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레포츠 ②제주 하도어촌체험마을

2020.09.28 09:20:16 호수 1290호

해녀가 되어 바닷속을 누벼볼까?

푸른 바다에 주홍색 테왁이 점점이 떠있고, 가만히 귀 기울이면 해녀들이 물 밖으로 나오면서 내는 ‘휘오이~’ 소리가 아련히 들려오는 곳. 제주 바다를 더욱 특별하게 즐기고 싶다면 해녀 물질 체험에 나서보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제주 해녀 문화’를 배우고, 해녀와 함께 바다에서 소라나 전복 같은 해산물을 직접 채취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 현직 해녀들이 많이 남아 있는 하도리 앞에 세워진 해녀상

제주 동북부에 위치한 하도리는 현직 해녀들이 많이 남아 있는 마을 가운데 하나다. 이곳 어촌계가 운영하는 하도어촌체험마을에서 해녀 물질 체험을 진행한다. 바람이 거세거나 파도가 높은 날을 제외하고 언제든 체험이 가능하다. 초등학교 5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가족 여행객도 많이 찾는다. 부력이 있는 잠수복을 입고 체험하므로 수영을 못해도 겁낼 필요가 없다.

▲ 잠수복에 납 벨트까지 착용하고 바다로 향하는 사람들

누구나 가능

체험 전에 잠수복으로 갈아입고 준비하는 데 시간이 걸리니 20~30분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다. 잠수복에 물을 붓고 팔과 다리를 넣으면 훨씬 입기 수월하다. 여기에 오리발을 챙겨 들고 허리에 납 벨트까지 착용하면 체험 준비가 끝난다.

납 벨트는 부력으로 뜨는 몸을 잠수할 때 가라앉기 쉽게 도와준다. 하도어촌체험마을에서는 이처럼 해녀와 똑같은 복장으로 체험에 나선다.

일렬로 서서 간단히 준비운동을 한 뒤, 테왁을 각자 하나씩 들고 바다로 향한다. 테왁은 물질할 때 쓰는 가장 중요한 도구다. 둥근 스티로폼에 원형 망사리를 달아 채취한 해산물을 담기도 하고, 물 위에서 숨을 고르며 쉬기도 하며, 바닷속에 잠수하는 해녀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가 되기도 한다.


테왁을 어깨에 메고 걸어가는 체험객 모두 해녀가 된 마음으로 물질에 나선다.

바다에 들어서면 생각보다 몸이 물에 잘 떠서 놀란다. 테왁을 두 손으로 잡고 엎드리는 자세로 몇 번 물장구를 치면 앞으로 쑥쑥 나간다. 보통 해녀 한 명당 체험객 5~6명이 팀을 이뤄 해산물을 골고루 채취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바다에서는 조금만 고개를 숙여도 물안경 너머로 바닥까지 훤히 보인다. 햇살이 아롱지는 바위틈에서 자란 해초가 물결 따라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습이 볼 만하다. 해초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작은 물고기가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 체험을 마치고 나오면 뿔소라를 맛볼 수 있다.

해녀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곳을 보니 큼지막한 소라와 전복이 눈에 들어온다. 크게 심호흡하고 머리를 물속에 넣은 뒤 몸을 구부려 힘껏 발장구 쳐보지만 잠수하기가 만만치 않다. 잠수에 성공한 체험객이 소라를 건져 물 밖으로 꺼내자, 여기저기서 부러움 섞인 환호성이 터져 나온다.

잠수에 성공해도 숨을 참고 물속 깊숙이 내려가 바위에 붙은 소라를 떼어내기가 생각처럼 쉽지 않다. 몇 번 시도 끝에 아기 주먹만 한 소라를 쥐고 물 밖으로 나와 거친 숨을 몰아쉰다. 숨이 차도 내 손으로 캐냈다는 희열이 가슴속에 차오른다.

어느 정도 잠수에 익숙해진 체험객은 물질하는 재미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부지런히 물속과 물 밖을 오간다. 한 시간에서 한 시간 반 정도 체험하는데, 시간이 다 가도록 아무도 바다에서 나올 생각을 안 한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
‘제주 해녀 문화’ 배우고 직접 경험

체험을 마치고 나오면 망사리에 넣어둔 해산물을 바로 먹을 수 있게 준비해준다. 각자 채취한 것 외에 뿔소라 400~500g을 얹어주니 많이 잡지 못했다고 아쉬워하지 않아도 된다. 직접 잡은 해산물을 그 자리에서 맛보는 경험 또한 잊지 못할 추억이 된다.

해녀 물질 체험은 보통 하루에 두 번(오전 11시, 오후 2시 전후) 진행한다. 물때에 따라 시간이 바뀌기도 하니 체험 당일은 일정을 여유롭게 잡아야 한다. 체험비는 3만5000원. 전화 예약이 필수다.

▲ 제주 해녀의 역사와 생활 풍습을 이해하기 쉽게 꾸민 해녀박물관

하도어촌체험마을에서 자동차로 5분 거리에 해녀박물관이 있다. 제주 해녀의 역사와 생활 풍습을 이해하기 쉽게 꾸며놓아, 함께 둘러보면 더욱 알찬 여행이 된다. 제1전시실에 해녀가 살던 옛집을 실물 그대로 전시하고, 제2전시실에는 해녀들의 독특한 공동체 문화를 자세히 소개한다.


제주 3대 항일운동 가운데 하나인 해녀들의 항일운동 역사도 빼놓지 말고 관람하자. 제3전시실에는 한평생 바다에서 살아온 해녀들의 삶을 인터뷰 영상으로 보여준다. 진솔한 이야기를 통해 오랜 세월 이어 내려온 제주의 해녀 문화를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해녀박물관은 현재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예약제로 운영한다. 시간대별로 관람객 인원을 제한하며, 홈페이지에서 관람 하루 전날 오후 4시까지 예약해야 한다.

▲ 목가적인 분위기가 흐르는 용눈이오름

용눈이오름과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비자림, 천연기념물 374호)도 가까워 하루 일정으로 묶기 좋다. 용눈이오름은 제주에서 인기 있는 오름 가운데 하나다. 탐방로가 정상까지 완만하게 이어져 남녀노소 누구나 오르기 쉽고, 곳곳에 방목하는 소와 말이 있어 목가적인 분위기가 흐른다.

정상에 서면 밭과 주변에 있는 오름이 한눈에 들어오는 서정적인 풍경이 펼쳐지고, 맑은 날에는 멀리 한라산까지 보인다.

▲ 오솔길을 산책하며 힐링하기 좋은 평대리 비자나무 숲

평대리 비자나무 숲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오솔길을 산책하며 힐링하기 좋은 곳이다. 비자나무 2800  여그루가 자생적으로 숲을 이루고,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와 알싸한 비자 향이 마음까지 상쾌하게 해준다. 이곳 비자나무는 보통 수령이 500~800년에 달하는 고목이다. 그중에도 ‘새천년비자나무’는 고려 명종 때 심은 아름드리 거목으로, 지금도 푸른 기운이 가득하다. 숲길 안쪽에 두 나무가 한 몸이 되어 자라는 연리목도 있다.

 

<여행 정보>
 
당일 여행 
하도어촌체험마을(해녀 물질 체험)→해녀박물관→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비자림)

1박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하도어촌체험마을(해녀 물질 체험)→해녀박물관→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비자림) 
둘째 날: 용눈이오름→메이즈랜드→만장굴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비짓제주 www.visitjeju.net/kr
- 하도어촌체험마을 http://www.하도어촌체험마을.kr
- 해녀박물관 http://www.jeju.go.kr/haenyeo/index.htm 


문의 전화
- 제주관광정보센터 064)740-6000
- 하도어촌체험마을 064)783-1996
- 해녀박물관 064)782-9898,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비자림) 064)710-7912

대중교통
[버스] 제주국제공항에서 101번 급행버스 이용, 세화환승정류장에서 택시 환승, 하도어촌체험마을까지 약 10분 소요. 
*문의: 제주버스정보시스템 

자가운전
제주국제공항→마리나사거리에서 우회전→연삼로→신촌진드르교차로에서 우회전→하도입구삼거리에서 해안도로 방면 좌회전→하도굴동삼거리에서 우회전, 약 550m 이동 후 좌회전→하도어촌체험마을

숙박 정보
- 제주알(R)호텔(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서광로14길, 064)757-7734
- 제주메이플호텔(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원노형3길, 064)745-6775 
- 크리스마스리조트풀빌라: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64)784-1224 
- 지미스테이: 구좌읍 하도15길, 064)782-1533 
- 제주도푸른바다: 구좌읍 별방길, 064)782-7788
- 하바나리조트: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64)782-1040 
- 이야기별방게스트하우스: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10)3615-3766

식당 정보
- 살찐고등어(돈가스):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64)783-9279
- 소금바치순이네(돌문어볶음):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64)784-1230 
- 산도롱맨도롱(고기국수·갈비국수):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64)782-5105 
- 양화정(양갈비): 구좌읍 세평항로, 064)782-9969 
- 별방촌(활어회·한치회): 구좌읍 해맞이해안로, 064)783-1907

주변 볼거리
성산일출봉, 빛의벙커, 지미봉, 세화해변, 월정리해변, 제주올레 1코스, 다랑쉬오름, 김녕미로공원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