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최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친윤(친 윤석열)계 핵심 인사로 꼽히는 윤상현 의원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추가 임명한 데 대해 27일, 조경태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이 “즉각 철회하지 않으면 나는 이 시간부로 선거 운동을 중단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친한(친 한동훈)계 좌장으로 불리는 조 공동선대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윤 의원을 공동선대위원장에 앉힌 것은) 파면된 윤 전 대통령을 임명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선거 포기를 선언한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왜 하필 선거 막바지에 이런 무리수를 두는지 그 의도가 참으로 궁금하다”며 “이는 당원들과 국민의힘을 배신하는 것이고 선거운동을 하지 말자는 것으로 간주한다”며 엄포를 놨다.
이날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전략본부장은 “오죽하면 국민의힘 의원조차 반발해서 선거운동 중단을 선언했겠느냐”며 “(윤 전 대통령) 탈당은 위장 탈당이고, 지금도 김 후보 뒤에 건재하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반응은 전날 김 후보가 배현진 의원, 박정훈 의원 등 친한계 인사들을 선대위에 합류시키면서 친윤계인 윤 의원도 함께 임명한 데 대한 것이다.
국민의힘 선대위는 이날 “김 후보는 화합과 통합에 중점을 두고 추가 인선을 진행했다”며 “이번 인선을 통해 통합의 외연을 한층 더 넓히고 선대위의 역량을 총결집해 정정당당한 선거전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가에선 이번 인선이 한동훈 전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 의원들이 ‘친윤 구태정치 청산’ 등을 외친 것과 상반돼, 오히려 통합을 저해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또한 윤 의원은 지난해 12월 국회 본회의서 “대통령 비상계엄은 고도의 통치 행위”라고 발언하는 등 탄핵 반대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국민의힘이 아직 윤 전 대통령의 그늘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역시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후보가 윤 의원을 선대위에 임선한 것은 친윤계를 포함한 강성 보수 지지층의 표심을 끌어들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강성 지지층을 끌어모으기 위한 김 후보의 무리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5일, 보수층 결집을 위한 ‘박정희 투어’ 유세 중 김 후보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뜻하지 않게 흉탄에 가셨고, 따님 박근혜 전 대통령도 대한민국 역사에서 있을 수 없는, 온갖 잘못된 거짓 정보로 덮어 씌워져 대통령직을 박탈당하는 이런 일이 있었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의 명예가 반드시 회복될 것이라고 본다”고 말해 논란을 일은 바 있다.
당시 김 후보의 발언을 두고 정치권에선 보수정치의 상징적 인물인 박근혜 전 대통령의 억울함에 공감하면서 자신이 정통성을 계승한 후보임을 부각하는 전략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다만 김 후보가 12·3 비상계엄 및 탄핵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한 점을 고려하면, 판결까지 끝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부정하는 발언은 스스로의 입장과 배치되는 부적절한 행보라는 게 정가의 대체적 시선이었다.
이와 관련, 황정아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26일 “김 후보는 극단적인 진영 논리를 앞세워 지지층 결집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다음엔 윤석열의 명예 회복이나 사면을 외칠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kj4579@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