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삼국비사 (69)무산성 전투

2018.01.29 10:37:44 호수 1151호

김유신, 비령자를 적진으로

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신라서 선덕여왕이 죽고 유일한 성골인 승만 공주가 왕(진덕여왕)으로 보위에 앉았다. 

나름대로 신속하게 일처리 하였으나 비담과 염종의 추종세력들에 대한 제거 그리고 새로이 조정을 정비하느라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그를 살피던 백제의 의자왕은 장군 의직에게 보병과 기병 삼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를 공격하라 명령했다. 

이에 따라 의직은 곧바로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아래에 진을 치고 군사를 나누어보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을 쳤다.

소식을 접한 신라는 김유신을 장수로 일만의 군사를 급거 현장인 무산성으로 이동시켰다. 


현장에 도착한 김유신은 수적으로 절대 우세인 점을 감안하여 가벼이 대했으나 연이은 승전으로 사기가 오른 백제 병사들에게 밀려 고전을 거듭했다.

신라의 사기저하

김유신의 고민은 깊어갔고 그저 성안에서 희롱하는 백제 군사들을 지켜보아야 했다. 

단순히 지켜보는 차원만이 아니었다. 

백제 군사들이 성 바로 앞까지 와서 독전을 촉구하며 희롱하자 신라군의 사기가 점점 떨어지고 있었다.

그를 살피던 유신이 늦은 저녁 막사에 술을 준비하고 수하 장수인 비령자를 불렀다.

“장군, 계속 수성만 하실 생각입니까?”

막상 자신을 부른 유신이 입을 닫고 있자 비령자가 잔을 비워내고 굳은 표정으로 유신을 주시했다.

“참으로 난감하오. 비록 우리가 수적으로 우세하지만 백제 군사들의 기세가 등등해서 군사들의 사기가 말이 아니오. 그런 연유로 장군에게 그 대책을 듣고자 이렇게 자리를 마련하였소.”

“대책은 무슨 대책이 필요합니까. 전군을 통솔하여 성을 박차고 나가 저들과 일전을 불사해야지요.”


“당연히 그리해야 할 일이오. 그런데 워낙 사기가 떨어져 있어서 말이오.”

“단지 병사들의 사기 문제입니까?”

“그렇소. 전장에 임해서는 군의 사기가 가장 중요한데 지금 우리는.”

유신이 말을 마무리하지 못하자 비령자가 손수 자신의 잔을 채워 한 번에 들이켰다.

“장군, 진정 소장에게 원하는 바가 무엇이오?”

유신이 즉답을 피하고 저도 잔을 비워냈다.

“내 솔직하게 이야기하리다. 지금 우리 군의 사기를 살릴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장군밖에 없소. 장군이 단기로 저들의 예봉을 꺾어주었으면 하오. 그런 연후라면 병사들의 사기가 올라가고 수적으로 우세한 우리가 저들을 포위하여 섬멸시킬 수 있을 것이오.”

비령자가 유신의 빈 잔을 채웠다.  

“장군의 말씀이 진정이오?”


“그러하오.”

묻는 유신이나 답을 하는 비령자나 얼굴이 굳어 있었다.

“좋소. 많은 사람 중에 유독 나에게 부탁하니 장군은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라 할 만합니다. 그러니 내 마땅히 죽음으로써 보답하겠습니다.”

유신이 급히 비령자의 잔에 술을 따르고 그의 손을 굳게 잡았다.

“그리해주시겠소?”

“물론이오. 다만 장군은 반드시 이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야 합니다.”

“여부가 있겠소!”

힘주어 답하는 유신의 목소리가 떨렸다. 

그의 모습을 바라보던 비령자가 유신의 얼굴을 살피고는 잔을 비워내고 급히 막사에서 벗어났다.

막사에서 벗어난 비령자가 심복인 합절을 막사로 불렀다.

“장군, 어인 일이십니까?”

이미 은밀하게 유신의 거처에 들렀다 온 사실을 인지했던 터라 합절의 표정이 진지했다.

백제군의 희롱…깊은 고민에 빠지다
비령자, 합절에게 아들의 목숨 부탁

“방금 김유신 장군과 말을 나누고 왔네.”

“하온데?”

“내가 내일 적진으로 들어가려 하네.”

“장군께서 적진으로 말입니까!”

“그렇다네, 그래서 자네에게 반드시 주지시켜야, 아니 부탁할 일이 있네.”

“부탁이라니 당치 않으십니다, 장군,”“그렇지, 자네와 나 사이에 부탁이라니.”

말을 하다 말고 비령자가 합절의 어깨를 힘차게 잡았다.

“자네에게 내 아들의 목숨을 부탁하려네.”

“아들의 목숨이라니요?”

“내일 전투에 내 반드시 살아 돌아오지 못할…….”

“무슨 말씀이신지요!”

말을 하는 중간 합절이 목소리를 높였다.

“김유신 장군과 우리 신라를 위해 이 한목숨 기꺼이 바치기로 했네. 신라군의 사기를 위해 이 미천한 몸 초개처럼 던지기로 했는데, 이후에 내 아들 거진의 행동이 걱정스러워 그런다네.”

합절이 무슨 이야기인지 알겠다는 듯 입술을 깨물었다. 그의 입에서 미세하게 피가 흐르기 시작했다.

“내가 전장서 살아 돌아오지 못한다면 비록 거진이 어리지만 반드시 이 아비와 함께 죽으려 할 것이네. 그런 경우 자네가 나서 극구 만류하여 주게나. 제 어미를 위해서라도 나의 뒤를 따르지 않도록 해주게.”

“장군!”

합절의 얼굴에서 서서히 눈물이 흘러내리기 시작했다.  

“너무 슬퍼하지 말게. 어차피 사람에게 이름만 남을 뿐 목숨은 그저 한순간의 허상에 불과하네.”

“장군의 말씀 깊이 명심하고 반드시 그 뜻을 기리도록 하겠습니다.”

말을 마친 합절이 큰 절로 하직 인사를 올렸다. 

다음날 날이 밝자 비령자가 단기로 성을 나서 백제 진영으로 달려갔다. 

“나 신라 장군 비령자다. 백제 장군 의직은 어서 나와 내 칼을 받아라!”

비령자의 출현을 보고 받은 의직이 앞으로 나섰다.

“장군이 누구라 하였느냐?”

“비령자라는 놈입니다.”

비령자가 답하기에 앞서 부장인 동춘의 답이 이어졌다. 

“자네는 돌아가고 김유신인가 뭔가 하는 쥐새끼 나오라 하게. 그러면 내 기꺼이 응수해주겠네.”

백제에선 누구?

“어찌 김유신 대장군의 칼에 어줍잖은 네 놈의 피를 묻힐 수 있겠느냐. 의직은 어서 나와 목을 늘이도록 하라!”

의직이 신라의 무산성을 찬찬히 주시했다. 신라군의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았다.

“네 놈 혼자 내 목을 취하기 위해 왔다는 말이냐!”

“백제의 오합지졸 상대하는데 혼자로 족하지 않겠는가!”

의직이 가만히 웃다 정색하자 동춘이 창을 비껴들고  바짝 다가섰다.

“장군, 제가 나서겠습니다.”

의직이 동춘과 비령자를 번갈아 바라보며 잠시 생각에 사로잡혔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