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에 입문하거나 갓 입문한 유소년 시기의 야구선수들과 학부모, 그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야구부와 리틀야구, 유소년야구 팀들의 지도자들을 위해 유소년들을 위한 지도이론을 기획했다. 첫 번째 시리즈의 기획으로 서울 사당초등학교 야구부 박선일 감독의 포수지도 이론을 게재한다.
박 감독은 선린인터넷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를 거쳐 한국프로야구 해태 타이거스와 삼성 라이언즈서 포수로 현역 선수생활을 했다. 이후 강원도 원주고등학교와 서울 사당초등학교 야구부를 이끌며 지도자 생활을 했다. 그가 자신의 선수시절과 그 후의 지도자 생활을 하며 현장서 느끼고 터득했던 포수 지도방법을 유소년 야구팀의 선수들과 지도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소개한다.
필자의 주 포지션은 포수였다. 중학교 때부터 훈련했으나 중고등학교 때는 물론 대학교와 프로야구 선수시절까지를 통틀어 전문적인 포수훈련을 받아 본 예는 거의 없었다.
지금은 국내 프로야구에도 코치진에 배터리 코치가 있어서 전문적인 포수훈련에 관한 이론과 실기지도를 하고 있으나 아직도 유소년야구는 물론 중고등학교와 대학교까지 포수를 전문적으로 지도하는 코치나 훈련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한 상태다.
전문훈련 전무
야구는 다른 스포츠 종목들과 비교해도 수비의 포지션이 훨씬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돼있는 운동이고, 대개 중학교 선수 정도가 되면 자신의 포지션을 부여 받아 전문적인 훈련을 받아야 한다.
특히 포수라는 포지션은 다른 포지션에 비해 많은 프로그램과 훈련시간을 필요로 하기에 유소년 시절부터 본격적인 기본기를 다듬을 필요가 있다. 좋은 투수가 있는 팀은 승리를 할 수 있지만, 우승을 하기 위해서는 좋은 포수가 필연적으로 존재해야 하고 좋은 포수가 있는 팀은 좋은 투수를 만들어낼 수 있다.
흔히들 포수는 다른 포지션에 비해 부상의 빈도가 높은 포지션이라 하지만, 필자는 그러한 견해에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오랜 시간 동안 지도자 생활을 하면서 목격하고 느낀 점은 야구선수의 부상은 잘못된 자세서 기인하는 것이지 포지션이나 훈련의 과도함과는 거의 상관이 없었다는 것이다.
어릴수록 기본자세에 신경
과도·과격한 훈련은 피해야
일반적으로 앉고 일어서는 반복동작이 많은 포수들에게는 무릎과 고관절 부위에 부상 빈도가 높다고 하지만 투수를 비롯한 야수들의 무릎 부상 빈도가 훨씬 더 많았다는 것이 필자가 목격한 바다.
그러나 유소년들처럼 성장기에 접어드는 선수들에게는 또한 과도한 훈련량과 과격한 훈련의 정도를 피해야 한다고 말해주고 싶다. 성장기의 어린 선수들에게 과도한 훈련량은 부상을 발생케 하는 주요 원인이고 과격한 훈련의 정도는 야구의 재미보다는 야구에 대한 공포심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포수들의 블로킹 훈련에 이어 이번 호에선 주자가 1루나 2루에 나가 있는 상황서 도루하는 주자를 잡거나 루상의 주자를 견제해야 하는 포수의 송구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루상에 상대 팀의 주자가 있을 때 우리나라 포수들이 가장 잘못 알고 있는 포수의 기본자세가 엉덩이를 올린 채 포구의 동작에 임한다는 것이다.
이는 주자가 도루를 시도하거나 리드의 폭이 길 때 조금이라도 투수의 공을 포구한 다음 더 빠르게 송구를 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자세는 오히려 송구 동작과 시간을 늦추게 한다.
무게 중심 낮추고
투수의 공을 포구
포구 때 엉덩이를 올린 채로 있으면 포수의 무릎과 허벅지 등 하체에 힘이 들어가게 돼있고, 이는 간발의 순발력을 요구하는 송구의 동작에서 오히려 시간을 순간적으로 멈추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상에 주자가 있을 때에도 포수는 엉덩이를 내린 채 무게의 중심을 낮춘 상태서 투수의 공을 포구할 줄 알아야 한다.
이때 앉아 있는 양 발의 각도는 약 15도 정도로 유지해야 포구 다음의 송구를 이어가기가 좋다.
포구 다음의 송구동작에선 첫 번째, 디딤발을 송구하는 방향으로 발의 안쪽을 완전히 평행이 되도록 열어두는 것이다. 대개의 포수들은 우투의 선수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디딤발은 곧 선수의 오른 발이 될 것이다.
두 번째, 송구를 위해 자세를 높이고 일어날 때 허리와 몸통을 수직으로 펴줘야 한다. 어떤 포수들은 좀 더 빠른 송구를 위해 일어나면서 허리를 숙인 채로 공을 던진다. 이는 내야수들이 땅볼 타구를 처리할 때는 나올 수 있는 동작이지만 포수가 송구를 할 때는 피해야 할 자세다.
어깨와 팔꿈치 수평
팔꿈치의 각은 90도
내야수들은 수비 시에 앞으로 전진 대시하거나 옆으로 스탭을 밟으며 이동하면서 공을 잡아 송구를 하기 때문에 송구 이전에 충분히 하체와 골반을 돌릴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서 송구를 하지만, 포수는 앉아 있던 자세서 위로 일어나며 송구를 해야 하기 때문에 허리와 몸통을 수직으로 펴주지 않은 채로 송구하면 올바른 방향으로 던지기가 쉽지 않고 공에 자신의 힘을 다 싣지 못한다. 때문에 폭투가 나올 확률이 크다.
세 번째, 송구 시 미트를 착용한 팔의 어깨와 팔꿈치 각도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포수들은 거의 전부가 우투의 선수들이기 때문에 미트를 착용한 팔은 왼팔이 될 것이다. 송구 직전 어깨와 팔꿈치는 수평을 이루고 팔꿈치의 각은 90도를 유지하며 공을 던지고자 하는 방향을 향해야 한다.(사진6) 그래야만 던지고자 하는 방향으로의 정확한 송구가 가능하다.
폭투 방지는?
초등학교와 유소년 팀들의 지도자와 선수들은 경기 중의 상황서조차 송구의 성공 유무와 관계없이 이러한 기본자세에 더욱 신경을 써가며 야구를 익히도록 해야 한다. 다음회에선 ‘포수의 포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