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희 칼럼> 약자를 배려하는 성숙한 사회로

2019.09.09 09:22:11 호수 1235호

“약자에게 어떻게 대하는지를 보면 그 사람에 대한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고, 절대적으로 힘이 약한 무력한 이들을 대하는 태도를 보면 그 사람을 거의 다 파악할 수 있다.” 철학자 마크 롤랜드(Mark Rowlands)가 그의 저서 <철학자와 늑대>를 통해 남긴 명언이다. 



우리 대부분 강자에게는 언행을 함부로 하지 않는다. 자신의 안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테면 직장상사의 평가에 따라 내 급여가 달라질 수 있고 승진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직장상사 앞에서 언행을 함부로 하는 이는 드물다.

반면, 약자는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기 힘들다. 친절히 대한다고 해서 실질적인 이익이 생기는 것도 아니거니와 쌀쌀맞게 대한다고 해도 특별한 불이익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정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타인을 존중하고 인격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는 당위적 도덕관념 때문이다.

그러므로 각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그들이 약자를 대하는 태도는 확연히 다를 수 밖에 없다.

약자를 배려해야 한다는 생각이 없는 이들은 약자에게 가혹하다. 서비스업 종사자에게 반말을 일삼고 사소한 잘못에 분통을 터뜨린다. 상식을 벗어난 무리한 요구도 서슴지 않는다. 

볼썽사나운 행동을 하면서도 ‘서비스 업계서 돈 벌려면 이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든가 ‘이게 싫으면 다른 일 해야지’라며 약자라면 당연히 받아야 하는 대우라는 식으로 자신의 악행을 정당화한다. 우리나라에선 기업이 고객의 부당한 행위에 대한 대응책을 좀처럼 마련하지 않는다. 약자가 감수하거나 회사가 떠안는 불가피한 손해라고 여긴다.


이는 약자에 대한 ‘갑질’이 개인의 성품뿐 아니라 사회적 분위기서도 기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적으로 약자에 대한 ‘갑질’이 용인되다 보니 자신이 ‘갑’인지 ‘을’인지에 대해 예민해진다. 자신이 ‘갑’이라고 판단되면 자신이 ‘을’이었을 때 받았던 부당한 대우를 그대로 행하는 이들도 있다. 사람이 가진 어떤 특징이 실질적으로는 약점이 아닌데도 이에 터 잡아 상대를 ‘을’로 규정하려는 시도가 계속 일어난다. 

약자들도 이에 대항해 자신을 지키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사회 일각에선 ‘약자는 선(善)이고 강자는 악(惡)이다’라는 언더도그마(underdogma) 현상도 나타난다.

이 불합리한 현상은 속칭 ‘을질’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공동 책임이 있는 사안에 책임소재를 따지려 하는데 그것을 ‘약자에 대한 횡포’라고 항변하거나 사실관계를 떠나 어느 한쪽이 우월한 위치에 있다는 것만으로 비난을 일삼는다.  

이런 현상들은 우리나라의 사회적 갈등 수준을 높이는 잠재적 원인이 된다. 여러 자료서 한국의 갈등 수준이 OECD 평균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막대하다. 

다행히 최근 근로기준법에 ‘직장 내 괴롭힘 금지’ 조항이나 산업안전보건법에 ‘감정 노동자 보호’ 조항이 생기는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다.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갑질 근절 캠페인’과 같은 상징적인 행사도 열리고 있다. 

법률 개정이나 캠페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시민의식 향상일 것이다. 내가 누군가에게 부당한 대우를 당했다고 해서 다른 이에게 그대로 행하기보다는 이성적으로 인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타인의 사회적 위치와 나의 유불리를 따지기에 살피기에 앞서 한 인간에 대한 예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약자를 대하는 태도가 자신의 진면목이다.

법률 개정과 캠페인을 시작으로 약자를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고 확산돼 우리 사회의 성숙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갈등을 줄여 국가의 양적·질적 발전이 이뤄지기를 소망한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