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박상미 기자] 지도도, 물도, 간식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없다. 코스는 짧고 단순하며, 먹고 마실 곳은 지천이다. 개항장 근대역사문화타운과 차이나타운을 한데 묶은 ‘인천 개항누리길’ 탐방로는 근대와 현대가 뒤섞여 놀랍도록 매력적인 곳이다. 인천 차이나타운을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건 오정희가 단편 <중국인 거리>에서 묘사했던 ‘바람에 실려 오는 해조류의 냄새’ 혹은 ‘중국인 거리에서 돋아나는 저녁 불빛들’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들이었다. 한국전쟁 직후를 배경으로 한 이 소설에서 오늘의 차이나타운을 상상하는 것은 가당치도 않은 일이다.
1호선 타고 만나는 붉은 나라…이질적인 공간, 차이나타운
갯벌 위에 올린 20세기 예술 공간, 구도심 인천아트플랫폼
수도권 전철 1호선 종착역인 인천(차이나타운)역을 빠져나오자 길 건너편에 제1패루가 보인다. 패루는 마을 입구나 대로를 가로질러 세운 탑 모양의 중국식 전통 대문을 일컫는다, 공식 여행안내 책자는 설명하고 있다. 횡단보도를 건너 패루를 지나니 온통 붉은색 일색인 이질적인 공간이 등장한다. 차이나타운에 들어선 것이다.
치파오 입고 칭따오 한모금
차이나타운
어지러울 만큼 화려한 치파오, 각종 장신구와 칭따오 맥주 등을 늘어놓은 상점, 월병과 옹기병을 구워 파는 중국식 제과점, 점심시간이 지났음에도 길게 늘어선 줄이 한숨짓게 만드는 양꼬치 가게, 그리고 무슨무슨 ‘루’, 무슨무슨 ‘관’으로 끝나는 간판을 단 중국집들이 끝없이 이어진다. 흥성거리는 분위기가 마치 재래시장 구경에 나선 것 같아 나쁘지 않다.
양꼬치는 엄두가 안 나고, 그보다 줄이 좀 짧은 제과점에서 옹기병을 하나 사서 우물거리며 걷는다. 차이나타운 5대 먹거리 중 하나라는 옹기병은 화덕 벽에 붙여서 구워낸 만두의 일종이다. 속재료로 고구마, 단호박, 고기, 깨 등을 쓴다. 만두라고는 하나 화덕 벽에 구운 것이라 과자처럼 바삭거린다. 고기는 제법 양이 많고 육즙이 흥건해 출출한 속을 달래기에 딱 적당했다. 옹기병을 제외한 나머지 4가지 먹거리는? 자장면, 공갈빵, 월병, 전통차다.
자장면의 발상지는 인천, 그 중에서도 차이나타운의 ‘공화춘’으로 알려져 있다. 산둥 출신 화교가 1911년에 개업해 일제강점기에는 서울과 인천의 상류층을 상대로 한 고급 요릿집이었고, 한국전쟁 이후에 자장면처럼 대중적인 음식을 만들어 팔았다고 한다. 당시의 건물이 인천시 등록문화제 제246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차이나타운의 다른 오래된 건축물들과 함께 아마추어 사진가들에게 인기 있는 촬영지다.
붐비는 거리를 벗어나 청일조계지 경계계단까지 왔다. 말 그대로 일본인 거주지역인 ‘일본 조계’와 중국인 거주지역인 ‘청국 조계’의 경계에 위치한 계단이다. 계단을 중심으로 양쪽의 분위기가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면 눈썰미가 보통 이상은 되는 여행자다. 계단을 마주보고 왼쪽은 지금껏 지나온 차이나타운, 즉 청국 조계지이고, 오른쪽은 이제부터 펼쳐질 일본 조계지다. 그래서 계단 양쪽의 석등 모양도 다르고, 건물 생김새도 완전히 다르다. 계단을 오르면 중국 칭다오 시에서 기증한 공자상이 서 있고, 더 올라가면 맥아더 동상이 있는 자유공원과 연결된다.
도심 속 타임머신 체험
근대역사문화타운
세트장에 들어선 줄 알았다.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에나 등장할 법한 석조건물들이 늘어서 있고, 그 뒤로 현대식 하버파크 호텔의 실루엣이 겹치는 이곳은 도대체 어디고 지금은 어느 시대란 말인가. 안내판은 이 석조건물들이 옛날 일본 제1은행, 18은행, 58은행이었고, 각각 인천시 유형문화재 제7호, 50호, 19호로 지정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인천 개항과 동시인 1883년에 개설돼 금괴와 사금 매입 업무를 대행하고, 예금과 대출 등의 업무를 보았던 일본 제1은행은 2010년 10월에 ‘인천개항박물관’이 되었다. 나가사키에 본점이 있던 제18은행 인천지점은 현재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으로 변신했다. 오사카에 본점을 둔 제58은행은 해방 후 조흥은행 인천지점, 대한적십자 경기도지사 사옥으로 활용되었고, 지금은 인천시 중구 음식업지부 사무실로 쓰인다.
인천개항박물관 옆은 국내 최초의 서양식 호텔이었던 대불호텔 터다. 흔히 서울 정동의 손탁호텔이 최초라고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손탁호텔보다 14년이나 앞선 1888년에 문을 열었단다. 얼마 전 상가건물 신축 과정에서 대불호텔 기초로 보이는 유구가 출토돼 공사가 중단된 상태다.
옛 일본영사관으로 쓰였던 현 중구청 앞으로 슬슬 걸어가보았다. 일본식 목조건물들이 가을 오후의 햇살을 등지고 서 있다. 전쟁통에 남아난 건물이 없었을 텐데 어찌된 일인가 했더니, 최근에 주변을 근대테마문화거리로 조성하면서 옛 거리의 느낌을 살려 일본식으로 지은 것이란다. 기존의 근대건축물과 새로 지은 건물들, 오래된 적산가옥들이 묘하게 믹스매치된 이국적인 풍경, 이것이 바로 옛 일본 조계지의 특징이다.
물류창고에서 예술공간으로
인천아트플랫폼
개항 후 갯벌을 매립해 만들었던 물류창고가 훌륭한 예술공간으로 재탄생했다. 개항누리길 탐방에 나선 목적 중 하나는 ‘인천아트플랫폼’을 보는 것이었다. 오래된 것들에게 새 생명을 부여하는 방법, 구도심 재생의 바람직한 해법을 보여준 모범 사례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인천아트플랫폼은 옛 일본우선주식회사와 같은 근대 개항기 건물과 대한통운 창고, 삼우인쇄소 등 1930~40년대 건축물을 리모델링해 창작 스튜디오, 공방, 교육관, 전시장, 공연장으로 변신시킨 복합문화예술 매개공간이다.
과연 놀라웠다. 인쇄소로 쓰였던 A동은 소규모 전시를 위한 크리스탈 큐브와 교육공간으로, 창고로 쓰였던 B동은 전시장으로, 대한통운 창고였던 C동은 붉은 벽돌에 노란 문이 예쁜 공연장으로, 옛 일본우선주식회사 건물이었던 D동은 문화예술 관련 전문서적과 자료를 구축하고 열람할 수 있는 아카이브로 탈바꿈했다. E1, E2, E3은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예술가들의 창작공간, F동은 해외 초청작가 등의 단기체류 주거공간, G동은 공방, H동은 커뮤니티 홀과 프로젝트 룸이 있는 공간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미리 신청을 받아 매주 화요일에서 금요일까지 하루 2회씩 진행된다. 아동 또는 성인을 위한 도자기 공방은 부정기적으로 열리고 있으니 홈페이지 공지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그밖에 사진예술·인문지리 통합 캠프, 외국어·예술 통합 캠프, 도자·건축 통합 캠프, 문학·미술·공연 통합 캠프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차이나타운에서 근대역사문화타운을 거쳐 아트플랫폼에 이르는 하루 산책길은 자유공원에 올라 월미도 너머로 지는 낙조를 감상하는 것으로 마무리해도 좋다.
<개항누리길 탐방 코스>
* 1코스(1시간)
인천역 → 중화가 → (구)공화춘 → 청일조계지 경계계단 → 삼국지벽화거리 → 차이나타운 거리 → 의선당 → 선린문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 자유공원 → 인천기상대 → (구)제물포구락부 → 각국조계지 경계계단 → 중구청 → (구)일본제58은행 →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 인천개항박물관 → 대불호텔 터 → 인천아트플랫폼 → 한국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한중문화관
* 2코스(2시간)
인천역 → 중화가 → (구)공화춘 → 청일조계지 경계계단 → 삼국지벽화거리 → 차이나타운 거리 → 의선당 → 선린문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 자유공원 → 인천기상대 → 홍예문 → 내동교회 → (구)인천우체국 → 중구청 → (구)일본제58은행 →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 인천개항박물관 → 대불호텔 터 → 인천아트플랫폼 → 한국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한중문화관
* 3코스(3시간)
인천역 → 중화가 → (구)공화춘 → 화교중산학교 → 청일조계지 경계계단 → 삼국지벽화거리 → 차이나타운 거리 → 의선당 → 선린문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탑 → 자유공원 → 인천기상대 → 홍예문 → 내동교회 → 신포문화의거리 → 신포시장 → 신포지하상가 → 답동성당 → 중구청 → (구)일본제58은행 → 인천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 → 인천개항박물관 → 대불호텔 터 → 인천아트플랫폼 → 한국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 한중문화관
<교통 안내>
* 대중교통 : 1호선 인천역 하차해 도보 1분 거리
* 승용차 : 경인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 종점(인천항)에서 월미도 방향으로 15분 거리
<주차장 안내>
* 차이나타운 공영주차장 : 인천역 맞은편 차이나타운 패루 지나 왼쪽
* 신포동 공영주차장 : 신포사거리 옆 인천중동우체국, KT 맞은편
자료출처 : 한국관광공사
www.visitkore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