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격 리뷰> 이해하려 들지 말고 느껴라 ‘테넷’

2020.09.01 09:57:03 호수 1286호

“도대체 뭘 본 거지?” 최고 난이도 ‘놀란 고시’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관객의 수준을 최소 석사 학위로 전제하고 영화를 만든다는 평가를 받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신작 <테넷>을 내놨다. 이전까지 영화 <메멘토> <인셉션> <인터스텔라>가 사칙연산 수준의 영화라면, <테넷>은 열역학법칙에 해당하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이른바 ‘놀란 고시’로 불리는 그의 영화 중에서도 단연 으뜸이다. 
 

▲ 테넷 스틸컷


영화를 홍보할 때 가장 염두에 두는 부분이 ‘스포일러’다. 영화나 소설 등 이야기서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을 미리 알고 보면, 정작 작품을 봤을 때 쾌감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테넷>만큼은 스포일러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 영화를 본다고 해도 핵심을 간파하는 사람은 없을 테니 말이다. 

인버전

시간을 거스르는 ‘인버전’을 통해 제3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려는 미래 세력과 이를 막으려는 현재 세력이 뒤섞인 시공간 안에서 싸우는 이야기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서 동시에 협공하는 미래 세력에 맞서 같은 얼개로 시간을 이용해 방어하는 현실 세력인 테넷을 그린다. 이 과정서 순행하는 시간과 역행하는 시간을 매우 복잡한 플롯으로 풀어낸다. 

크리스토퍼 놀란(이하 놀란) 감독이 20년 동안 아이디어를 개발해나갔으며, 6년에 걸쳐 시나리오를 집필했다. 아울러 <인터스텔라>서 함께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물리학자 킵 손이 참여해 오류를 잡아줬다. <인셉션>이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에 기초했다면 <테넷>은 열역학과 양자역학에 근간을 뒀다. 

에너지의 흐름을 시간과 공간으로 치환했고, 엔트로피 법칙을 확장시켜 ‘인버전’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었다. 인버전이란 사물의 엔트로피를 반전시켜 시간마저도 거스르는 미래 기술이다. 사물은 물론 사람 역시 특수한 문을 통해 과거로 갈 수 있으며, 과거에서도 시간을 순행하거나 역행할 수도 있다. 


역행할 때는 기존의 환경이 반전을 일으킨다. 불이 나면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온도가 떨어져 얼어붙는 개념이다. 원인과 결과로 이어지는 흐름이 아닌, 결과로부터 원인으로 가는 현상도 나타난다. 총을 쏘면 총알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이미 벽에 박혀 있는 총탄이 탄창으로 돌아가는 형태다.

<인셉션>의 경우 꿈 설계 초보자 ‘아리아드네’(앨런 페이지 분)가 있어 ‘코브’(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분)가 눈높이 교육을 충분히 하는 데 반해, 이 영화는 주도자(존 데이비슨 워싱턴 분)가 몇 가지 짧은 설명만으로도 인버전의 속성을 완전히 깨닫고 미션을 수행한다. 관객이 이해할 틈을 조금도 주지 않고 감독은 곧바로 사건으로 몰아넣는다.

시간의 정방향과 역방향을 오가는 비주얼에 눈과 귀는 감탄을 하는데, 이런 현상이 머리로는 납득할 수 없다. 포스터와 예고편서 강조하는 ‘이해하려 하지 말고 느껴라’라는 문구야말로 이 영화를 대하는 적절한 태도다. 

이야기가 다소 어렵더라도 볼만한 요소는 상당하다. 프롤로그 격인 오페라 하우스 테러 사건부터 747 보잉 비행기를 터뜨리는 쾌감, 순방향과 역방향이 혼재된 시공간서의 카체이싱은 새로운 체험을 선사한다. 영화로 안겨줄 수 있는 쾌감이 <테넷> 안에 무수히 존재한다. 

20년 넘게 준비한 놀란 유니버스의 정수
N차 관람은 필수…얕은 주제의식은 실망

아쉽게도 <배트맨: 다크나이트>나 <인셉션> <인터스텔라>서 보여준 깊이 있는 주제의식이 <테넷>에서는 딱히 보이지 않는다.

조커(히스레저 분)의 대사를 통해 전달한 선악에 대한 성찰, 코브와 피셔(킬리언 머피)의 두 삶의 공통점으로 알려준 사랑의 의미, <인터스텔라>의 인류애 등 주제의식이 분명했던 것에 반해 <테넷>은 인간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얕다. 이 같은 측면서 실망했다는 씨네필도 적지 않다. 

또 놀란 감독을 향한 비판 중 하나가 배우들을 장치적으로 활용하는 데 그친다는 것이다. 놀란 감독이 만든 철저히 통제된 세상서, 배우들은 인형처럼 움직인다는 것. 그런 측면서 배우의 역할이 가장 한정된 작품이 <테넷>이다. 극 중 인물들은 복잡한 세상을 비춰주는 장기 말에 불과하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과 존 데이비드 워싱턴

역할이 작지만 배우들은 최상의 연기력을 펼친다. 주도자 역의 존 데이비드 워싱턴은 미식축구 선수 출신 다운 파괴력 있는 몸짓으로 놀라운 액션을 선보인다. 덴젤 워싱턴의 아들인 그는 일부 감정적인 연기도 무난하게 소화한다. 

모든 비밀을 알고 있는 요원 닐 역할의 로버트 패틴슨은 전반적으로 절제된 얼굴로 주도자를 돕는다. <트와일라잇> 등에서 감정을 절제하는 연기로 탁월한 면모를 보여준 그는 이번에도 침착한 얼굴로 새로운 세계 속에서 현실감을 더한다. 


남편의 협박에 굴복해 절망 속에서 복수의 칼을 가는 캣을 연기한 190cm의 장신 엘리자베스 데비키는 분노와 절망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며, 지구 종말의 결정권을 가진 사토르 역의 캐네스 브래너는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배우라는 것을 몸소 증명한다. 

영화의 제목은 <TENET>이다. 앞으로 읽어도, 역으로 돌려봐도 <TENET>이다. 순행과 역행의 조화를 의미한다. 대사를 통해서도 수미쌍관을 적용한 지점이 꽤 있어, 원어에 귀를 기울이는 것도 하나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 아울러 물리학서 가장 중요한 이론인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연상케 하는 캣처럼 인물과 사물의 이름 속에도 비밀이 숨겨져 있다.

영화가 끝나고 나면 ‘내가 무엇을 본 거지?’라는 충격에 휩싸인다. 혼자서 놀란이 제시한 숙제를 풀기는 어려울 것이다. 가까운 지인과 각각 수집한 정보를 꺼내놓고, 퍼즐을 풀 듯 수다를 떨 때 더 즐거움을 느낄 것이다.

진입장벽

물리학을 공부하고, 다른 사람들의 해설을 확인한 뒤 N차 관람을 하면 충분히 이해가 될 것이다. 그리고 비밀을 알았을 때의 쾌감은 그 어느 영화를 봤을 때보다 강렬할 것이라 자부한다. 다만 놀란 영화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초심자라면 <인셉션> 때와는 달리 진입장벽이 한없이 높아진 이번 놀란 유니버스에 빠져들긴 어려워 보인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