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대통령의 뒷모습 ㊸굶어 죽기 싫어 결심한 탈북

  • 김영권 작가
2023.08.01 08:45:00 호수 1438호

김영권의 <대통령의 뒷모습>은 실화 기반의 시사 에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을 다뤘다. 서울 해방촌 무지개 하숙집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당시의 기억이 생생히 떠오른다. 작가는 무명작가·사이비 교주·모창가수·탈북민 등 우리 사회 낯선 일원의 입을 통해 과거 정권을 비판하고, 그 안에 현 정권의 모습까지 투영한다.



수령을 섬기는 당 간부와 보위부원 등등 권력층과 상류층 외엔 누구나 어려운 시기였다. 

수령과 당 간부들은 ‘조금만 참고 견디면 곧 쌀밥에 고깃국을 먹여 준다!’라고 큰소리쳤으나, 세월이 흐를수록 상황은 더욱 참혹해지기만 했다.

몇 년째 재해를 입은 시골은 살기가 말이 아니었다. 해마다 농사가 되지 않는데다가 국가에서는 양식도 주지 않으니 굶주린 사람들의 신음 소리가 들리곤 했다. 

비상경계령

“옥희네 식구들이 다 굶어 죽었다누마.”


“양강도에선 사람 잡아먹는 사람들이 있다던데......”

“뭐라구요? 뜬소문이겠지러.”

“돼지고기인 줄 알고 사먹은 사람들이..... 세상에서 가장 맛나는 게 사람고기라고 수군거린다던걸.”

믿기 어려운 흉흉한 소문이 떠돌았다. 첫 순정에 달뜨던 열일곱 소녀 때라면 무서움에 진저리쳤겠지만, 살아나가야 할 현실이 막막하여 한숨만 포옥 쉴 뿐이었다.

서로 좋아해 사귀던 성원 씨는 군대에 들어간 지 10년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고, 가난한 농민 출신이라 어디 먼 오지에라도 배치돼 죽었는지 살았는지 아무 소식도 없었다.

나는 중국으로 가서 무슨 살길을 찾아낼 요량으로 고심하다가 부모님과 의논했다. 엄마는 처음엔 깜짝 놀랐으나, 고국에서 굶어 죽느니 차라리 이국땅에 가서 목숨을 부지하는 게 낫다고 생각했는지 무언의 승낙을 했다.

장마당에서 만난 어떤 아줌마가 돈을 얼마쯤 내면 압록강 너머 중국 땅에 넘겨주겠다고 말했다. 하루 생각해 볼 여유를 달라고 한 나는 집에 돌아와 마지막으로 심사숙고했다.

내 마음이 이미 중국으로 넘어가 있어서 그런지, 아무래도 헐벗은 고향 땅에 남아 견딜 수 없을 것만 같았다. 이 땅에서 이리저리 다니다 굶어 죽기보다 마침내 그 아줌마 말대로 하기로 결심했다. 

다음날 아줌마를 찾아 합의를 본 나는 겨우 마련한 돈을 주고 압록강변으로 나갔다. 살길을 찾아 강을 넘다가 세찬 물살에 떠밀려 죽은 이들도 있고, 북한군의 총에 맞아 죽은 이도 많았다.

사방은 어두웠다. 영하 30도의 추위였다. 새벽 5시는 지났지만 겨울철이라 아직도 날이 밝자면 두어 시간은 더 걸려야 했다. 난 제정신이 아니었다.


만일 보위부와 국경경비대의 눈에 걸려 비상경계령을 내리면 중국에 넘어가지도 못하고 체포된다. 죽더라도 도강하는 길밖엔 없었다. 조심조심 국경에 접근하여 한참 주위를 살핀 뒤 높은 강둑을 뛰어내려 얼음 위를 달렸다.

서른 걸음쯤 떨어진 곳에 총을 쥔 군인이 경계하고 있었다. 여름철엔 물결이 숨겨 주기라도 하련만 이젠 발각되면 죽음이었다. 미끄러운 얼음판을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뛰느라 몇 번이나 나자빠져 온몸이 욱신거렸다.

점점 죽음 자체도 잊은 채 그저 악마에게 뒤쫒기 듯 내처 달렸다. 

마침내 중국 땅에 들어섰다. 그 아줌마가 소개한 사람은 강변을 지키는 웬 국경경비대 군관과 수군거리더니 한참 걸어 강둑으로 올라섰다.

보위부·국경경비대에 걸려 체포
중국 공안 공조해 탈출 어려워져

거기엔 보초 서는 경비병도 없고 강물이 얕게 흐르는 여울목이었다. 중국 쪽을 망연히 바라보았다. 안내인은 자기가 봐줄 테니 안심하고 넘어가라고 말했다.

나는 두근거리는 가슴을 억누르며 허겁지겁 강을 건너 바삐 산 밑에 붙은 중국 도로로 올라섰다. 찢어진 옷과 북한산 짚세기를 신고 얼굴마저 피멍이 진 꼴로 거리를 돌아다니면 중국 공안에 잡힐 수 있기에 우선 산으로 올랐다.

산중턱에 올라 내려다보니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에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고향 땅이 한눈에 바라보였다.

온 가족이 함께 지옥의 땅 북한을 탈출하려던 것이 혼자 몸으로 그 어떤 약속마저 남기지 못한 채 상처 입은 몸으로 이국의 눈 덮인 산중에 던져지고 만 것이다.


두고 온 부모 형제를 다시 만날 기약도 없이 떠나려니 눈물이 흘러내렸다. 하지만 울고만 있을 때가 아니었다. 국경을 넘어 중국에 왔다고 마음을 놓을 수가 없었다.

북한 보위부 요원들이 탈북자 색출을 위하여 국경 근처의 중국에 늘 와 있고, 중국 공안이 공조하여 설치는 상황에서 한시 국경을 벗어나야만 했다. 

아무것도 먹지 못하고 하얀 눈을 입에 넣어 녹여서는 삼키며 산속을 가로질러 걸었다. 낮에는 해를, 밤에는 별을 보며 서북쪽으로 쉼 없이 나아갔다.

추운 날씨여서 밤에는 걸음을 멈추면 얼어 죽을 수 있기에, 한낮에만 햇볕이 비치는 산속의 나무 밑에서 잠시 자곤 했다. 바람에 쌓인 눈구덩이가 키를 넘는 곳에 빠졌다가 간신히 나오기도 했고 내리막길에 굴러떨어지기도 했다.

탈북자들이 중국에서 얼어 죽고, 굶어 죽고, 매 맞아 상당수가 슬픈 혼백이 된다는 말을 들었던 것이 생각났다. 나도 그들이 간 길을 따라가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힘이 진하여 쓰러지기 전에는 걸음을 멈출 수가 없었다.

밤엔 산에서 내려와 좁은 도로를 따라 걸었다. 먼 곳에서 차 불빛이 보이면 근처에 몸을 숨겼다가 다시 걸었다. 두 개의 고개를 굽이돌아 사흘째 되는 날 저녁에 심심산골 어느 작은 마을로 들어섰다.

난데없이 한 남자가 길 옆의 나무 뒤에서 뛰어나왔다. 그 남자에게 어떤 마을 이름을 대며 알려달라고 부탁하니, 그는 고개를 끄덕이고 빙글 웃으며 나를 데리고 자기 집에 들어갔다. 

흉흉한 소문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만 같은 초가집, 그 집은 농사로 힘들게 사는 이 마을에서 가장 곤란한 집이었다. 앞뒤로는 길이 보이지 않는 높디높은 산이었고 며칠에 한 번씩 황사 바람이 집을 흔들 정도로 불어대는 지역이었다.

집이란 어찌나 더러운지 아무리 치워도 치운 티가 나지 않고 아무리 닦아도 닦은 티가 나지 않았다. 더구나 나보다 스무 살이나 더 늙은 남자를 남편으로 모시고 살아야 할 일이 더 기가 막혔다.

그제야 나는 소개한 그 아줌마에게 속아 팔려 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다음호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