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김명일 기자 = 정치적 고비 때마다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운동권 출신 소수 강경파들에 휘둘리는 모양새다. 그들은 상대적으로 당내에서 소수지만 당론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토론을 주도하고 있다. 일부 강경파들이 분위기를 이끌면 다수의 온건파들은 다른 생각이 있더라도 침묵하는 게 현재 새정치연합의 분위기라는 것이다.
‘재력가 청부살해’ 김형식 서울시의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한명숙 전 총리, ‘김정은 존경’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허영일 전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 부대변인의 공통점은 모두 운동권 출신 인사라는 점이다.
극도의 폐쇄성
야권의 특성상 당내에 운동권 출신 인사들이 많을 수밖에 없지만 어느새 이들은 당내에서 그들만의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한 관계자는 “이른바 운동권 출신들은 자기들끼리 동지라는 호칭을 쓰는 등 공공연히 ‘운동권 언어’를 쓴다. 이런 운동권 문화에 전문가 출신 정치인들은 섞이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운동권 출신 강경파들이 새정치연합 내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그들은 상대적으로 소수지만 이른바 전투력과 조직력이 남다르다. 당론을 정하는 과정에서 일부 강경파가 분위기를 이끌면 다른 생각이 있더라도 침묵하는 게 현재 당내의 분위기라는 것이다. 때문에 운동권 출신 강경파들의 의견이 곧 당론이 되고 다수의견이 되는 구조다.
당내 운동권 강경파들의 투쟁은 어느새 선명성 강화라는 이름으로 포장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타협의 정치는 실종되고 있다. 19대 국회 들어 국회선진화법까지 시행되면서 여야 대치-야권의 법안처리 비협조-국회파행의 악순환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
실제로 새정치연합은 그동안 중요한 고비 때마다 강경파에 의해 휘둘리곤 했다. 창당 초기인 작년 4월에는 합당의 명분이었던 ‘기초선거 무공천’이 당내 강경파에 의해 철회되면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의 리더십이 크게 흔들렸고, 작년 8월에는 세월호특별법 제정에 대해 강경파가 목소리를 높이면서 당은 큰 혼란을 겪었다.
당시 박영선 비대위원장은 강경파들의 강력한 항의에 새누리당과의 세월호특별법 합의안을 파기해야했고, 재합의안마저 의총에서 추인 받지 못하면서 비대위원장직에서 사퇴했다. 세월호법 합의 파기와 관련해서는 새정치연합 운동권 출신 비례대표들이 장외세력과 연계해 당시 합의 파기를 주도했다는 주장이 나왔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당 내부에서도 수권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운동권적 마인드인 분노의 정치를 버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새정치연합의 정책연구소인 민주정책연구원 이진복 연구위원은 새정치연합이 양극화의 정치를 넘어 조용한 다수를 대변하는 정당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수 강경파가 당론 주도 '좌클릭'
"선악의 이분법적 사고 벗어나야"
언제까지 민주 대 반민주의 도덕적 우월감에 사로잡혀 안이한 대응을 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었다. 이 연구위원은 시끄러운 소수의 그릇된 좌우 편향을 거부하고 조용한 다수의 꿈을 대변하는 정당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선명성 강화란 선악의 이분법적 사고에 입각한 진영논리라며 운동권 출신 인사들이 부르짖고 있는 선명성 강화 노선을 정면으로 비판해 화제가 됐다.
운동권 인사들이 내 편 아니면 적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지 못해 당내 화합을 해친다는 지적도 나온다. 새정치연합의 한 관계자는 모든 운동권 출신 인사들이 그런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전제하면서도 “운동권 출신끼리는 운동권 언어를 쓴다. 운동권 출신이 아닌 인사들은 소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특히 이들은 같은 운동권 출신이라도 4년제 대학을 다니면서 학생회 활동을 한 사람이 아니면 진짜 운동권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러니 당 내 화합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고 꼬집었다.
또 이 인사는 “당내에서 중도진영을 겨냥해 많은 인재들을 영입하려고 노력하는데 영입한 인사들이 조금이라도 새누리당의 입장과 비슷한 의견을 내놓으면 당장 불호령이 떨어진다”며 “새누리당은 협상 파트너가 아니라 우리가 물리쳐야 할 적 정도로 생각하니 제대로 된 협상이 될 리가 없고, 중도층을 겨냥한 정책이 나오기도 힘들다”고 지적했다.
새정치연합 박지원 의원도 당내 강경파들의 폐쇄성에 대해 “새누리당은 100가지가 달라도 한 가지가 같으면 같은 편이라고 생각하는데 우리 당은 100가지가 같아도 한 가지가 다르면 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국내 유권자들의 성향은 점점 중도화되고 있는데 새정치연합이 운동권 출신 강경파들에 휘둘려 발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새누리당은 극우 이미지에서 벗어나 새정치연합의 영역까지 넘보며 중도전략을 펴고 있는 반면 새정치연합은 선명성만 강조하며 좌클릭 행보만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정치전문가들은 새정치연합이 적극 지지층만 신경쓰다 중도층을 공략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한다면 앞으로의 선거에서 백전백패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한다. 이미 올초 천호선 당시 정의당 대표는 “정의당은 과거 운동권 이념을 완전히 털어버린 정당”이라며 운동권 꼬리표 떼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했다.
이른바 운동권 문화가 내부 패권에만 몰두하고 학생운동권 출신들이 당을 주도하면서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주변의 지적 때문이었다.
천호선 당시 대표는 정의당이 현대화된 정당을 추구하고 있다고도 했다. 정의당은 이때부터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정의당이 운동권 정당에서 탈피했다고 강조해 왔다. 진보정당인 정의당조차 운동권 꼬리표 떼기에 몰두하고 있는 지금 새정치연합은 운동권이라는 사실에 도덕적 우월감을 느끼며 변화를 거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발 늦은 대응
이에 대해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독재에 저항했던 운동권 출신이라는 점이 자랑스러운 훈장이라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이제는 시대가 변했다”며 “아직도 박근혜정권이 독재정권인 것처럼 정부 여당과 죽기 아니면 살기로 싸우려는 태도는 일반 국민들의 정서상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새정치연합은 여전히 정권 심판만을 외칠 뿐 제대로 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여러 번 선거에서 참패하면서 운동권 방식의 이분법적 대결 구도로는 더 이상 선거에서 이길 수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제는 운동권적 시각에서 벗어나 대안 찾기에 몰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