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구음 시나위’ 강종길

2024.06.12 06:00:00 호수 1483호

괄호에 숨표 찍기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용산구 소재 라흰갤러리서 작가 강종길의 개인전 ‘괄호에 숨표 찍기’를 준비했다. 강종길에게 풍경은 단순히 눈에 들어오는 경치에 그치지 않는다. 찰나의 인상을 강하게 남기면서도 불완전한 것, 딱딱하게 굳어 있기보다는 생동하는 소리와 향기, 촉감과 움직임을 지닌 어떤 덩어리다. 



강종길의 개인전 ‘괄호에 숨표 찍기’는 눈앞의 상황이 지닌 부차적인 말단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풍경을 유기적인 형태로 구성하려는 의도로 기획됐다. 괄호와 숨표는 모두 맥락의 흐름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하지만 부연 설명이나 호흡이 필요할 때 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한다. 

기호

강종길은 캔버스에 표현된 기호 사이로 풍경의 조형 요소가 들숨과 날숨을 쉬며 미묘한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만든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강종길이 국악의 ‘구음 시나위’를 작업의 조형적인 방법론으로 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구음은 입을 이용해 특정 선율을 소리내는 것으로 그중에서도 시나위 가락을 구음으로 부르는 구음 시나위는 연주자의 즉흥과 현장서의 호흡을 통해 우연적인 다성의 선율을 진행하게 된다. 

강종길은 유동성과 즉흥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음 시나위서 입소리와 장단 등의 형태를 기호로 채보하고 이 기호와 닮은 풍경을 모색한다. 채보한 청각적 감각을 캔버스에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풍경을 표현하고 있다. 


강종길이 ‘소리를 채보하듯’ 기록한 풍경은 그가 2022년부터 진행해 온 ‘구음풍경’ 연작을 통해 드러난다. 화면을 유기적인 형태로 해체하고 기호화하기를 꾸준히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전시서 강종길이 선보이는 작업은 구음풍경 시리즈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그는 무속서 활용되는 구음 시나위의 장단과 소리로부터 작업의 방향성을 취하고 사적으로 관심을 두게 된 모티프와 내러티브를 화면에 풀이하고 있다. 

소리를 채보하고
이미지를 채집해

여기서 작가가 도입한 모티브는 굿이 열릴 때 제단에 놓이는 돼지머리다. 굿판서 돼지머리가 지닌 쓰임새와 상징성을 탐색하고 이를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이다. 샤머니즘의 영역서 돼지가 성속의 경계를 넘나들며 존재한다는 양가적인 의미도 이와 같은 작업 배경에 흥미로운 지점으로 작용했다. 

강종길의 관심사는 구음을 시각적인 기호로 표현해 이를 돼지의 엷은 분홍빛 피부색, 혹은 그것의 움직임과 소리의 감각으로 치환한 후에 결과물을 풍경의 개념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서 화면에 드러난다. 

구음의 감각을 풍경으로 치환하는 강종길의 회화에서는 무형의 개념인 소리의 파동을 감각하고 시각적으로 상상하며 자신이 경험한 풍경의 이미지를 낯설게 섞는 행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풍경과 같은 자연 소재와 비정형의 소리, 찰나의 움직임은 모두 일시의 강한 자극을 주면서도 이내 기억으로부터 소멸되는 불완전성을 지닌다. 작가 입장에서는 서로 다른 감각이 교차되는 순간을 오래 붙들 방법을 고민해야만 했다. 

강종길이 택한 방법은 소리를 채보하고 이미지를 채집하는 등 사소한 실마리를 모은 후에 이 자투리를 뒤집고 비틀어 기존과는 다른 형태로 조합하는 것이다. 그러면 마지막에는 목표하는 것의 가장 근원적인 모습이 미증유의 모습으로 화면에 드러나게 된다.

강종길은 이런 결과물에 수반되는 실마리를 바탕으로 또 다른 감각을 판독할 수 있는 기호를 천천히 공들여 이어나간다. 

요소


라흰갤러리 관계자는 “이번 ‘괄호에 숨표 찍기’서 강종길은 몰두하지 않으면 포착하기 어려운 기호와 요소를 혼효해 감각이 지속해서 이어지도록 손을 움직이고 있다”며 “구음 시나위의 청각적 경험을 동원하는 강종길의 이번 작업은 소리를 듣고 낼 때 동원되는 감각으로 시공간을 자각하고 캔버스를 스치는 뒤섞인 의미에 정성을 기울일 것을 권한다는 점에서 풍경의 또 다른 가능성을 도모하고 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오는 22일까지. 
 

<jsjang@ilyosisa.co.kr>


[강종길은?]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 박사과정 수료(202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졸업(2018)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2016)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프로덕트디자인 졸업(2016)

▲개인전
‘Index 0dB’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2022)
‘Crawl, Blew, Flow’ Gallery Onue(2019)
‘pinch out a beautiful mess’ art space tetra(2018)

▲수상
제5회 좋은데이 미술대전 특선(2017)
제3회 전국대학미술공모전 특선(2016)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