 아니겠냐? 모든 것엔 좋고 나쁜 양면이 함께 섞여 있다고 생각하면 한 단계씩 먹구름을 뚫고 승천하는 데 도움이 되리로다.”

“욕망·소유 벗어나”
그들만의 엄한 법


“예.”

노인의 근엄해진 표정이 좀 우습기도 했지만 용운은 순순히 대답을 했다. 

미리내가 은은히 흐르는 밤하늘에 별똥별 하나가 길게 꼬리를 끌며 어둠 속으로 사그라지고 있었다. 수많은 별들 중에서 어둠 속으로 사라지는 그 별이 서울역 인파 속으로 사라지던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 같다고 용운은 생각했다.

용운은 다시 솟구치려는 눈물을 손등으로 찍어 눌렀다. 

청계천 다리 밑 텁석부리 왕초의 식구가 된 용운은 거지 세계에 정식으로 입문했다. 

용운의 일과는 아침 일찍 구걸하러 나가는 노인의 꽁무니를 졸졸 따라가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노인은 구걸을 할 때면 언제나 용운을 앞세워 동정심을 유발했다. 

“늙은이야 상관없소만 이 어린 게 사흘이나 굶어서…….”

그런 작전은 때로 효과가 있어서 동냥질은 비교적 순조로운 편이었다. 그러면 노인은 불그스레한 잇몸이 드러나도록 히벌쭉 웃으며 부근의 헛간으로 가서 쪽박을 놓았다. 

노인은 날씨가 좋을 때면 밖으로 나가 옷을 벗고 이를 잡았다. 노인의 이 잡는 방법은 재미있었다. 이란 놈은 항상 옷의 솔기 속에 많이 숨어 있게 마련이었다.

노인은 솔기 부분을 양손에 길게 늘려잡고 이쪽부터 저쪽까지 어금니로 잘근잘근 씹어가는 것이었다.

“타닥, 톡, 툭, 틱…….” 하는 그 소리 또한 들을 만했다. 

일단 기습 작전이 끝나면 다음엔 평평한 돌 위에 옷을 펼쳐놓는다. 그러면 곧 죽지 않은 이들이 사방에서 스멀스멀 기어나왔다.

영감은 반들반들한 돌멩이로 그것들을 따라가며 콩콩 찍어 죽였다. 어쩌다 피를 잔뜩 빨아먹어 통통한 놈이라도 몇 마리 나오면 즉각 죽이지 않고 싸움을 시키며 가지고 놀았다.

잔뜩 처먹은 시뻘건 놈들이 성을 내며 싸우는 꼴은 볼만하면서도 징그러웠다. 그러다가 노인은 싫증이 나면 손톱으로 탁 터뜨려 죽이고는 히히 하고 웃는 것이었다. 

아침에 구걸을 나가다 보면 동네 어귀에 옹기종기 모여 아침밥 짓는 굴뚝의 연기가 멎기를 기다리는 아이들과 마주쳤다.

어느 때는 쇠죽통 속에 손을 파묻고 있는 아이들과 만나기도 했는데, 그럴 때면 더러운 손을 흔들며 부르곤 했다. 손의 때를 벗기고 가라는 것이었다. 

쇠죽에 닦은 손

농부가 쇠죽을 쑤어 여물통에 내놓으면 슬쩍 다가가서 손을 푹 파묻었다.

묵은 때를 닦는 데는 그처럼 좋은 것이 없었다. 겨울철엔 더욱더 그럴 터였다.

뜨끈한 수분과 열기로 때도 잘 불지만, 볏짚과 콩깍지에서 우러나온 기름기가 비누가 되고 또 때수건 역할까지 해서 손은 신기하리만큼 잘 닦였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