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뒤흔드는 '친노 프레임' 실체 해부

2014.02.10 11:12:42 호수 0호

"아따! 우린 친노 아니랑께요!"

[일요시사=정치팀] 민주당이 친노(친노무현) 프레임에 갇혀 허우적거리고 있다. 당내 의견 대립은 곧장 계파싸움으로 해석되며 당 지지율을 갉아먹었다. 당내 일부 인사의 일탈도 모두 친노에게 책임이 전가되고 있다. 애매한 친노의 경계 탓이다. 친노 프레임에 실체는 있는 것일까? <일요시사>가 민주당을 뒤흔드는 친노 프레임의 실체를 해부해봤다.






친노(친노무현)는 민주당 내 최대 계파로 분류된다. 민주당 127명의 의원 가운데 범친노로 분류되는 의원만 70여명에 달한다는 분석도 있다. 지난 대선패배 이후 친노는 한때 폐족 위기까지 몰렸었지만 지난해 화려한 부활에 성공했다. 친노는 연일 각종 언론의 메인을 장식하며 이슈의 중심에 섰다.

하지만 친노에 대한 세간의 시선이 고운 것만은 아니다. 상당수 언론은 친노를 민주당 지도부를 흔드는 세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때문에 당내 잡음은 곧잘 당내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친노와 비노 진영 간의 계파싸움으로 해석됐다.


친노 부활
곱지 않은 평가


이는 언론을 통해 '민생을 외면하고 계파싸움에만 열중하는 민주당'이라는 프레임으로 확대 재생산되며 민주당의 지지율을 갉아먹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신년기자회견에서 "내부에 잔존하는 분파주의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운 이유다.

그러나 친노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은 억울함을 토로한다. 친노계 모 의원실의 관계자는 "당내에서 의원들 간 이견이 있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그런데 친노 프레임에 엮이면서 당연한 의견대립조차 계파싸움으로 해석되고 있다. 최선의 선택을 위한 '의견대립'과 계파 이익만을 위한 '계파싸움'은 확연한 차이가 있고 어감부터 다르다"며 "친노 프레임에 엮이면서 우리는 의견교환조차 제대로 할 수 없게 됐다"고 하소연 했다.



민주당, 친노 프레임 발목 잡혀 '허우적'
이미지 나빠진 친노, 친노 분류에 '불쾌'


그는 또 "한때는 친노라는 배지가 정치활동에 도움이 됐지만 언론들이 하도 '친노가 자기정치를 한다' '당 지도부 발목을 잡는다'고 비판적인 기사를 쏟아내니 이제는 오히려 족쇄로 작용하고 있는 느낌도 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특히 친노의 수장으로 지목받고 있는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친노 프레임에 갇혀 옴짝달싹 못할 정도다. 문 의원이 공식행보를 할 때마다 언론들은 친노의 부활 또는 본격적인 세 결집이라며 크게 의미를 부여하고 나섰다. 하지만 그간 문 의원의 행보는 국회의원으로서 특별할 것도 없는 것들이었다.

문 의원이 지난해 12월 개최한 대선회고록 북 콘서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출판기념회는 상당수 의원들이 보편적으로 하는 일인데 문 의원의 북 콘서트에 대해 당시 언론들은 친노의 세 결집이라고 대서특필하며 호들갑을 떨었다. 


친노 세 결집?
평범한 활동?


문 의원은 지난달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의 단독회동에서 이같은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문 의원은 이날 "계파해체 선언이라도 하고 싶은 심정이지만 실제로 계파라고 할 만한 모임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어서 곤혹스럽다"며 친노 프레임에 대한 억울함을 털어놨다. 문 의원은 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는 친노의 존재를 '새누리당이나 언론이 만든 프레임'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사실 민주당 대다수 의원들의 공식적인 입장은 "민주당 내에는 친노도 없고 비노도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자신을 친노라고 당당히 밝히는 의원은 찾아보기 힘들다. 자신이 스스로를 친노로 규정할 이유와 필요성도 없는데다 스스로 친노라는 사실을 부각시키고 나서는 것은 자칫 당내 계파싸움을 부추기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 친노라는 사실이 부각될 경우 해당 의원의 모든 행보가 계파싸움 성격으로 비춰질 우려도 있다. 게다가 친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이어지면서 일부 친노로 분류되는 의원들은 언론사들이 자신을 친노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불쾌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처럼 친노의 분류는 매우 모호하다. 그야말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이다. 친노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도대체 친노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가? 그저 언론의 입맛에 맞게 재단되는 것이 아닌가"라며 모 의원을 예로 들기도 했다. 그는 모 의원의 이력을 설명하며 "도대체 이 인사를 왜 친노로 분류하느냐?"며 기자에게 되묻기도 했다.

또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일부 언론에서는 모 인사가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캠프에서 어떤 직책을 맡았다는 이유로 친노 인사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그렇게 따지면 민주당 내에서 친노가 아닌 사람이 어디 있나? 손학규, 정동영 고문도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캠프 고문을 맡았다. 그들도 친노로 분류할 것인가?"라며 억울한 심정을 내비쳤다.


대표적인 사례가 민주당 장하나 의원과 양승조 의원 사건이다. 장 의원은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해 대선 불복을 선언하며 박근혜 대통령의 사퇴를 촉구해 문제가 됐고, 양 의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암살을 거론하며 박 대통령도 '선친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새누리당은 즉각 두 사람의 발언과 관련해 문재인 의원을 배후 조종자로 지목하며 의견 표명을 요구했다. 다소 뜬금없는 주장이었다. 장 의원은 문재인 대선캠프에서 활동하긴 했지만 청년비례대표 경선에서 당선돼 국회에 입성한 인사로 친노라고 보기엔 다소 애매하다.

심지어 양 의원은 손학규계로 더 잘 알려진 인사다. 친노의 경계가 애매하다는 점을 악용해 민주당 내 잡음이 일 때 마다 책임을 친노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으로서는 친노를 집중 공략함으로써 민주당을 자중지란에 빠트리고, 유력한 야권의 차기 대권주자인 문 의원까지도 공략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인 셈이다. 이를 위해 실체도 없는 친노 프레임으로 새누리당과 보수 언론이 민주당을 옭아매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친노 프레임의 실체가 없다는 주장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문(재인) 의원은 친노라는 프레임이 새누리당이나 언론이 만든 프레임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문 의원을 중심으로 친노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당 지도부와 지속적으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 않나? 이것이 모두 우연이란 말인가?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이라며 "민주당 내 친노는 분명히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인사도 "김한길 대표가 직접 친노를 겨냥해 분파주의 극복을 언급한 것이 아니냐"며 "친노의 실체가 없다면 김 대표는 있지도 않은 허깨비와 싸우고 있는 것인가? 누가 봐도 친노세력이 당 지도부를 흔들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본인들만 아니라고 하니 뻔뻔해 보인다"고 말했다.


친노 실체는?
치열한 공방


실제로 친노와 비노 간 갈등은 지난 총선 당시부터 벌써 2년째 지속되고 있다. 그동안 계파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있었지만 좀처럼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오죽하면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이중권력 상태라는 지적까지 나왔다. 게다가 친노와 비노 간의 갈등을 언급한 것은 새누리당과 언론뿐만이 아니다. 민주당 스스로도 그동안 수차례 친노와 비노 간 갈등을 언급해왔다. 




지난해 1월 당시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여기 친노 아닌 사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안 팔고 국회의원 된 사람이 있는가"라며 당내 만연한 계파갈등에 대해 일갈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해묵은 계파갈등은 전혀 사그러들지 않았다.


올해 1월에도 김한길 대표는 신년기자회견에서 "내부에 잔존하는 분파주의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민주당내 계파갈등이 심각한 상태임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다.


애매한 친노 경계, 나쁜 것은 모두 '친노'
"친노 실체 없다고?" 반론도 만만치 않아


또 지난해 12월 비노계로 분류되는 민주당 조경태 최고위원이 문 의원을 비판하자 친노계로 분류되는 정청래, 최민희, 김경협 의원이 즉각 SNS를 통해 원색적인 비난을 하고 나선 것도 친노의 실체를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당시 정 의원은 "당신(조 최고위원을 지칭)은 비겁하고 야비한 정신적 새누리당원", 최 의원은 "이기적인 자기정치, 지역감정에 기댄 볼모정치 역겹다", 김 의원은 "민주당 내 새누리 X맨은 곧 탈당 후 자기 당 찾아갈 것"이라고 조 최고위원을 비난했다.

이에 대해 한 야권인사는 "친노의 실체가 없다면 하필 친노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일사분란하고 일관되게 문 의원을 옹호하며 조 최고위원을 공격하고 나선 것은 단지 우연이란 말인가?"라며 "이들의 행태는 마치 박근혜 대통령의 심기경호를 하고 나서는 친박계 의원들을 연상시킨다"고 꼬집었다.


친노 프레임
실보단 득?


그는 또 "친노 프레임 때문에 본인들이 손해를 보고 있다고 하는데 친노 프레임은 여전히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강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소재로 한 영화 <변호인>이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에 성공하자 친노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SNS 등으로 이 사실을 적극 퍼 나르며 홍보하기도 했다"며 "자신에게 유리하다고 생각될 때는 친노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다가 불리하면 친노 프레임은 새누리당과 언론이 만들어 낸 것이라고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한 정치전문가는 "민주당 내 친노가 없다? 스스로 친노라고 인정하는 의원들도 다수다. 어느 정도 실체는 있다고 본다"면서 "다만 친노의 활동이 모두 당내 주도권을 잡기 위한 행동이라고 폄하하는 것과 또 민주당 내 문제인사들을 모두 친노와 연결시키려는 새누리당과 언론의 태도는 분명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명일 기자 <mi737@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