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중반에 들어간 첫 직장이 마포와 영등포 사이에 있는 작은 섬 여의도에 있었다. 그곳에서는 매일 아침 대방역에서 여의도까지 길게 늘어선 출근길 행렬을 볼 수 있었다.
여의도는 당시 서울에서 유일하게 빌딩숲을 이루고 있는 섬으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었다.
주택이나 아파트가 많지 않아 주거 인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곳이기도 했다. 그래서 낮에는 물경 5만여명의 사람이 여의도에 상주했지만 밤에는 대부분이 여의도를 떠나 텅 빈 건물만 남곤 했다.
당시 필자는 국내 굴지의 회사가 모여 있는 여의도의 출근길 행렬이 마치 먹잇감이 풍부하고 온도가 알맞은 서식지를 찾아 이동하는 철새 같다는 생각을 했다.
또 여름에 흰색 와이셔츠를 입은 직장인들의 행렬과 겨울에 검은색 외투를 입은 직장인들의 행렬이 영락없이 여름철새와 겨울철새의 이동으로 느껴졌다.
지난주 금요일 아침 구로디지털단지에 있는 모 업체를 방문했을 때도 전철에서 내려 디지털단지로 걸어가는 수많은 젊은이의 출근길 행렬을 보며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을 방불케 하는 장관이라고 생각했다. 구로는 산업화시대 때부터 서울 시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공단이 들어선 곳으로 유독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었다.
지금도 젊은 직장인이 많이 모여드는 것을 보면서 예나 지금이나 구로는 젊은이들의 철새 도래지가 확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많은 IT회사가 모여 있고, 하루에도 1000개 이상의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구로디지털단지를 향해 출근하는 직장인의 행렬 역시 35년 전, 여의도처럼 먹잇감을 구하기 위해 모여드는 철새들의 대장정이었다.
구로디지털단지에서 미팅을 마치고 오후에 지인과 약속이 있어 종로3가역 근처에 있는 커피숍을 찾았을 때도 7,80대 노인들의 엄청난 행렬이 길가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종로3가 골목은 인생의 쓴맛 단맛을 다 보고 이제는 기력도 떨어져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노인들의 쉼터다. 우리나라에서 유동인구 평균 나이가 가장 많은 노인들의 철새 도래지기도 하다. 물가도 싸서 3500원이면 콩나물국밥 한 그릇을 사 먹을 수 있고, 4000원이면 이발도 할 수 있다.
길거리도 아코디언 등 각종 악기를 연주하는 노인과 장기를 두는 노인, 그리고 옛날 물건을 파는 노인으로 가득하고, 송해 거리도 있어 여가생활을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노인들의 천국이 종로3가 골목이다. 특히 실버 영화관이나 콜라텍, 그리고 무대에서 노래도 할 수 있는 실버 다방은 노인들이 선호하는 핫 플레이스다.
35년 전 여의도와 구로공단, 그리고 지금의 구로디지털단지와 종로3가 골목은 각각 어떤 목적으로 모였다가 헤어지기를 날마다 반복하는 서울 철새들의 도래지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철원과 속초, 전라도 순천만, 울릉도와 독도 등이 철새 서식지로 유명한 곳이다.
그래서 우리 정부나 지자체는 매년 이곳에 철새가 잘 서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먹이도 제공하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가 철새 도래지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듯이, 서울시도 힘없고 능력 없는 노인들이 모이는 종로3가 골목을 잘 정비해서 노인들이 그들만의 공간에서 안전하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 덕에 지금은 종로3가 골목이 노인들의 성지이자 천국이 됐고, 종로3가 골목상권도 불경기가 없는 최고의 상권이 됐다.
최근에는 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종로3가 골목이 서울 철새 노인들을 다 수용하지 못해 온천으로 유명한 온양까지 가서 놀다오는 서울 철새 노인도 많다. 덕분에 온양이 노인특수를 누리고 있으며 지자체 차원에서 노인을 위한 문화공간도 만들었다고 한다.
연천에서 시니어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더연천(TYC)’ 이철호 회장도 1호선 전철이 연천까지 연장·개통되는 내년 초를 기점으로 청정지역 연천군과 협의해 종로3가 골목처럼 서울 철새 노인들이 편히 쉬었다 갈 수 있는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했다.
온양이나 연천이 지하철 요금이 무료인 노인들이 쉽게 갈 수 있는 종착지로 서울 철새 노인들을 외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환영하며 노인 유치에 앞장서고 있다는 게 100세시대를 맞이하는 지자체의 아름다운 모습이 아닐까 싶다.
철새가 다녀간 후 철새 배설물과 각종 쓰레기로 인해 도래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염려해 철새 도래지를 없애지 않듯이, 우리 정부나 지자체도 노인들이 모이는 공간이 더러워진다고 노인들의 공간을 없애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서울 철새 젊은이가 밤에 많이 모이는 지역에도 서울시 차원에서 젊은이들이 편히 놀 수 있는 밤 문화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 좁은 골목길을 방치하고, 안전사고 예방에 소홀했다가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처럼 아까운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이태원 참사 이후 서울시가 홍대 입구, 신촌 대학가, 건대 입구, 강남역 등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을 현장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그런데 노인들이 많이 모이는 종로3가 골목은 전수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종로3가 골목도 전수조사해야 하지 않을까?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