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래의 머니톡스> 공중분해와 단순 소실

  • 조용래 작가
2024.02.29 16:21:58 호수 1469호

‘공중분해(Mid-Air Decomposition)’란 말은 어떤 것이 갑자기 사라지거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간 상황 또는 손해를 보면서도 아무것도 건질 게 없어진 경우에 비유적으로 사용된다.



운항 중 폭발한 항공사고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잔해는 남는다. 바닷속에 영원히 가라앉을망정 사라지진 않는다. 다만 찾을 수 없거나 찾지 않을 뿐이다. 진실이 은폐되는 불편하고 보편적인 방식이다.

‘소실(消失 또는 燒失)’은 원형을 복원할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지고 실체가 사라진 상태로서 관리나 보관을 잘하지 못해 무엇을 잃어버린 형편을 뜻한다.

뭔가 불에 타 잿더미가 된 경우에 흔히 쓰인다. ‘공중분해’됐다면 이유가 있을 것이고 ‘소실’이라면 흔적이라도 남아야 한다. 이번 ELS 손실 사태에 대한 <주간동아> 보도에 왜 ‘공중분해’와 ‘단순 소실’ 같은 단어가 등장한 것일까?

“피해자 손실분이 은행이나 증권사 몫으로 돌아가는 건 아니다”거나 “ELS 판매자(은행 또는 증권사)와 ELS 매수자의 손익이 대칭적이지 않다”고 보도한 것은 말장난에 불과하며 피해자를 우롱한 것과 다름없다.

왜냐면 여기서 ‘대칭관계’는 ELS를 만들거나 판매한 증권사나 은행과는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ELS 손익의 대칭관계는 ELS 피해자와 대응하는 반대 포지션을 구축한 다른 사람 즉, 홍콩H지수 하락에 베팅한 사람이 구축한 포지션과의 사이서 성립한다.


그러므로 “설계 자체가 판매자와 매수자 손익이 대칭적이지 않다”는 기사의 소제목도 논리에 맞지 않는다. 아니, 틀렸다. 

<주간동아> 보도는 “시장에 풀린 투자금(ELS 손실 피해액)이 어디로 흘러들어 갔는지 굳이 따진다면 같은 기간 홍콩H지수 인버스(하락)에 베팅한 투자자”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면서도 “홍콩H지수 하락에 베팅한 투자자와 ELS 피해자가 1대1 카운터파트는 아니다”라고 했다. 

1대1, 100대1 카운터파트는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손실 피해액은 반드시 누군가의 이익으로 돌아갔다는 게 맹점이다. 파생상품은 철저하게 제로섬 게임의 구조물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익을 취한 사람 즉, 카운터파트는 ELS 피해자의 반대 포지션을 매수한 증권사의 고객이거나 거래를 중개한 다른 기관 또는 증권사의 고객일 수도 있다. 

지금으로선 ELS 피해자들의 손실금이 누구에게 흘러갔는지 열 명인지, 백 명인지는 알 수 없다. 미국인인지 홍콩인인지, 아니면 증권사와 관련 있는 한국인인지 또 다른 검은 머리 외국인인지를 모를 뿐이다. ELS 손실 사태가 불가항력적 자연재해도 아닌데 왜 ‘흘러 들어갔다’는 단어를 사용한 걸까?

그 엄청난 손실금을 누가 어디로 흘려보냈는지 감추고 싶은 의도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위 보도서 언급한 ‘델타헤지(Delta Hedge)’는 파생 구조에선 매우 일반적인 거래 기법이다. 손실 위험을 피하고자 포트폴리오의 델타를 중립상태에 가깝게 만드는 단순 작업의 반복이다. 포지션 델타가 음수면 양수의 값을 취하는 포지션을, 포지션 델타가 양수면 음수의 값을 취하는 포지션을 구축해 그 값을 0에 수렴시키면서 손실 위험을 상쇄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수가 큰 폭으로 무너지면서 상쇄 가능 범위를 벗어난 사례”라며 “지수 급락에 따른 ‘단순 소실’로 봐야 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델타헤지 실패 책임조차 질 수 없다는 항변으로 들린다.

기자는 어떤 이유로 ‘단순 소실’이란 단어를 선택했을까? 홍콩H지수가 일정 수준까지 하락하면 ELS 가입자의 원금 손실이 얼마가 될지 증권사는 상품 설계단계서 분명히 알고 있었다. 하지만 ELS를 매수한 피해자들에게는 정확히 알려 주지도 않았다. 

증권사가 어떤 다양한 방법으로 현물과 파생을 조합했는지 ELS 상품을 매수한 피해자는 알 길도 없다. 홍콩H지수 하락에 투자한 사람이 구축한 포지션(ELS 손실금을 이익으로 가져간 쪽)이 언제 어떤 파생 또는 장외 파생 계약에 의해 성립됐는지 증권사가 자세히 밝혀야 하는 이유다.


ELS 사태는 예방할 수 있었던 인재다. 그런데도 피해자만 있고 가해자는 없다. 아직 밝혀진 건 아무것도 없는데 ELS 손실분에 대해 언론이 나서 ‘공중분해’니 ‘단순 소실’이니 운운한다면 그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대형 건물 붕괴 사고가 났는데 기초설계 도면조차 볼 수 없는 이런 초현실적 상황이 처음도 아니다. 키코(KIKO) 사태가 그랬고 DLF 사태가 그랬다. 지금 국민이 대한민국에 묻는다. 도대체 언제까지 이래야 하느냐고. 이 사태의 진실을 밝힐 책임은 누구에게 있냐고.


[조용래는?]
▲전 홍콩 CFSG 파생상품 운용역
▲<또 하나의 가족> 저자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