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위협’ 탐앤탐스 암울한 현실

2024.04.25 17:48:35 호수 1476호

가는 길마다 펼쳐진 가시밭길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1세대 토종 커피 프랜차이즈 탐앤탐스가 적자의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좋은 시절은 일찌감치 끝났고, 빛바랜 영광을 뒤로한 채 냉혹한 현실에 직면한 모양새다. 반전을 꾀하고자 마련한 자구책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려면 다소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탐앤탐스는 1999년 12월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데오점에서 시작해 2004년 12월 법인으로 전환한 커피 프랜차이즈다. 1세대 토종 커피 브랜드로 분류되며 지난해 말 기준 창업주인 김도균 전 대표가 지분 100%를 보유 중이다. 

빛 바랜 영광 

탐앤탐스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적극적인 점포 확장 정책을 펼치면서 가파른 상승곡선을 타기 시작했다. 법인 설립 5년 만인 2009년에 점포수 100개를 돌파했고, 불과 2년 만에 점포를 300개 이상으로 늘렸다. 이후 미국, 중국, 카타르, 몽골 등지에 점포를 내면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탐앤탐스의 고공행진은 마냥 계속되지 않았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스타벅스를 비롯한 글로벌 브랜드와 가성비를 추구하는 국내 저가 브랜드가 국내 커피시장을 양분하는 경향이 확연해졌고, 이들 사이에 낀 탐앤탐스는 서서히 설 자리를 잃었다.

이런 가운데 오너 리스크라는 생각지 못한 악재마저 더해졌다. 2018년 김 전 대표는 업무상 횡령 혐의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재판에 넘겨졌다. 김 대표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우유 공급업체가 회사에 제공하는 판매 장려금 중 12억원을 사적으로 챙긴 혐의를 받았다.


대법원은 2020년 김 대표의 업무상 횡령 혐의 등에 대해 징역 2년6개월, 집행유예 4년, 벌금 18억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별도로 기소된 배임수재 혐의에 대해선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 벌금 9억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경쟁력 약화와 오너 리스크라는 이중고에 노출된 탐앤탐스는 2020년부터 확연한 외형 축소를 겪었다. 2020년 349개였던 총 점포 수는 2022년 315곳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직영점은 37개에서 22개로 감소했다.

점포가 줄어든 시점부터 수익성도 눈에 띄게 나빠졌다. 2020년 연결기준 영업손실 35억원을 시작으로 2021년 72억원, 2022년 30억원 등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으며, 해당 기간에 누적된 영업손실은 137억원에 달했다.

매출 하락세 역시 극명했다. 2016년 870억원으로 최대치를 찍었던 연결기준 매출은 2020년 545억원으로 축소된 데 이어, 2021년에는 400억원을 겨우 넘기는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2016년과 비교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실적·재정 동시 하향곡선 수순
반전커녕 계속되는 뒷걸음질 

위기에 직면한 탐앤탐스는 2022년 6월 출범한 명선철 대표 체제에서 중저가 커피시장 공략 작업에 힘을 쏟았다.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등 가성비 전략을 펼쳐 온 경쟁자에 대응하기 위함이었다.

다만 대응 전략이 성과로 이어지려면 다소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탐앤탐스는 지난해(개별 기준) 매출 414억원, 영업손실 24억원을 기록했다. 

급격히 나빠진 재정건전성을 단시일 내 개선해야 하는 숙제도 남아 있다. 영업이익 17억원을 기록했던 2019년(개별 기준)에 1127억원이었던 탐앤탐스의 총자산은 지난해 436억원으로 축소된 상태다.

자본과 부채의 동반 감소가 자산 축소로 이어진 양상이다. 같은 기간 총부채는 761억원에서 364억원으로, 총자본은 366억원에서 71억원으로 줄었다. 

총부채 중 175억원가량이 차입금으로 분류되며, 장기차입금 5억40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이 단기성 차입금이다. 매년 리파이낸싱을 하더라도 상환의 압박에서 자유롭기 힘든 구조다.


총자본의 감소는 4년에 걸친 영업손실의 후폭풍이라는 점에서 심각성이 부각된다. 탐앤탐스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2019년까지 이익잉여금 147억원을 쌓았지만, 이듬해부터 흐름이 완전히 뒤바뀌었다. 

2020년부터 본격화된 영업손실은 궁극적으로 이익잉여금 감소를 불러왔고, 2021년부터 이익잉여금이 결손금으로 전환돼 자본 항목에 반영됐다. 이후에도 적자가 계속되면서 결손금은 지난해 말 기준 147억원으로 커진 상태다.

극명한 흐름

이런 가운데 부채와 자본 간 불균형도 한층 심각해졌다. 2020년 207.8%였던 탐앤탐스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507.3%로 약 300%p 상승했다. 적정 부채비율(200% 이하)과 확연한 격차가 존재한다.

<heaty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