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신유열 탄력받는 승계작업

2023.12.14 10:59:26 호수 1457호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유통 왕’ 롯데의 입지가 줄어든 탓일까? 롯데그룹이 대거 인사 교체를 통해 혁신을 모색 중이다. 한때 기대주였던 롯데케미칼도 작년부터 악화 행보를 걷자, 변화의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최대 이슈였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케미칼 상무는 전무로 승진하면서 승계 작업도 탄력을 받았다. 



롯데그룹은 계열사 최고경영자(CEO) 14명의 세대교체 인사를 단행했다. 특히 이번 인사에서 신유열 상무는 1년 만에 전무로 고속 승진하고, 롯데지주에 신설된 미래성장실을 맡으면서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겸직한다. 신 전무가 그룹 미래 먹거리 사업을 주도하게 된 셈이다. 

물갈이 

신 전무가 미래를 살피는 것은 경영 능력 입증을 위한 행보라는 평가다. 그룹 주력 사업인 유통군에 진출하기 전 경영수업에 집중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안팎에서는 후계 승계작업이 본격화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신 전무는 지난 2020년 일본 롯데에 입사했다. 이후 지난해 5월 롯데케미칼 일본 지사에 상무보로 합류했다. 그해 8월 일본 롯데파이낸셜 최대주주인 롯데스트레티직인베스트먼트(LSI) 공동대표로 선임된 데 이어 12월에 상무로 승진했다. 각각 1년도 안 된 시점에 상무와 전무로 승진한 것이다.

초고속 승진 배경에는 신 전무가 맡았던 롯데케미칼 신사업 부분이 흑자 전환에 성공하는 등 경영 성과를 입증했다는 판단이 자리했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3분기에 영업이익 281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누적 적자가 751억원이지만, 전지소재 사업 등 신사업의 호조로 반등 조짐이 일고 있다.


그룹의 새 동력인 소재 사업과 바이오 사업으로 승계작업을 지원한 셈이다.

현재 롯데그룹 지분이 적은 신 전무를 위한 자금 마련 작업도 진행 중이다. 신 전무는 LSI에 이어 롯데파이낸셜 대표도 겸직하고 있다. LSI는 롯데그룹의 캐시카우인 롯데캐피탈의 최대주주인 롯데파이낸셜의 최대주주다. LSI는 롯데파이낸셜의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다. LSI→롯데파이낸셜→롯데캐피탈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다.

롯데지주도 대규모기업집단 현황공시에서 LSI를 롯데홀딩스와 함께 지주회사로 구분해놨다. 롯데캐피탈의 수익은 대부분 이자, 수수료, 리스 및 렌탈 수익 등으로 구성되며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내는 알짜 회사다. 기업공개(IPO)가 가능한 호텔롯데의 최대주주도 사실상 LSI다.

이번 인사를 통해 신 전무가 주도하게 될 롯데그룹의 신사업 부문에는 현재 롯데바이오로직스와 롯데헬스케어, 롯데정보통신 등이 있다. 신사업은▲헬스앤웰니스(바이오·헬스케어 등)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뉴라이프 플랫폼 4가지 테마다.

‘젊어지는 롯데’ 40대 대표이사만 셋
‘남초 이미지’ 버리고 여성 임원 늘려

지난 6일 롯데그룹은 롯데지주를 포함한 38개 계열사의 이사회를 열어 다음 해 정기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롯데그룹은 이번 임원인사 방향이 ▲혁신 지속을 위한 젊은 리더십 전진 배치 ▲핵심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를 위한 핵심 인재 재배치 ▲외부 전문가 영입 확대 ▲글로벌 역량 및 여성 리더십 강화 등으로 압축된다고 설명했다.

롯데그룹은 화학 사업을 5년간 이끌었던 김교현 부회장이 용퇴하면서 새 화학군 총괄대표로 이훈기 롯데지주 ESG경영혁신실장을 선임했다.

롯데케미칼은 최근 몇 년간 석유화학 업황 부진에 따라 지난해 2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5분기 연속 적자를 볼 만큼 어려움을 겪었다. 실적 악화에 빠진 롯데케미칼은 대표 교체를 통해 수익성 강화를 위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롯데그룹은 인사에 앞서 실적 부진 계열사에 대해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등 조직 슬림화에 속도를 냈다. 

실적개선을 주도한 핵심 인재의 경우 재신임하고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식품군 총괄대표 이영구 사장은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롯데그룹은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합병, 식품군 포트폴리오 개선, 글로벌 사업 확대, 미래먹거리 발굴을 통한 신성자 동력 확보 등을 총괄 지휘하며 안정적인 흑자 수익구조를 만들어낸 성과를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고수찬 롯데지주 경영개선실장 부사장, 고정욱 롯데지주 재무혁신실장 부사장, 정준호 롯데백화점 부사장 등 총 3명은 사장으로 승진했다. 이는 최근 3년 내 사장 승진 중 가장 큰 규모로, 사장 직급도 지난해 대비 평균 5세 젊어졌다.

이번 롯데그룹 정기 임원인사의 키워드는 ‘1970년대생 CEO의 탄생’으로 불린다. 롯데는 계열사 대표이사 14명을 교체했는데 이 중 퇴진한 60대 대표이사는 총 8명에 달한다.

고수찬 사장은 롯데지주 경영개선실장으로서 롯데그룹 전 계열사에 대한 경영 진단과 업무 시스템 개선을 주도해왔다. 고정욱 사장은 지난해 재무전략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계열사 재무지표를 개선하고 롯데건설의 우발채무(PF)에 따른 유동성 위기를 조기 진화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정준호 사장도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에도 롯데백화점만의 고급화 전략으로 실적개선을 주도했다. 그는 유통 맞수 ‘신세계’ 출신으로, 2021년 롯데그룹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쟁사 출신을 대표로 기용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이때 발탁된 인물로, ‘정통 롯데맨’이 아닌 신세계 출신으로 주목받았다.

40대 대표이사도 셋으로 늘었다. 1974년생 우웅조 상무는 롯데헬스케어 대표이사로 승진하면서 기존 1977년생 롯데바이오로직스 이원직 대표, 1975년생 에프알엘코리아 정현석 대표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경영수업

롯데는 이번 인사에서 김소연 롯데AMC 대표를 신규 등용해 여성 리더십을 강화하기도 했다. 이로써 그룹 내 여성 대표이사는 기존 신민욱 롯데GFR 전무, 김혜주 롯데멤버스 전무 등을 포함해 세 명으로 늘었다. 이는 2017년 신 회장의 롯데그룹 여성 임원의 비중을 늘리겠다는 약속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전무 이상 고위 임원 중 여성 비중은 지난해 7.4%서 올해 9.8%로 늘었다. 또 5명의 여성 임원(상무보)을 상무로 승진시켜 조직 전면에 배치했다. 신규 여성 임원은 김지수 롯데백화점 상무보, 조윤주 롯데홈쇼핑 상무보, 김현령 호텔롯데 상무보, 오혜영 롯데정보통신 상무보 등 다양한 계열사에서 4명이 배출됐다. 이번 인사에 따라 여성 임원은 지난해 47명(7%)서 올해 54명(8%)으로 7명이 늘었다.

<smk1@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