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지난 100일은 한마디로 ‘혼용무도’, 어리석은 군주가 세상을 어지럽게 만든 시간이었다고 비판했다. 송 원내대표는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반성보다는,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을 각각 16번, 12번씩 언급하며 정부·여당의 행태를 비판하는 데 집중했다.
특히 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특별재판부에 대해선 헌법적 근거도 없는 명백한 위헌이라며 그럴 바엔 민주라는 위선의 탈을 벗어던지고 ‘나홀로독재당’으로 당명을 바꾸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도 협치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검찰청 폐지 등 정부조직법 개정을 논의하기 위해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여야 공영방송 법제화 특위를 구성해 방송 3법을 원점에서 논의를 다시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전날 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노상원 수첩이 현실로 성공했더라면 이재명 대통령도, 저 정청래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연설하는 대목에서 송 원내대표는 “제발 그렇게 했으면 좋았을 걸”이라고 말하는 게 영상 카메라에 포착됐다.
민주당은 정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 중 송 원내대표가 이재명 대통령과 정 대표를 향해 끔찍한 발언을 했다며 의원직 사퇴를 강력하게 촉구했다. 정 대표가 ‘노상원 수첩’을 언급하며 ‘그렇게 됐으면’ 발언에 대해 민주당은 ‘내란 세력’으로 규정하고 국회 윤리위원회 제소, 의원 제명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사건의 시작은 정 대표가 전날 연설에서 노상원 수첩이 현실화됐다면 이 대통령과 자신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한 데 대해 국민의힘 의석 쪽에서 “제발 그렇게 됐으면 좋았을 걸”이라는 발언이 나오면서 시작됐다.
민주당은 송 원내대표의 발언을 ‘역대급 망언’으로 규정하고,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막말의 주범이 다름 아닌 송원석 원내대표였다”며 “제22대 정기국회 시작과 국민께 집권당 비전과 공약을 표명하는 자리에서 차마 입에 담기조차 어려운 끔찍한 막말을 한 송 원내대표는 제정신인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윤리위 제소 및 의원직 제명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비판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징계 절차를 통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정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연설 일부분을 편집한 영상을 공개하며 발언 당사자를 찾고 자수를 촉구했다.
이후 민주당은 유튜브 기반 매체 ‘미디어몽구’에 포착된 영상을 통해 해당 발언의 당사자가 송 원내대표임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송 원내대표의 발언에 경악을 금치 못하겠다. 앞으로는 협치를 얘기하면서 뒤로는 내란 세력의 충실한 구성원임을 입증한 국민의힘은 국민이 두렵지 않은가”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민주당은 증거 확보와 공개를 통해 사건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박 수석대변인은 이번 발언 여파로 여야 간 모든 대화를 재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송 원내대표에게 달려 있다”며 그의 명백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이번 사건이 단순히 한 개인의 일탈이 아닌, 여야 관계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대통령의 협치 의지 표명 이후 불과 이틀 만에 발생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향후 정치적 갈등 심화 및 협치 노력의 난항이 예상된다.
사건의 향방은 송 원내대표의 대응에 달려 있다. 민주당은 그의 사퇴와 사과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그의 입장에 따라 여야 관계의 향후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어쨌든 송 원내대표의 명확한 입장이 선행돼야 한다. 국민의힘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 그리고 이 사건이 국회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렇듯 송 원내대표의 망언 논란으로 정치권은 격렬하게 반응하고 있다. 민주당은 즉각적인 사퇴와 강력한 징계를 요구하며, 여야 관계의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송 원내대표의 대응에 따라 향후 정국의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은 협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정치적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hntn118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