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시인이자 화가’ 김기린

2024.06.19 00:00:00 호수 1484호

시를 그리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갤러리현대가 작가 김기린의 개인전 ‘무언의 영역’을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현대서 열리는 김기린의 세 번째, 작가 작고 이후 첫 개인전이다. 다음 달 14일까지 관람객과 만난다. 



갤러리현대가 준비한 김기린의 개인전 ‘무언의 영역’은 그의 독창성에 주목한 전시다. 단색화의 선구자로 알려진 김기린의 회화를 화면 위에 그려진 시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했다. 

내면세계를

이번 전시에서는 김기린의 단색적인 회화 언어가 구축된 시기인 1970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연작부터 1980년대부터 2021년 작고할 때까지 지속한 ‘안과 밖’ 연작 등 40여점의 작품과 작가가 직접 창작한 시, 아카이빙 자료 등을 한자리에 소개한다. 

평론가 사이먼 몰리는 김기린의 회화를 텍스트 없이 색으로 쓴 시라는 새로운 맥락으로 해석하길 제안했다. 그 배경엔 김기린의 프랑스 생활이 있다. 1961년 김기린의 첫 프랑스행은 생텍쥐페리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였다. 또 프랑스서 보낸 20대 시절에는 랭보와 말라르메의 시를 읽고 집필에 몰두했다. 

김기린은 30대 초반 미술사를 공부하며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1960년대 원고지에 펜으로 꾹꾹 눌러쓴 시는 보일 듯 말 듯 그려진 격자 모양 단색의 캔버스 화면에 점점이 쌓아 올린 물감 덩이와 연결된다. 


김기린은 한국서 철학과 불문학을 전공한 뒤 프랑스서 미술사 공부를 하고 미술을 시작했다. 한국 화단의 화가와는 결이 다른 행보로, 단색화 작가 가운데 유일하게 전통적인 회화 재료인 ‘캔버스에 유채’를 사용해 몰입의 순간을 연출하는 색과 빛의 관계를 평생 탐구했다. 

전시 제목인 ‘무언의 영역’은 사이먼 몰리의 에세이 <무언의 메시지>서 따왔다.

갤러리현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는 김기린이 회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했던 ‘그려진 시’를 감상하며 명료하면서도 풍부한 단색조 화면으로 명상과 울림을 선사하는 감각적인 작품과 공명할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작고 후 첫 전시
새로운 시각으로

김기린의 작품세계를 집약하는 핵심은 시각적이고 청각적이며 촉각적인 작가의 내면세계를 캔버스 화면 위에 물감을 매체 삼아 다뤘다는 점이다. 마치 일반적인 언어로는 설명 불가능한 내면과 세계의 이면을 엄격하게 선별된 함축적인 언어로 풀어내는 시 창작과 유사한 방법론이다.

전시장 1층에는 검정 안료를 반복적으로 쌓아 올려 수많은 색점이 서로 다르게 굴절되는 김기린의 1970년 대표작 흑단색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시작으로 2000년대까지 지속된 ‘안과 밖’ 연작이 설치돼있다. 두 연작은 서로 다른 거리감을 가지고 설치돼 생경한 빛의 진동으로 전시공간을 채운다.

2층은 작가 생전 전시서 공개된 적 없는 작품으로 구성됐다. 한국 전통 문창호지를 연상시키는 한지에 유화 작업을 중심으로 유학 초기 시절, 직접 창작한 원고지에 쓰인 시가 최초로 공개된다. 또 전성기 시절의 유화 소품, 작가가 파리에 머물던 시기 아카이브 자료도 함께 소개된다. 

김기린은 점이 이어지고 쌓이면 무한의 시공간으로 들어간다고 했다. 또 점을 찍는 순간만큼은 초월의 경지에 닿은 듯 영혼이 충만한 순간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순수한 색의 유화 물감을 겹겹이 쌓아가는 회화를 지속하는 이유는 스스로가 반듯이 서기 위해서지 그 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라고 해석했다. 

갤러리현대 관계자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한 구절, 한 구절 완성되는 시인의 시처럼 김기린이 겹겹이 쌓아놓은 색의 화면은 표면적인 세계를 초월해 울림과 전율이 흐르는 무언의 영역으로 관람객을 초대한다”며 “그의 회화는 보는 이에게 시처럼, 음악처럼 다가갈 것”이라고 말했다.

화폭에


“나의 최종 목적은 언제나 시였다. 발레리, 랭보, 말라르메 그리고 그 세대의 시인들 거의 모두를 좋아했다. 나는 계속해서 시 작업을 했으나 글이 아닌 그림을 통해서였다. 항상 시적인 이미지를 추구한다. 내 정신은 한국적이고 내 작품은 항상 나의 정신을 반영한다. 시인은 가장 정확한 단어들만을 사용해 본질을 구현해야 한다는 의식을 그림의 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해오고 있다.” <김기린>

<jsjang@ilyosisa.co.kr>


[김기린은?]

김기린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1961년 프랑스로 이주해 디종 대학교(현재 부르고뉴 대학교)서 미술사를 수학했다.

이후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서 미술 지도를 받고 파리 국립고등장식미술학교서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 말부터 서정적인 추상 회화를 시작해 검은색과 흰색을 사용해 평면성을 추구하는 회화 작업을 했다.

1970년대 초반에 흑단색화 작업만을 소개하는 파리서의 개인전이 한국서도 화제가 되면서 한국의 단색조 회화 운동에 영향을 끼쳤고 모노크롬 작업을 심화시켜 나갔다. 

이후에는 색채 사용이 두드러지고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왔던 지각에 관한 문제를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연작서 풀어냈고 외부와 내부의 개념적인 차원의 탐구를 ‘안과 밖’ 연작서 지속하며 작업을 심화시켰다. 

‘현대 HYUNDAI 50 PART 1’(2020) ‘수행의 길: 한국의 단색화’(2017) ‘단색화, 채움과 비움의 美’(2016) ‘컬러풀’(2015) ‘KOREAN ABSTRACT PAINTING’(2015) ‘단색화의 예술’(2014) 등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