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전시기획자, 설치미술가, 미술평론가, 대학교수…. 예술가 성원선을 소개하는 명사들이다. 그러나 성원선은 자신을 정의하는 다양한 이력보다는 '성원선'이란 자신의 이름이 가장 마음에 든다고 했다. 독일 생활 중 '하나의(One) 태양(Sun)'으로 불리기를 바랐다는 성원선. 태양처럼 눈부신 그녀의 아이디어는 오늘도 예술이 드리우지 않는 어두운 곳을 비추고 있다.
다양한 예술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성원선. 서울 한 커피숍에서 미팅 중 만난 성원선은 '창조'란 화두로 운을 떼었다. 박근혜정부의 슬로건 중 하나인 '창조경제'가 꽃을 피우려면 예술가들의 공공부문 진입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곁들였다. 올해로 귀국 10년째를 맞은 성원선. 그녀가 바라보는 한국 미술계는 어떤 모습일까.
대가 지불해야
"독일에서 공부를 12년 정도 했어요. 그리고 2003년 2월께 한국에 왔으니까 마침 꼭 10년째네요. 제가 유학을 떠나기 전의 한국과 귀국 직후의 한국, 지금의 한국은 굉장히 많이 달라요. 미술계만 해도 그림을 접하는 방식이 놀라울 정도로 다분화됐죠. 이제는 그림을 보기 위해 반드시 갤러리에 가지 않아도 돼요. 백화점은 물론이고, 대형마트나 더러는 재래시장에서도 그림을 볼 수 있죠. 또 공장이 밀집한 산업단지 안에 갤러리가 있는 경우도 있어요. 관객과 작품이 교류되는 공간 혹은 저변이 넓어진 건데요. 그런데 미술계가 생산하는 콘텐츠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어요. 이건 미술인들이 게으르다는 소리가 아니라 작가와 대중 사이의 갭, 작품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이 그대로라는 겁니다."
성원선의 말처럼 사회 전반적으로 미술을 소비하는 행위가 늘면서 수요도 비례하여 증가했다. 수요의 증가는 당연히 생산자인 예술가에게도 좋은 일이다. 그럼에도 많은 예술가의 삶은 나아지지 않았다. 왜일까.
"이 커피숍에도 멋진 그림이 있죠. 이렇게 그림이 많은데 왜 예술가가 어렵냐. 우리가 거리에서 노래하는 사람들을 봤습니다. 그러다가 공연이 좋으면 1000원이든 갖고 있던 빵이든 줍니다. 일종의 페이먼트거든요. 그런데 미술은 감상의 대가로 무엇인가 지불하는 게 인색해요. 전 지금 갤러리의 입장료를 말하는 게 아니고요. 어떤 문화적 기본권 차원에서 작품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할 필요가 있다, 이미 생활 전반에 들어와 있는 예술에 대해 국가가 페이먼트를 지불하면 어떨까 하는 거죠."
"예술가 지원 사회적 합의해야"
적정기술 기반 융합예술 꿈꿔
성원선은 독일 유학생활 중 자신이 겪은 에피소드를 소개하면서 국가의 지원은 어떤 방식으로든 가능하다고 말했다. 가령 그녀는 자신의 석사연구를 위해 "이탈리아에 있는 '최후의 만찬'을 보러가야 한다"며 대학교(독일은 국립)에 지원을 요청했다. 그러자 대학교는 타당성을 검토한 후 그녀에게 이탈리아까지 가는 교통비를 지급했다.
또 성원선은 자본이 많이 드는 자신의 전시(당시 집채만한 건물을 하나 세웠다고 한다)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국가기관의 보증으로 은행이나 후원단체 등에서 펀딩을 받을 수 있었다. 성원선은 "독일인도 아니고 심지어 동양인에게 이런 프로젝트를 내어주는 것만 봐도 예술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어떻게 다른 지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헤이리'라고 아실 겁니다. 거긴 갤러리가 개인 소유고, 도로 역시 사유지죠. 그곳의 몇몇 갤러리에서 전시를 기획한 적이 있었는데요. 관객 1명당 문화기금을 1000원씩 받잖아요. 그런데 가족단위 관람객 5명이 오시더니 5000원을 내야 하니까 그냥 가는 거예요. '이런 전시에 5000원을 낼 수 있느냐 없느냐'하는 판단의 문제죠. 저는 미술교육이 이 지점에서 중요하다고 봐요. 책처럼 물리적인 점유가 되지 않아도 보고 있는 대상 속에 예술성이 있다면 문화적 가치가 있는 거죠. 공공미술이나 공공디자인 등 관객이 직접 참여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는 이런 일상 속에 있는 예술을 깨닫게 하는 데 중요합니다."
관객 참여가 관건
현재 성원선은 '융합예술'이란 새로운 형태의 예술모델을 그리고 있다. 그녀는 오랜 유학생활 동안 안주하지 않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늘 새로운 실험을 마다하지 않았다. 전시장은 물론 다리 위나 숲속에도 그의 작품이 놓였고, 때로는 퍼포먼스로 때로는 전시기획을 통해 관객과 만났다. 오는 21일 프랑스에서 열릴 '24인의 미디어아트 전시'를 기획한 그는 올 상반기에 다시 작가로 복귀할 계획이다.
"예술가는 돈을 벌기 위해 작업을 하는 건 아니에요. 그럼 너무 불행하죠. 그렇다면 무엇을 위해야 할까. 여기서 착안한 게 바로 '적정기술'입니다. 그 사회에 필요하면서도 누구나 점유 가능한 적정기술을 바탕으로 예술이 가진 창조성을 융합하면 어떨까. 그 결과물이 미디어 아트가 될지 또는 조소가 될지 그것은 모릅니다. 다만 이제는 나만의 예술이 아닌 우리를 위한 예술이 필요한 때인 것 같아요."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성원선은?]
▲홍익대 미술대학교 졸업
▲독일 마부륵필립스대학교 미술사 수학
▲독일 카셀미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졸업(M.A)
▲개인전 Rot(99, Stellwerk, 독일), A Silhoutte of mind(08, Vooks, 한국) 등
▲단체전 화음(08, 예술의전당) 이천도자비엔날레 초대전(09, 설봉공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