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원내 인사인 만큼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박찬대 원내대표와 부딪치지 않는다. 그러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원외 인사여서 추경호 원내대표와 가끔 충돌하기도 한다.
특히 여당 대표는 원내 인사일지라도 대통령이 대표를 견제하기 위해 원내대표와 가까운 경우가 많다. 국민의힘 한 대표가 원외 인사라 윤석열 대통령의 견제나 추 원내대표의 저항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원래 정당 대표는 당내 갈등을 조정하고 선거전략을 수립하며 공천을 통해 당의 이미지를 기획하는 역할을 하는 자다. 그런데 우리 국민은 당 대표를 대선으로 가는 필수코스 정도로 여기고 있다.
실제로 당 대표의 시각도 항상 대선 시계에 맞춰져 있다.
야당이야 정권교체를 위해 당 대표 중심으로 똘똘 뭉치면 되겠으나 여당은 당 대표보다 위상이 높은 대통령의 존재가 있어 당 대표 중심의 운영이 쉽지 않다. 거기다 당 대표가 원외 인사일 경우 그 입지는 더 애매할 수밖에 없다.
지금 국민의힘 한 대표의 입지가 그렇다.
역대 원외 인사였던 당 대표는 이부영, 손학규, 박희태, 김종인, 홍준표, 권영길 등이 있다. 이들 모두 원내 화합에 큰 성과를 내지 못했고, 대통령도 되지 못했다. 현재 원외 인사인 국민의힘 한 대표가 고민해봐야 할 포인트다.
6공화국의 노태우·김영삼·김대중·박근혜·문재인 대통령은 원내 의원으로서 당 대표를 거쳐 대통령이 된 케이스다. 그러나 이명박·노무현 전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은 당 대표를 거치지 않고 대통령이 됐다. 윤 대통령이 노 전 대통령을 좋아하는 비밀이 여기에 있는지 모른다.
국민의힘 한 대표가 당 대표는 경험하지 못했지만 국회의원을 경험했던 이명박·노무현 전 대통령과는 결이 다르다. 국회의원도 당 대표도 거치지 않고 대통령이 된 윤 대통령과 많이 닮았다. 그런데 왜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 사이가 좋지 않을까?
윤 대통령이 얼마 전 대통령실 만찬에 추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원내지도부를 초청했을 때 한 대표를 뺀 표면적인 이유는 한 대표가 원외 인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막을 보면 한 대표가 21대 대통령선거서 부동의 대선후보가 되기 위해 김건희 여사 특검 등 대통령실과 각을 세우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혹시 한 대표가 “여당 대선후보는 대통령과 각을 세워야 대선서 유리하다”는 단순한 정치공학적 원리를 적용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한 대표가 대통령과 각을 세우려면 원내 의원들의 협력이 필요한데 원외 인사여서 쉽지 않다는 게 문제다.
필자는 당 대표가 당 대표로서 본연의 일을 하기보다 당 대표직을 대통령이 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당 대표가 돼 대선후보로서 지지율을 계속 끌고 가려는 모습이 초라하다는 생각이다.
윤 대통령은 국민의힘이 위기에 빠졌을 때 구원투수로 등판해 대선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러나 한 대표는 현재 임기 2년의 여당 대표로서 국정운영을 돕고 당을 관리해야 하는 감독이다. 이 점이 윤 대통령과 다른 점이다.
지난달 국민의힘 한 대표와 민주당 이 대표가 만나 지구당을 부활하자고 합의한 데도, 원내 기반이 약한 한 대표가 원외 기반을 강화해 확실한 대선후보가 되기 위해 더 적극적이었을 것이다.
국민이 뽑은 국회의원이 정당의 정책을 반영해 법도 만들고 나라 살림 감독도 하고, 이들이 뽑은 원내대표가 정당의 대표가 돼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대통령 후보가 되기 위해 당 대표가 된 후 당헌·당규도 바꿔버리는 우리나라 정치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지난 양대 정당의 전당대회서 당 대표 후보는 “대선에 나오지 않겠다”는 공약을 하라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국민의힘 한 대표와 민주당 이 대표는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하지 않았다.
결국 2026년 지방선거서 공천권을 통해 세를 모은 후 2027년 21대 대통령선거서 대선후보가 되겠다는 속내를 보인 것이다.
필자는 이런 부당한 체제라면 원내대표가 당 대표를 맡고 현재 당 대표 체제는 없애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정당이 정당답게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정당이 국정운영 파트너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정권 연장이나 정권교체에만 집중한다면 정당 스스로가 존재 이유를 부정하는 것이고, 우리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다.
전 국민이 뽑은 대통령과 정부가 있는데도 우리나라 양대 정당의 당 대표가 자신들의 대권 욕심을 챙기느라 국민을 반으로 갈라놓고 정부와 각을 세우거나 사사건건 반대만 해선 안 된다.
색깔 있는 정당을 대표하는 당 대표가 대통령이 되면 반쪽 대통령이 될 수밖에 없다. 여당 지지층이나 야당 지지층서 골고루 지지를 받는 대통령이어야 온전한 대통령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근소한 차로 이긴 한 쪽에 치우친 대통령만 나오고 있어 문제다.
당 대표직이 대통령이 되기 위한 발판이 돼선 안 된다. 당 대표는 대선이건 총선이건 룰을 만들고 관리·감독을 해야지 당 대표가 선수로 나가면 안 된다.
지난 대선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치밀한 선거전략으로 구원투수 윤석열 대선후보를 내세워 승리했던 사례를 우리 정치가 잊지 말아야 한다. 만약 한 대표나 이 대표 중 누군가가 대선을 포기하고 당 대표 업무에만 전념한다면 그 정당이 21대 대선서 승리하지 않을까?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