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 동안 한반도를 지배했던 국가다. 같은 시기 명나라와(1368~1644년) 청나라(1616~1912년)는 544년 동안 중국 대륙을 지배했다.
그런데 중국 대륙은 신해혁명(1912년)이 성공한 후 같은 해 중화민국 정부가 수립된 반면, 한반도는 신해혁명보다 16년 빨랐던 동학혁명(1894년)이 일어났지만 실패했고, 일제강점기와 6·25 동란을 거쳐 54년이 지난 1948년 남쪽엔 대한민국, 북쪽엔 북한 정부가 수립됐다.
혁명은 실패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동학혁명 사례를 통해 자국 내 공권력이나 사회적 공감대가 아닌 외세의 도움을 받아 진압하면 향후 엄청난 국가적 데미지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원래 조선은 초기 200년 동안 크고 작은 국내 혼란이 있었지만 국가다운 면모를 갖춰가면서 꾸준히 발전했고, 개국 당시 500만명이던 인구도 1000만명으로 늘어나면서 태평성대를 누렸다.
그러나 군사력을 키우지 못한 탓에 후기 300년 동안 일본, 중국, 서양으로부터 수차례 침략을 당했다.
일본과 치른 왜란(1592년 임진왜란, 1597년 정유왜란), 중국과 다툰 호란(1627년 정묘호란, 1636년 병자호란), 서양과 벌인 양요(1866년 병인양요-프랑스, 1871년 신미양요-미국)가 바로 조선이 당한 외세의 침략전쟁이다.
조선은 왜란, 호란, 양요로 점점 피폐해졌지만 침략전쟁으로 나라를 빼앗기진 않았다. 그런데 청나라와 일본이 청일전쟁(1894년)을 한반도서 치르고, 러일전쟁(1904년) 때도 일본이 한반도를 전쟁 근거지로 삼으면서 결국 1910년 조선은 일본에 넘겨지고 말았다.
1894년 세도정치와 탐관오리의 수탈에 시달리던 농민 세력이 조선을 바로잡기 위해 일으킨 동학혁명이 전국적으로 퍼지자 당황한 조선 왕실이 이를 반란으로 여기고 청나라와 일본에 군대 파병을 요청해 양국 군대의 도움을 받아 혁명을 진압하면서부터 조선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기 시작한 셈이다.
만약 한반도서 동학혁명이 신해혁명처럼 성공했다면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와 6·25 동란을 거치지 않고 조선왕조 500년을 계승한 통일국가로서 일찌감치 강대국이 됐을 것이다.
필자는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가 각각 독립혁명, 청교도혁명, 프랑스대혁명, 신해혁명, 볼셰비키혁명을 통해 나라의 정체성을 찾고 강대국으로 도약했던 점을 생각할 때마다 조선이 청나라와 일본 군대를 끌어들여 동학혁명을 막았던 게 한반도가 안정적인 자주국가로 도약하는 걸 막았고, 지금도 한반도가 분단국가로서 미·중 갈등 프레임에 갇히게 된 원인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의 남하정책과 일본의 북진정책, 그리고 서양의 통상정책이 조선이 겪은 침략전쟁의 주원인이라 할 수 있지만, 그래도 조선이 초기 200년 동안 태평성대시기에 강한 군사력을 갖추지 못했고, 동학혁명을 청나라와 일본 군대의 도움을 받아 진압했다는 건 대한민국 역사에서 지울 수 없는 오점이다.
한반도는 대한제국을 포함해 조선왕조 500년이 끝난 후, 36년 동안 일제강점기를 거쳐 1945년 해방을 맞았지만 남쪽엔 미국군이, 북쪽엔 중국군이 주둔하며 분단됐고, 이제는 언제 미·중 패권전쟁이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 속에 놓여있다. 청나라군과 일본군이 조선에 파병됐을 때와 너무 흡사하다.
130년 전, 청일전쟁의 전쟁터가 된 조선이 일본에게 주권을 빼앗긴 것처럼, 현재 미·중 패권싸움의 틈바구니에 있는 대한민국과 북한이 미중전쟁의 전쟁터가 되고 한반도 주도권을 빼앗기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한·미·일 대 북·중·러 전쟁의 전쟁터가 돼서도 절대 안 된다.
조선시대 한반도는 하나의 나라였지만 1945년 이후 한반도는 두 나라로 나뉘어졌다. 현재의 한반도 내 외국군 주둔이 조선시대 상황과는 다르지만, 먼 훗날 우리 후손이 통일 한반도를 평가하면서 지금의 미·중군대 주둔을 조선시대의 청·일군대 파병과 동일 개념으로 이해할지도 모른다.
아무튼 지금 한반도 상황이 조선 말기 상황과 비슷한 위험에 노출돼있다는 사실을 우리 정부와 국민이 똑바로 직시해야 한다.
6·25 동란으로 쑥대밭이 된 한반도였지만 남쪽의 대한민국은 지난 70년 동안 세계가 깜짝 놀랄만한 위대한 역사를 만들어 경제강국이 됐다. 그리고 미·중 갈등이라는 신냉전 틈바구니 속에서도 안보는 미국과, 경제는 중국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안보동맹을, 중국과 경제동맹을 맺었지만 우리 정부는 결국 미국과 중국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우리나라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임진왜란과 정유왜란은 선조 때,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은 인조 때,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는 고종 때, 청일전쟁과 러일전쟁도 고종 때 일어났다. 27명의 조선 왕 중 선조, 인조, 고종 때 전쟁이 모두 일어났다.
역사는 위 3명 왕 모두 국가적 손실을 입혔기 때문에, 세자의 책봉과정이나 왕위계승에 있어 비정상적 계승자로서 왜란을 막지 못한 선조를 소심한 왕으로, 흥해가는 청나라 대신 망해가는 명나라와 친하게 지내다 호란을 막지 못한 인조를 무능한 왕으로,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청나라와 일본 양국에 군대 파병을 요청하다 결국 조선을 청일전쟁 전쟁터로 내준 고종을 우유부단한 왕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분단된 한반도서 특히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면 역사로부터 어떻게 평가받을지 고민해봐야 한다. 더 이상 소심한 대통령이나 무능한 대통령이나 우유부단한 대통령이 나와선 안 된다. 왜란과 양요를 일으킨 두 나라 정상과 갖는 한·미·일 정상회의, 호란과 왜란을 일으킨 두 나라 정상과 갖는 한·중·일 정상회의서, 그리고 동란을 일으킨 북한과의 남북 정상회의서 빚지지 않은 우리나라 대통령은 더 당당해도 될 것 같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