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한 기업문화가 미래에셋 성장의 원동력

2023.02.02 10:28:54 호수 0호

미래에셋, 투명한 기업문화서 혁신성장의 답을 찾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미래에셋그룹 박현주 회장은 2021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경영자 대상 수상 후 “미래에셋은 지주사 체제로 갈 생각이 없고 각 계열사가 각자도생해야 한다. 나쁜 상품은 미래에셋 상품이라도 팔아서는 안 된다. 고객의 신뢰를 위반하면 존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은 재계 서열 20위 내 그룹 중 상호출자와 순환출자가 없는 몇 안 되는 기업 중 하나다. 상호출자는 두 회사가 서로 출자해 상대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자본을 부풀리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

순환출자는 A 기업에서 B 기업으로, B 기업에서 C 기업으로, 다시 C 기업에서 A 기업으로 여러 회사가 꼬리 물기식 출자하는 것을 말한다.

미래에셋그룹은 미래에셋캐피탈, 미래에셋컨설팅, 미래에셋자산운용을 중심으로 수직화돼있어 상호출자 및 순환출자가 없다. 미래에셋캐피탈이 미래에셋증권 24.36%, 미래에셋증권이 미래에셋생명보험을 22.01% 보유하는 식이다.

미래에셋은 수직화된 투명한 지배구조로 굳이 계열사 관리를 위해 수조원을 들여 지주회사로 전환할 이유가 없는 독립 금융계열사 구조의 그룹이다.

미래에셋의 독립 계열사 체제는 각 계열사의 투명한 경영관리와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운용사는 상품의 경쟁력을, 판매사는 고객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기반이다.


같은 해 미래에셋증권 ‘고객동맹 실천 선언식’서 최현만 미래에셋 증권회장은 “고객을 위해 경쟁력 있는 금융상품만 팔겠다. 판매 금융상품 선정 시 외부 기관평가를 참고하겠다”며 “계열 운용사 펀드라고 예외는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미래에셋의 이 같은 독립경영은 전문경영인체제를 통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박현주 회장은 2세 경영이 아닌 전문경영인체계로 가겠다고 지속적으로 밝혀온 바 있다. 상속세를 다 납부하고 지분은 자녀에게 상속하겠지만 경영에는 참여시키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다. 다만 주식지분은 물려줘 이사회에서 중대한 경영 의사결정에 참여하게 된다.

미래에셋은 체계적인 이사회 산하 위원회 운영 등을 통해 효율적인 시스템 경영과 지배구조 혁신의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미래에셋생명·미래에셋벤처투자 등 상장회사는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 문화와 지배구조를 구축해 주주와 시장으로부터의 신뢰가 구축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래에셋자산운용·미래에셋캐피탈 등 비상장 금융회사도 이사회 구성 방식, 사외이사 선임 절차, 감사위원회와 내부 통제 시스템 운용 체계 등을 상장사에 준하는 수준으로 구축해 경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미래에셋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다우존스 지속 가능 경영 월드 지수’에 11년 연속으로 선정됐으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개 분야, 80여개 지표로 ESG 평가 모형을 자체개발해 투자 기업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김범석 홍보실장은 “미래에셋은 단순한 수직적인 지배구조로 의사전달이 빠르고 명확해서 급격히 변화하는 투자 환경에 대응할 수 있고 글로벌 비즈니스에 적합한 구조”라며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해외진출 20년 만에 운용자산 40%, 순이익 30%를 해외서 벌어들일 정도로 세계적인 금융회사로 도약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haeewoo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