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이창근 기자 = 전라남도 광주시에 위치한 송원대학교의 최수태 총장은 경상남도 진주 출신이다. 1979년 행정고시를 통해 공무원으로 첫 발을 디딘 후 노무현정부 때 청와대 교육문화 비서관을 거쳐 교육과학기술부 인재정책실장, 교원소청심사위원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36년간 교육계에 몸담은 교육통이다. 그가 고향을 떠나 광주로 주소를 옮긴 지 5년 만에 작은 결실을 맺게 됐다. 2011년 송원전문대학이 4년제 송원대학교로 승격한 이후 첫 졸업생을 배출하게 된 것이다.
송원대학교에는 다른 대학에는 없는 필수과목이 하나 있다. 1주일에 2시간씩 진행되는 ‘자조론’이다. 강사는 이 대학의 수장인 최수태 총장. 송원대에 입학하는 모든 신입생은 최수태 총장과 대면 수업을 받아야 한다. 종합대학 승격 이후 4년째 이어오고 있는 자조론에 대한 반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대학생들에게는 “나를 다시 세우는 계기가 됐다”는 반응이 나오는가 하면 학부모로부터도 “내 아들, 딸이 뭔가 달라지는 것 같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0시간 직강
‘자조론’은 한마디로 ‘어려운 환경과 고난에 대한 격렬한 저항의식’으로 표현된다. ‘삶에 대한 강력한 열정’이 바로 자조론 과목이 학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인 것이다.
철학박사인 최 총장이 맹자나 공자 같은 동양철학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으로 출발하는 서양철학이 아닌 ‘자조론’이란 생소한 과목을 들고 나온 나름의 배경이 있다. 바로 신입생들이 알게 모르게 빠져있는 피해의식이나 절망감, 자기애 결핍 같은 패배의식 따위를 어떻게든 떨궈내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서울의 명문대가 아닌 지방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지난 시간에 대한 후회가 있어요. ‘공부를 좀 더 했더라면…’ 하는 후회요. 이것을 방치하면 신생대학교 나와 봐야 사회가 인정해 주지도 않을 것이란 패배의식으로 이어집니다. 저는 그런 패배의식을 깨트리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최 총장이 꺼내든 자조론은 사실 체계적으로 구축된 학문이 아니다. 그렇다고 아무 바탕이 없는 황무지는 아니다. 19세기 영국 출신의 정치가이자 사회개량학자인 새무엘 스마일스(Samuel Smiles)가 저술한 ‘자조론(自助論 1859)’이 기초가 되고 있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명언으로 유명한 이 책은 세계 각국어로 번역될 정도로 큰 반향을 끼친 바 있다.
이것을 최 총장이 오늘날에 맞춘 재해석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주요 수업내용은 역경을 딛고 일어난 각 분야의 위인들에 대한 이야기다. 최악의 환경과 고난 속에서도 인류에 의미 있는 족적을 남긴 정치가, 예술가, 의사 등 여러 위인들의 이야기를 각종 동영상과 참고서적, 학생들과의 토론 등을 통해 뜨거운 열정 에너지를 내재화하는 방식이다.
“수업 중에 왈칵 눈물 쏟는 학생이 많아요. 가슴 속에서 뜨거운 것이 올라온 거죠. 그리곤 조금씩 삶에 대한 태도가 달라져요. 모든 것이 환경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 노력의 문제라는 것을 깨달으면 확 달라지거든요. 청춘들의 변화가 제겐 큰 감동이자, 보람입니다.”
자조론 수업이 학생들에게 크게 어필되는 이유 중 하나는 강사인 최 총장 스스로가 자조론의 실천자이자 산 증인인 탓이 크다. 최 총장이 일곱 살에 어머니를 여의고, 스무 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찢어지게 가난한 6남매의 막내로 자라면서 맞게 된 고난을 이겨낸 원천에는 언제나 ‘스스로를 포기하지 않는 정신’이 있었다. 그 사실적 증언이 청강생들에게 더 큰 울림으로 다가간 것이다.
종합대학 승격 후 첫 졸업생 배출
“청춘들 변화가 큰 감동이자 보람”
“저도 어려운 환경에서 자랐죠. 대학도 방송통신대 졸업했어요. 가난 속에서 오로지 나 자신에 대한 희망을 붙들고 살았죠. 행정고시 합격 이후 초고속으로 1급 공무원이 되기까지 저라고 남모를 고통과 눈물이 없었겠어요. 스스로를 도와야 한다는 마음가짐이 오늘날 후학을 양성하는 종합대학의 수장이 되게 한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맞닥뜨릴 모든 역경들을 이겨낼 수 있도록 힘을 키워주자는 목표로 시작한 자조론의 파급효과는 크다. ‘지방대학생’이라는 패배의식에 사로잡힌 대학생 대신 ‘인생은 스스로 개척하는 것’이란 각오로 무장한 ‘자조대학생’들이 캠퍼스를 채운 것이다.
매년 800명씩, 4년간 32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자조론의 파급효과는 강사인 최 총장까지 변화시켰다. 체면과 허식을 벗고 학생들 속으로 파고 든 것이다. 대학축제 때도 축사만 하고 관람하는 짓(?)을 못했다. 팔씨름 대회에 참가해서 본선에 진출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물론 프로골퍼 출신 체대학장 박장진 교수(47세)는 “학생들이 져 준 겁니다”라고 표현하지만 아직도 최 총장은 “정정당당히 겨뤄 이긴 승리”라는 소신을 굽히지 않고 있다. 교수와 총장이 시시때때로 티격태격하면서 만들어낸 장면은 송원대 학생들이 기억하는 추억이다.
최 총장은 요즘 신축 중인 실내체육관과 기숙사 공사에 부쩍 신경을 쓰고 있다.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드는 일이 자신에게 부여된 또 다른 책무라고 생각에서다. 30여명의 교수진을 추가로 채용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교수가 진로상담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4년제 승격 이후 첫 번째로 배출되는 졸업생의 취업 부분. 교수 1인당 10명의 대학생을 묶어 진로상담을 전담케 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학생들 먹이는 자장면 값 때문에 교수들 지갑이 얇아지고 있다”는 부작용을 빼면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호응이 크다.
지역사회와 유수기업에게 보내는 메시지도 분명하다. 어떤 역경에도 굴복하지 않는 정신을 가진 학생들로 키웠으니 많이 채용해 달라는 것.
“아따, 우리 학생들 좀 잘 부탁합니다. 나가 보장한당께요∼”
진주에서 자란 광주사람의 찰진 당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